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의 의사결정 구조가 완전히 바뀌었다. 핵심 인사들은 용퇴했고 그룹은 세대교체를 시도했다. 본사 사옥은 태평로에서 서초동으로 옮겼다.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이 퇴임을 선언한 게 지난해 4월22일.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오늘, 삼성은 “바꿀 수 있는 건 다 바꿨다”고 할 정도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삼성은 3가지 큰 틀을 모두 바꾸고 ‘뉴 삼성’으로의 변신을 추진 중이다. ◇조직이 바뀌었다=삼성그룹은 지난 1월 대규모 인사를 통해 인적 쇄신에 나섰다. 60세 이상 경영진은 대부분 물러났다. 특히 이기태 전 부회장과 황창규 전 사장 등 삼성전자의 스타급 최고경영자(CEO)가 용퇴한 것은 삼성의 변화 몸부림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는 평가다. 뿐만 아니라 삼성의 전체 임원 가운데 20% 가까운 이들이 옷을 벗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최지성 사장, 신종균 부사장 등 ‘젊은 피’가 전면 배치됐다. 인사 적체를 해소하고 능력 있는 젊은 인물을 파격적으로 발탁해 조직에 활기를 주겠다는 의도다.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삼성전자는 디바이스솔루션(DS)과 디지털미디어커뮤니케이션(DMC) 부문으로 재편돼 사실상 두개의 회사처럼 운영되고 있다. 본사 근무인력 중 1,200명이 현장에 재배치됐다. 세대교체와 조직혁신을 통해 ‘뉴 삼성’의 시동을 걸겠다는 전략이다. ◇두뇌가 바뀌었다=이 전 회장 퇴임 후 그룹 전체를 총괄하는 전략기획력 부재를 우려하는 시선이 많았다. 특히 전략기획실이 해체되고 이학수 전 실장까지 물러난 상황이어서 우려는 더욱 컸다. 하지만 기우였다. 삼성은 그룹 전체를 총괄할 협의체로 사장단협의회를 가동 중이다. 전 계열사 CEO급 인사들이 수요일마다 모여 의견을 조율한다. 아직까지 큰 결정이 나오지는 않고 있지만 글로벌 불황 속에서 경기 진단과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삼성의 전략기획 시스템의 성패를 속단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견해가 많다. 이 부분에서 삼성은 여전히 ‘변신 중’이기 때문이다. 다만 오너십을 대체할 만한 리더십이 가능하겠느냐는 회의적인 전망도 여전하다. 사장단협의회를 제외한 투자조정위원회ㆍ브랜드관리위원회 등 전략기획 업무를 나눠 맡은 상설위원회는 별다른 활동이 없는 상태다. ◇사옥도 바뀌었다=삼성은 지난해 11월 태평로 본사를 서초동으로 이전했다. 직원들이 느끼는 가장 큰 변화 가운데 하나다. ‘둥지’를 옮긴 만큼 그에 걸맞은 변화를 줬다. 사무실에 의자를 ‘셀’ 형태로 바꾸고 팀별 소통을 원활히 했다. ‘비즈니스 캐주얼’ 복장을 도입하고 출퇴근 시간까지 자율화했다. 한 마디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전부 바꾼 격이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이 전 회장 퇴임도 중요한 계기였지만 공교롭게도 직후 찾아온 글로벌 불황 또한 삼성의 변화를 이끈 주된 동력 중 하나”라며 “업무 공간도 바뀐 만큼 임직원들의 창의력을 높이고 업무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