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이 가장 좋은 지역은 세종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국에서 워라밸이 가장 뒤떨어진 지역은 제주였다.
고용노동부는 25일 '2023년 기준 지역별 일·생활 균형지수'를 발표했다. 정부는 2017년부터 워라밸 관련 20여개 지표를 평가해 지역 단위 워라밸 지수를 산출한다. 총 근로시간, 유연근무제 도입·이용률, 남성 가사노동시간 비중 등을 따져 산출한다.
조사 결과 세종시는 67.8점을 받아 일·생활 균형이 가장 좋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세종은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율, 중소기업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률에서 다른 광역자치단체를 압도했다. 지자체가 홍보, 교육, 컨설팅 등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지를 보는 지자체 관심도 영역에서도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한 인천(67.1점)은 상대적으로 휴가 사용일수가 많았고 유연근무 도입률과 이용률이 높아 좋은 점수를 얻었다. 특히 지난 해 새로 일·생활 관련 조례를 제정하면서 지자체 관심도 점수가 크게 올랐다. 3위를 차지한 대전(66.5)도 전년 대비 총 근로시간이 감소하고 유연근무 활용이 늘어나면서 8위에서 3위로 껑충 올랐다.
반면 제주는 49.1점으로 전국에서 가장 점수가 낮은 광역자치단체로 꼽혔다. 이어 경북, 대구, 울산, 경남 순으로 낮았다. 이들 시도는 다른 영역에선 평균과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지자체 관심도 지표에서 격차가 상대적으로 컸다. 경북은 매 조사에서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년도에 1, 2위였던 서울과 부산은 처음으로 중위권으로 하락해 순위가 각각 9, 10위로 밀려났다. 서울은 61.5점으로 직전 조사보다 3.3점 하락했고, 부산은 3.4점 감소한 54.6점으로 집계됐다. 특히 평가 항목 중 '지자체 관심도'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은 '지자체 관심도' 영역 점수가 2022년 11점에서 지난해 8.6점으로 2.4점 하락했다. 부산은 12.8점에서 11.2점으로 1.6점 떨어졌다. 이를 두고 지자체 차원 노력이 부족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한편 전국의 일·생활 균형지수는 평균 60.8점으로 전년 대비 2.1점 올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