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일할래요”…‘신의 직장’ 입사해도 지방근무 싫어 떠난다

“서울에서 일할래요”…‘신의 직장’ 입사해도 지방근무 싫어 떠난다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4-07-10 11:10
업데이트 2024-07-10 1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직장인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
직장인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
일명 ‘신의 직장’으로 불렸던 국민연금에서 낮은 보수와 지방 근무로 인해 투자 전문가들이 회사를 떠나고 있다. 국민연금 운용역들의 연봉은 증권업계 평균 대비 2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제3차 기금운용위원회 회의록에 따르면 지난 2018~2023년 기금운용본부 퇴사자들이 퇴사 원인으로 가장 많이 꼽은 건 “전주에 있기 때문(38%)”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매일경제가 지난 9일 보도했다.

앞서 국민연금은 지난 2017년 전북 전주로 본사를 이전했다. 자산 규모 1100조원에 달하는 세계 3대 연기금임에도 수도권과 멀다는 이유로 우수 인력이 이탈하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 많은 퇴사 원인은 “낮은 보수(35%)”다. 기금운용본부 운용역들의 기본급은 시장 평균 대비 50%(2022년 기준)에 불과하다. 기본급보다 성과급 비중이 큰 증권업계의 특성상 성과급까지 포함하면 시장 평균의 25%까지 떨어진다.

이러한 상황에 국민연급도 운용역 이탈 방지를 위해 고심하고 있다. 최근에는 서울 강남구 신사동 사옥에 기금운용본부 운용역들을 위한 스마트워크센터를 조성, 근무 여건을 개선했다.

성과급 제도도 손보고 있다. 지난해 열린 제4차 기금위에서는 2008년 도입했던 성과급 지급 최소 요건을 15년 만에 폐지했다. 기존 기금운용본부 운용역들은 3년 동안 평균 운용수익률이 물가 상승률을 웃도는 경우에만 성과급을 받을 수 있었는데, 이 조항도 없앴다. 국내주식 대비 낮았던 해외주식의 성과급 평가 비중도 글로벌 투자 트렌드에 부합하도록 동일하게 맞췄다.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은 기금운용본부 운용역에 대한 합리적 성과급 책정과 함께 국민의 수용성도 높이는 방안을 장기적으로 고민하고 있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제헌절 공휴일’ 당신의 생각은?
제헌절(7월 17일)은 1949년부터 2007년까지 58년간 공휴일이었지만, 2008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됐습니다. 국경일인 제헌절을 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과 유급휴일을 늘리면 기업에 부담이 커진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제헌절 공휴일 지정,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