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북 발사 탄도미사일 공중폭발…"극초음속 시험하다 실패 추정"(종합2보)

송고시간2024-06-26 10:54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김호준 기자
김호준기자
김준태 기자
김준태기자

250여㎞ 비행하다가 원산 동쪽 해상서 폭발…고체연료 추진체 시험한 듯

동해로 시험발사한 북한의 탄도미사일 추정 항적운
동해로 시험발사한 북한의 탄도미사일 추정 항적운

(연평도=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6일 오전 5시32분께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 앞 바다 상공에 북한 탄도미사일 추정 항적운이 길게 뻗어 있다.
합참은 이날 오전 북한이 동해상으로 미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지만,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2024.6.26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김준태 기자 = 북한이 26일 동해상으로 미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지만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합참은 이날 국방부 출입기자단에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북한은 오늘(26일) 오전 5시 30분께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추정되며, 한미 정보당국에서 추가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1발로 250여㎞를 비행하다가 원산 동쪽 해상에서 공중 폭발했다"며 "파편이 반경 수㎞에 걸쳐 흩어져 바다에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북한은 고체 연료 극초음속 탄도미사일의 성능 개량을 위해 시험발사를 시도했다가 실패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극초음속 미사일일 가능성이 있다"며 "북한이 올해 들어 고체 연료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는데 이를 더 발전시키기 위한 시험을 하지 않았을까 추측한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1월과 4월 각각 신형 중장거리 고체연료 극초음속 탄도미사일(IRBM·사거리 3천∼5천500㎞)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하강 단계에서 음속의 5배 이상의 속도로 활공 비행을 하기 때문에 기존 방공망으로 요격이 쉽지 않다. 북한은 한미 방공망을 무력화하기 위해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동해로 시험발사한 북한의 탄도미사일 추정 흔적 목격
동해로 시험발사한 북한의 탄도미사일 추정 흔적 목격

(서울=연합뉴스) 진성철 = 26일 오전 일출 무렵 백령도 끝섬 전망대에서 한 주민이 바라본 동쪽 하늘에 하얀 연기가 길게 뻗어 있다.
북한이 26일 동해상으로 미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지만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동참모본부는 밝혔다. 2024.6.26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북한이 이날 발사한 미사일에선 평소보다 많은 연기가 발생해 백령도와 연평도 등 서북도서와 경기도 파주 및 연천 지역에서도 관측됐다.

합참 관계자는 평소보다 연기가 많이 발생한 이유에 대해 "연소가 제대로 안 됐기 때문일 수 있다"며 추진체 엔진에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북한의 이날 탄도미사일 발사는 지난달 30일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북한은 24∼25일 이틀 연속으로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한 데 이어 이날 새벽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복합 도발 양상을 보였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은 전날 밤 남쪽을 향해 오물 풍선 250여개를 살포했고, 이 중 100여개가 경기 북부와 서울 등에 낙하했다.

북한은 24일 밤에도 오물 풍선은 350여개를 살포해 경기 북부와 서울 등 남측 지역에 100여개가 낙하한 바 있다.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는 지난달 28일 첫 살포 이후 올해 들어 6번째다.

[그래픽] 최근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일지(종합)
[그래픽] 최근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일지(종합)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email protected]
페이스북 tuney.kr/LeYN1 X(트위터) @yonhap_graphics

[email protected]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XdBXWBBiJDw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