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로딩중입니다.
페이지 로딩중입니다.

새로운 50년의 시대

새로운 50년의 시대 [2014년 이후 ~]

국가 균형발전특별법에 의해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로
이전이 결정됨에 따라 5년간의 계획과 준비, 3년간의 공사를
거쳐 마침내 2014년 7월 1일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767에
신청사를 마련하고 새로운 나래를 펴게 되었다.

이전 후에는 첨단연구시설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제품개발과
성능 시험을 지원하고 전자파기술교육을 실시하는 등
광주전남지역의 산·학·연·관·민과의 상생·발전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이제 국립전파연구원은 새로운 터전 빛가람 혁신도시에서,
대한민국 전파으뜸으로 향하는 미래 50년을 위한 힘찬
도약을 시작하고 있다.

  • 준공기념식

    신청사 개청식

  • 국립전파연구원

    국립전파연구원

  • 전파시험인증센터

    전파시험인증센터

  • 우주전파센터

    우주전파센터

협약체결

협약체결 [2006 ~ 2016]

학술교류협력협정서

한국전자파학회

협약명 :
학술교류협력협정서
대상기관 :
(사)한국전자파학회
체결일 :
2009년 4월 28일
우주전파환경 분야 협력에 관한 합의서

공군

협약명 :
우주전파환경 분야 협력에 관한 합의서
대상기관 :
공군
체결일 :
2009년 10월 16일
Letter of Agreement between th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NWS) Space Weather Prediction Center (SWPC), USA and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Radio Research Agency (RRA), Republic of Korea

미국 해양대기청(NOAA)

협약명 :
Letter of Agreement between th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NWS) Space Weather
Prediction Center (SWPC), USA and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Radio Research Agency (RRA), Republic of Korea
대상기관 :
미국 해양대기청(NOAA) 산하 기상업무국(NWS) 내 우주기상예보센터(SWPC
체결일 :
2009년 12월 10일
연구협력과 기술정보 교류에 관한 협정서

숭실대학교

협약명 :
연구협력과 기술정보 교류에 관한 협정서
대상기관 :
숭실대학교
체결일 :
2010년 5월 3일
군 주파수 분야 협력에 관한 합의서

합동참모본부

협약명 :
군 주파수 분야 협력에 관한 합의서
대상기관 :
합동참모본부
체결일 :
2010년 7월 13일
상호협력 협약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협약명 :
상호협력 협약서
대상기관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체결일 :
2011년 11월 3일
상호협력 협약서

한국천문연구원

협약명 :
상호협력 협약서
대상기관 :
한국천문연구원
체결일 :
2011년 11월 17일
연구협력 협정서

동신대학교

협약명 :
연구협력 협정서
대상기관 :
동신대학교
체결일 :
2011년 11월 22일
Agreement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ter for Astrophysics and Space Sciences (CASS)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and the Korean Space Weather Center (KSWC)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협약명 :
Agreement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ter for Astrophysics and Space
Sciences (CASS)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and the Korean
Space Weather Center (KSWC)
대상기관 :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캠퍼스(UCSD)
체결일 :
2012년 8월 29일
GNSS 자료공유 및 우주전파재난 대응을 위한 양해각서

국토지리정보원

협약명 :
GNSS 자료공유 및 우주전파재난 대응을 위한 양해각서
대상기관 :
국토지리정보원
체결일 :
2012년 12월 5일
Agreement on Research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olar-Terrestrial Environment Laboratory, Nagoya University, Japan and the Korean Space Weather Center, Korea

일본 나고야대학교

협약명 :
Agreement on Research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olar-
Terrestrial Environment Laboratory, Nagoya University, Japan and the KoreanM
Space Weather Center, Korea
대상기관 :
일본 나고야대학교
체결일 :
2012년 12월 24일
전자파 침해 등으로부터 국가 기반시설 보호대책 마련 업무 협약서

국방시설본부

협약명 :
전자파 침해 등으로부터 국가 기반시설 보호대책 마련 업무 협약서
대상기관 :
국방시설본부
체결일 :
2013년 12월 5일
Memorandum of Understanding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between the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of Japan and the 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 of Republic of Korea

일본 정보통신연구기구

협약명 :
Memorandum of Understanding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between the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of Japan and the 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 of Republic of
Korea
대상기관 :
일본 정보통신연구기구(NICT)
체결일 :
2014년 5월 8일
GNSS 상시관측소의 공동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서

국토지리정보원 외

협약명 :
GNSS 상시관측소의 공동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서
대상기관 :
국토지리정보원, 위성항법중앙사무소, 국가기상위성센터, 서울특별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체결일 :
2014년 5월 13일
연구협력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협약서

조선대학교

협약명 :
연구협력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협약서
대상기관 :
조선대학교
체결일 :
2015년 2월 12일
연구협력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협약서

전남대학교

협약명 :
연구협력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협약서
대상기관 :
전남대학교
체결일 :
2015년 4월 7일
국내 광산업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협약서

한국광산업진흥회

협약명 :
국내 광산업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협약서
대상기관 :
한국광산업진흥회
체결일 :
2015년 7월 20일

전자파 안전과 국제표준화의 선도기관으로 도약

전자파 안전과 국제표준화의 선도기관으로 도약 [1999년 ~ 2014년]

2000년대는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의 등장과 급속한 산업발전에 따라 변화가 필요한 시기였다. 1999년 5월 13일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 부지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하고 조직을 5과 1분소로 확대하였다. 이에 따라, 전파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추어 기반연구를 강화하고 ICT분야 국제협력을 통해 국제표준화를 선도하는 등 전파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2011년 8월 ‘전파연구소’라는 명칭을 전파연구 전문기관 위상에 맞도록 ‘국립전파연구원’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급격한 우주환경 변화에 의한 방송통신서비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주전파센터를 제주시 한림읍에 건립하였으며, 효율적인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평가업무를 위하여 이천 분소를 전파시험인증센터로 확대·개편하였다.

용산청사 이전기념 현판식

용산청사 이전기념 현판식

1999년, 용산구 원효로의 정보통신 공무원교육원 부지로 이전하면서 전파연구소 용산시대 개막

전자파 인체영향 시연

전자파 인체영향 시연

2003년, 전자기기 이용의 급격한 증가로 전자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전자파 인체영향 연구 강화

국제협력 강화

국제협력 강화

2005년, 인접국가의 위성망으로부터 우리나라의 위성망 및 지상망을 보호하고 위성망 국제등록 추진을 위한 국가간 망조정 실시

  • 국립전파연구원 개원(2011)

    국립전파연구원 개원(2011)

  • 제주 우주전파센터 개소(2011)

    제주 우주전파센터 개소(2011)

  • 이천 전파시험인증센터 개소(2012)

    이천 전파시험인증센터 개소(2012)

  • 용산 전자파측정센터 준공(2005)

    용산 전자파측정센터 준공(2005)

  • 관악산 가을등반대회(2012)

    관악산 가을등반대회(2012)

전파연구의 시작

전파연구의 시작 [1966년 ~ 1999년]

국립전파연구원은 전파에 관한 연구를 전담하기 위하여 1966년 2월 5일 대통령령 제2397호에 의해 설립되었다. 같은 해 10월 5일 경기도 시흥군 안양읍 호계리에 청사를 마련하여 3과 6계의 조직을 갖추고 전리층 관측, 표준주파수 연구, 수정발진자 개발 및 제작, 외국과의 협력체계 구축 등의 업무를 시작하였다. 이후, 1970년대 위성통신시대 개막과 1080년대 정보화 시대로의 진입에 따라 위성전파연구, 전기통신기자재 형식승인, 전자파장해검정 등 새로운 분야로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서 이동통신 등 새로운 통신 서비스의 등장으로 전파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통신방식에 대한 표준과 기술기준 정립, 전파감시기술, 주파수 분배·활용을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보다 효율적인 전자파시험업무를 위하여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에 전자파장해 국가표준시험장을 준공하였다.

단파통신 연구를 위한 전리층 관측

단파통신 연구를 위한 전리층 관측

1967년, 체신부 번파관리국에서 수행하던 전리층 관측 업무를 전파연구소가 이관받아 현재까지 수행

전파 잡음조사

전파 잡음조사

1968년, 무선통신시스템에 유입되는 전파잡음의 특성 및 세기에 대한 데이터를 모으기 위해 잡음조사 실시

주파수 세슘 표준원기 국내최초 도입

주파수 세슘 표준원기 국내최초 도입

1969년, 국대 최초로 1 × 10" 정확도를 갖는 세슘(Ceslum) 표준원자 시계를 확보함으로써 표준주파수 관리 토대 마련

우주전파환경 예측을 위한 태양흑점 관측 개시

우주전파환경 예측을 위한 태양흑점 관측 개시

1993년, 태양활륨 변화에 따른 전파통신교란을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태양흑점 관측시스템 구축

위성전파 수신 분석을 위한 위성연구동 준공

위성전파 수신 분석을 위한 위성연구동 준공

1985년, 위성전파 수신시스템을 도입하여 국내 통신과 방송위성운용 상태 대비

전자파흡수율(SAR) 측정시스템 구축

전자파흡수율(SAR) 측정시스템 구축

1993년,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파 흡수율(SAR) 측정시스템 구축

전자파장해(EMI) 국가표준 야외 시험장 준공

전자파장해(EMI) 국가표준 야외 시험장 준공

1993년, 국제표준에 따라 중대형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측정하기 위하여 불요지 시험장, 안테나 교정시험장, 방사선제 시험장을 갖춘 국가 표준 야외시험장 준공

  • 수평 발진자 제작 모습(1967)

    수평 발진자 제작 모습(1967)

  • 전파고 제통식(1967)

    전파고 제통식(1967)

  • 수리산 야유회(1970)

    수리산 야유회(1970)

  • 해상 무선설비 시험(1980)

    해상 무선설비 시험(1980)

  • 제11대 문영환소장과 직원들의 판문점 견학(1987)

    제11대 문영환소장과 직원들의 판문점 견학(1987)

  • 한일간 전파연구분야회의(1990)

    한일간 전파연구분야회의(1990)

  • 이천분소 개소식(1993)

    이천분소 개소식(1993)

  • 전자파내성(EMS) 시험동 준공(1995)

    전자파내성(EMS) 시험동 준공(1995)

  • 전파환경조사(1997)

    전파환경조사(1997)

연구장비

연구장비

  • 연구장비1
  • 연구장비2
  • 연구장비3
  • 연구장비4
  • 연구장비5
  • 연구장비6
  • 연구장비7
  • 연구장비8
  • 연구장비9
  • 연구장비10
  • 연구장비11
  • 연구장비12
  • 연구장비13
  • 연구장비14
  • 연구장비15
  • 연구장비16
  • 연구장비17
  • 연구장비18
  • 연구장비19
  • 연구장비20

사진으로 보는 연구원

사진으로 보는 연구원

1966년 10월 5일, 이진복 차관, 백오현 전파관리국장 등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전파연구소 개소식이 열렸다. 공간전파 잡음이 적어야 하는 등 전파연구 수행에 가장 적합한 지역을 전파연구소 건립지로 물색한 끝에, 당시 경기도 시흥군 안양읍 호계리에 대지 4,926평, 건평 352평의 2층 현대식 건물로 청사를 건설했다. 1965년 7월 착공해서 1년여 만에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전파 예·경보, 전리층 관측 등이 주요 업무였다. 전파연구소의 공식 출범은 전파관리국 직제에 전파연구소 조항을 신설한 대통령령 제2397호가 1966년 2월 5일 공포되면서 법적 근거를 갖추게 되었다. 이후 3월 19일 오세관 초대 소장 임명을 시작으로 전파과, 표준과, 서무과 소속 직원 발령이 이어졌고, 신촌전화국 2층 사무실을 임시사무소로 본격적인 개소 준비에 들어갔다. 전파연구소의 출범은 1952년 1월 31일 ITU 가입, 1961년 10월 21일 체신부 내 전파관리국 신설, 1962년 1월 1일 전파관리법 시행 등 전파자원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당시 전파이용의 증가에 따른 연구개발 및 실용화와 전파기술의 개발을 위한 제반 기능의 강화 뿐만 아니라 전파주권의 확립과 국제 활동 역량 강화 등을 주도할 국가 연구기관의 설립이 절실했다.

  • 온습도시험장치

    온습도시험장치

  • 수정발진자 주파수 측정 및 교정시설

    수정발진자 주파수 측정 및 교정시설

  • 전리층관측장치

    전리층관측장치

  • 표준주파수시험시설, 주파수표준장치 교정시설

    표준주파수시험시설, 주파수표준장치 교정시설

  • 전파교 준공식 후 다리를 건너는 오세관 소장과 마을 주민들. 전파연구소가 1967년 58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연구소 입구에 건설한 전파교는 이후 관리 주체가 바뀌고 여러 차례 개보수와 재건설 등 많은 변화를 겪어왔지만 그 명칭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전파교 준공식 후 다리를 건너는 오세관 소장과 마을 주민들
    전파연구소가 1967년 58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연구소 입구에 건설한 전파교는 이후 관리 주체가 바뀌고 여러 차례 개보수와 재건설 등 많은 변화를 겪어왔지만 그 명칭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 NF-105 전계강도 측정기로 전파환경 잡음 조사

    NF-105 전계강도 측정기로 전파환경 잡음 조사

  • 1973년 7월 VHF대 반방해전파수신용 안테나 개발 시험

    1973년 7월
    VHF대 반방해전파수신용 안테나 개발 시험

  • 1989년 7월 1일 완공된 전자파무반사실

    1989년 7월 1일
    완공된 전자파무반사실

  • 1990년 상반기 연구발표회

    1990년
    상반기 연구발표회

  • 1990년 5월 대만 전신총국장 P.Y. Lee와 협력방안을 협의하는 박영일 소장

    1990년 5월
    대만 전신총국장 P.Y. Lee와 협력방안을 협의하는 박영일 소장

  • 1990년 5월 일본 우정성에서 열린 한·일간 전파연구분야 회의

    1990년 5월
    일본 우정성에서 열린 한·일간 전파연구분야 회의

  • 1991년 6월 22일 윤동윤 장관이 참석한 전자파내성측정시설 준공식

    1991년 6월 22일
    윤동윤 장관이 참석한 전자파내성측정시설 준공식

  • 이천분소 개소를 앞두고 공사가 한창인 국가표준 야외시험장 그라운드플랜 설치 작업

    이천분소 개소를 앞두고 공사가 한창인 국가표준 야외시험장 그라운드플랜 설치 작업

  • 1993년 12월 29일 열린 이천분소 개소식. 1992년 11월 23일 대통령령으로 신설이 확정된 이천분소는 국제 수준의 전자파장해검정 국가표준 야외시험장을 구축함으로써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에 버금가는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1993년 12월 29일
    이천분소 개소식
    1992년 11월 23일 대통령령으로 신설이 확정된 이천분소는 국제 수준의 전자파장해검정 국가표준 야외시험장을 구축함으로써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에 버금가는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 1995년 8월 이천분소 전자파내성시험장 준공식. 시험동 건물은 이보다 앞선 1994년 12월에 완공

    1995년 8월
    이천분소 전자파내성시험장 준공식
    시험동 건물은 이보다 앞선 1994년 12월에 완공

  • 1998년 6월 전파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정보문화의 달 기념 전파기술세미나

    1998년 6월
    전파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정보문화의 달 기념 전파기술세미나

  • 1998년 12월 11일 개최된 EMC 기술기준워크숍

    1998년 12월 11일
    EMC 기술기준워크숍

  • 1999년 2월 11일 문을 연 RF시험지원센터는 167종 536대의 유무선 시험장비들을 벤처 및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을 위한 성능측정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무료로 개방했다

    1999년 2월 11일
    문을 연 RF시험지원센터는 167종 536대의 유무선 시험장비들을 벤처 및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을 위한 성능측정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무료로 개방했다

  • 1999년 제5차 중소기업 지원 RF기술교육

    1999년
    제5차 중소기업 지원 RF기술교육

  • 1999년 4월 14일 광운대학교와 연구협력 조인식

    1999년 4월 14일
    광운대학교와 연구협력 조인식

  • 1999년 5월 13일 용산청사 이전 기념 현판식. 안양청사는 개소 이후 꾸준히 증축·확장되어 왔으나 전파이용분야의 급성장으로 인한 업무량 증대, 인력 및 시설 수용 공간 부족, 연구활동의 심화, 국제 협상 역량 강화 등의 과제를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용산 원효로의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이 천안으로 이전하면서, 마침내 전파연구소는 새 청사를 확보, 용산청사 시대를 열게 되었다. 한편, 이보다 두 달 앞선 1999년 3월 9일 정부조직 개편에 발맞추어 3과 2담당관 1분소 체제에서 5과 1분소로 조직을 개편했고, 인증업무를 담당하는 품질인증과를 기존 안양 청사에 배치했다

    1999년 5월 13일
    용산청사 이전 기념 현판식
    안양청사는 개소 이후 꾸준히 증축·확장되어 왔으나 전파이용분야의 급성장으로 인한 업무량 증대, 인력 및 시설 수용 공간 부족, 연구활동의 심화, 국제 협상 역량 강화 등의 과제를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용산 원효로의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이 천안으로 이전하면서, 마침내 전파연구소는 새 청사를 확보, 용산청사 시대를 열게 되었다. 한편, 이보다 두 달 앞선 1999년 3월 9일 정부조직 개편에 발맞추어 3과 2담당관 1분소 체제에서 5과 1분소로 조직을 개편했고, 인증업무를 담당하는 품질인증과를 기존 안양 청사에 배치했다

  • 1999년 7월 19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된 중소기업지원 EMC 전문기술교육

    1999년 7월 19일부터 20일까지
    중소기업지원 EMC 전문기술교육

  • 2000년 5월 터키에서 열린 WRC. 당시 WRC에서는 IMT-2000용 주파수 대역 추가 분배가 가장 큰 쟁점이었다

    2000년 5월
    터키에서 열린 WRC.
    당시 WRC에서는 IMT-2000용 주파수 대역 추가 분배가 가장 큰 쟁점이었다

  • 2000년 7월 ISO9002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2000년 7월
    ISO9002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 2000년 9월 방콕에서 개최된 WRC-2003 아태지역 준비회의 참가

    2000년 9월
    방콕에서 개최된 WRC-2003 아태지역 준비회의 참가

  • 2000년 12월 15일 개최된 제5회 전파기술세미나

    2000년 12월 15일
    제5회 전파기술세미나

  • 2000년 12월 26일 열린 연구시험동 준공식

    2000년 12월 26일
    연구시험동 준공식

  • 2001년 이천분소에서 실시한 육군특전교육단 전파통신교육

    2001년
    이천분소에서 실시한 육군특전교육단 전파통신교육

  • 2001년 6월 15일 열린 제1차 정보통신국가표준심의회. 정보통신표준화업무가 2000년 12월 본부에서 이관된 후 전파연구소 주관으로는 처음 열린 회의였다

    2001년 6월 15일
    제1차 정보통신국가표준심의회
    정보통신표준화업무가 2000년 12월 본부에서 이관된 후 전파연구소 주관으로는 처음 열린 회의였다

  • 2001년 12월 21일 이천분소에서 열린 우주환경예보 경보시스템 구축 기념행사

    2001년 12월 21일
    이천분소에서 열린 우주환경예보 경보시스템 구축 기념행사

  • 2002년 3월 26일 SAR분야 최초 민간시험기관지정식. 전파연구소에 SAR측정시스템이 구축된 것은 1999년 2월이었다

    2002년 3월 26일
    SAR분야 최초 민간시험기관 지정식
    전파연구소에 SAR측정시스템이 구축된 것은 1999년 2월이었다

  • 2002년 4월 10일 베트남 우편통신품질센터(PTQC)와 MOU 체결

    2002년 4월 10일
    베트남 우편통신품질센터(PTQC)와 MOU 체결

  • 2002년 6월 12일 중국정보통신기기 인증제도 설명회 주최

    2002년 6월 12일
    중국정보통신기기 인증제도 설명회 주최

  • 2002년 6월 17일 베트남 우편통신부(DGPT) 차관 방문

    2002년 6월 17일
    베트남 우편통신부(DGPT) 차관 방문

  • 2002년 7월 23일 일본 통신총합연구소(CRL)와 공동협력연구 MOU 체결

    2002년 7월 23일
    일본 통신총합연구소(CRL)와 공동협력연구 MOU 체결

  • 2003년 고속철도 전자파장해 시험기준 마련을 위한 측정

    2003년
    고속철도 전자파장해 시험기준 마련을 위한 측정

  • 2003년 6월 9일부터 7월 4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WRC-2003회의. 당시 회의에서 한국은 방송위성서비스(BSS) 규정을 놓고 2.3㎓와 2.6㎓ 주파수대역에서 일본과 치열한 경쟁을 벌여 회의장 안팎에서 화제가 될 정도였다고 한다. 막판까지 이어진 협상에서 일본 측은 2.3㎓ 대역을 위성DMB 용도로 하자는 당초 주장에서 물러섰으며 2.6㎓ 대역의 추가 주파수를 위성DMB용으로 한국과 공동 사용하는 데 합의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휴대인터넷과 위성DMB 주파수대역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2003년 6월 9일부터 7월 4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WRC-2003회의
    당시 회의에서 한국은 방송위성서비스(BSS) 규정을 놓고 2.3㎓와 2.6㎓ 주파수대역에서 일본과 치열한 경쟁을 벌여 회의장 안팎에서 화제가 될 정도였다고 한다.
    막판까지 이어진 협상에서 일본 측은 2.3㎓ 대역을 위성DMB 용도로 하자는 당초 주장에서 물러섰으며 2.6㎓ 대역의 추가 주파수를 위성DMB용으로 한국과 공동 사용하는 데 합의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휴대인터넷과 위성DMB 주파수대역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 2003년 7월부터 운영을 개시한 불법불량 정보통신기기 신고센터 현판식

    2003년 7월부터
    운영을 개시한 불법불량 정보통신기기 신고센터 현판식

  • 2003년 12월 15일 안양에서 용산청사로 인증시험시설을 이전하고 기념식을 가졌다

    2003년 12월 15일
    안양에서 용산청사로 인증시험시설을 이전하고 기념식을 가졌다

  • 2004년 1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WHO 아태지역 EMF 회의 참가

    2004년 1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WHO 아태지역 EMF 회의 참가

  • 2004년 2월 부산에서 개최된 제12차 ITU-R WP8F 회의

    2004년 2월
    부산에서 개최된 제12차 ITU-R WP8F 회의

  • 2004년 5월 베트남 우편통신품질센터(PTQC) 방문

    2004년 5월
    베트남 우편통신품질센터(PTQC) 방문

  • 2004년 5월 27일 한국정보통신기능대학과 MOU 체결

    2004년 5월 27일
    한국정보통신기능대학과 MOU 체결

  • 2004년 9월 7일에서 9일까지 부산에서 열린 제1차 APT무선 포럼(APT Wireless Forum) 회의. 한국의 주도로 설립된 AWF는 제1차 회의에서 통신과 방송의 융합에 따른 아태지역 각국의 규제 및 정책을 논의하는 업무그룹(TG3)을 출범시켰다

    2004년 9월 7일에서 9일까지
    부산에서 열린 제1차 APT무선포럼(APT Wireless Forum) 회의
    한국의 주도로 설립된 AWF는 제1차 회의에서 통신과 방송의 융합에 따른 아태지역 각국의 규제 및 정책을 논의하는 업무그룹(TG3)을 출범시켰다

  • 2004년 9월 13일부터 15일까지 미국 등 7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전파연구소에서 열린 SDR포럼(Software Defined RadioForum) 회의

    2004년 9월 13일부터 15일까지
    미국 등 7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전파연구소에서 열린 SDR포럼(Software Defined RadioForum) 회의

  • 2004년 10월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IEC TC 106 WG4 회의

    2004년 10월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IEC TC 106 WG4 회의

  • 2004년 10월 14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제4차 한일DTV협력회의

    2004년 10월 14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제4차 한일DTV협력회의

  • 2004년 12월 2일 서울대학교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와 MOU 체결

    2004년 12월 2일
    서울대학교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와 MOU 체결

  • 2005년 2월 28일부터 3월 3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APG-2007 제2차 사전준비회의

    2005년 2월 28일부터 3월 3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APG-2007 제2차 사전준비회의

  • 2005년 4월 25일부터 29일까지 열린 한중위성망조정회의

    2005년 4월 25일부터 29일까지
    한중위성망조정회의

  • 2005년 8월 25일부터 31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제3차 ITU-R JTG 6-8-9 회의. 2500~2690㎒ 대역에서 위성DMB, IMT-2000 서비스 등이 적절하게 주파수를 사용할 수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

    2005년 8월 25일부터 31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제3차 ITU-R JTG 6-8-9 회의
    2500~2690㎒ 대역에서 위성DMB, IMT-2000 서비스 등이 적절하게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

  • 2005년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제주에서 열린 제5차 한일DTV협력회의

    2005년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제주에서 열린 제5차 한일DTV협력회의

  • 2005년 12월 8일 전자파측정센터 준공식을 갖고 서비스를 개시했다. 개소당시에는 중대형 안테나시험실(주파수범위 400㎒~60㎓), 휴대전화전용 안테나시험실(주파수 범위 800㎒~6㎓),EMC 차폐실로 구성됐다. 이듬해에는100㎓까지 안테나 측정이 가능한 소형안테나 측정시스템과 18㎓까지 측정이가능한 국제수준의 EMC 측정시스템을구축했다

    2005년 12월 8일
    전자파측정센터 준공식을 갖고 서비스를 개시했다
    개소당시에는 중대형 안테나시험실(주파수범위 400㎒~60㎓), 휴대전화전용 안테나시험실(주파수 범위 800㎒~6㎓), EMC 차폐실로 구성됐다.
    이듬해에는 100㎓까지 안테나 측정이 가능한 소형안테나 측정시스템과 18㎓까지 측정이 가능한 국제수준의 EMC 측정시스템을 구축했다

  • 2006년 3월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전파연구소 40주년 기념행사

    2006년 3월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전파연구소 40주년 기념행사

  • 2006년 8월 IT NEP 제1호 인증서를 (주)가인테크에 수여. NEP(New Excellent Product)는 국내에서 개발된 신기술을 적용하여 생산한 제품에 대해 정부가 기술, 성능, 품질의 우수성을 인증하는 제도로 IT 분야는 전파연구소가 2006년 5월부터 제도 운영을 시작했다

    2006년 8월
    IT NEP 제1호 인증서를 (주)가인테크에 수여
    NEP(New Excellent Product)는 국내에서 개발된 신기술을 적용하여 생산한 제품에 대해 정부가 기술, 성능, 품질의 우수성을 인증하는 제도로 IT 분야는 전파연구소가 2006년 5월부터 제도 운영을 시작했다

  • 2006년 8월 22일에서 9월 4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ITU-R WP 6A, 6E, 6J, 6M and 6S 회의. 전 세계 30여 개국의 정부기관, 국내외 방송기술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상파DMB, 재난방송의 표준화 등 방송기술 전반에 걸친 표준화 논의가 진행됐다

    2006년 8월 22일에서 9월 4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ITU-R WP 6A, 6E, 6J, 6M and 6S 회의
    전 세계 30여 개국의 정부기관, 국내외 방송기술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상파DMB, 재난방송의 표준화 등 방송기술 전반에 걸친 표준화 논의가 진행됐다

  • 2006년 12월 19일 개최된 한국ITU연구위원회총회. 1999년 1월 출범한 한국ITU-R연구위원회는 2003년 1월 RAG분과를, 2004년 1월에는 JTG 6-8-9분과를 신설하며 변화하는 국제 환경에 대응해오다 2004년 12월 ITU-T분과를 통합하고 ITU-D분과를 신설하여 한국ITU연구위원회로 확대 개편되었다

    2006년 12월 19일
    개최된 한국ITU연구위원회총회
    1999년 1월 출범한 한국ITU-R연구위원회는 2003년 1월 RAG분과를, 2004년 1월에는 JTG 6-8-9분과를 신설하며 변화하는 국제 환경에 대응해오다 2004년 12월 ITU-T분과를 통합하고 ITU-D분과를 신설하여 한국ITU연구위원회로 확대 개편되었다

  • 2007년 1월 8일부터 12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제4차 APG-07(APT Conference Preparatory Group meeting for WRC-07) 회의. 우리나라는 산학연 관계전문가로 구성된 30여 명의 대표단을 파견했다. 회의에서는 IMT-Advanced용 주파수 분배, WRC-03에서 IMT-2000 용으로 분배된 2.5㎓ 대역에서 위성업무와 지상업무(이동통신 등)간 주파수 공유를 위한 기술적 조건 등의 문제가 논의되었다

    2007년 1월 8일부터 12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제4차 APG-07(APT Conference Preparatory Group meeting for WRC-07) 회의
    우리나라는 산학연 관계전문가로 구성된 30여 명의 대표단을 파견했다. 회의에서는 IMT-Advanced 용 주파수 분배, WRC-03에서 IMT-2000 용으로 분배된2.5㎓ 대역에서 위성업무와 지상업무(이동통신 등)간 주파수 공유를 위한 기술적 조건 등의 문제가 논의되었다

  • 2007년 2월 19일부터 3월 2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ITU-R CPM(Conference Preparatory Meeting)

    2007년 2월 19일부터 3월 2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ITU-R CPM(Conference Preparatory Meeting)

  • 2007년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제주체신청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파수자원분석시스템구축 사용자 교육

    2007년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제주체신청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파수자원분석시스템구축 사용자 교육

  • 2007년 7월 13일 서울에서 개최한 국제스펙트럼회의 2007

    2007년 7월 13일
    서울에서 개최한 국제스펙트럼회의 2007

  • 2007년 8월 24일 주최한 해외정보통신인증제도 설명회

    2007년 8월 24일
    주최한 해외정보통신인증제도 설명회

  • 2007년 8월 27일부터 31일까지 전파연구소에서 열린 제3차 한-인니 위성망 조정회의

    2007년 8월 27일부터 31일까지
    전파연구소에서 열린 제3차 한-인니 위성망 조정회의

  • 2008년 10월 7일 IMT-Advanced 워크숍. ITU-R WP5D 개막 하루 앞서 열려 차세대 이동통신의 기술규격, 표준화 절차, 평가 기준 및 기술개발 현황, 개발도상국의 IMT-2000(3세대 이동통신)과 차세대 이동통신에 대한 요구사항 등이 발표됐다

    2008년 10월 7일
    IMT-Advanced 워크숍
    ITU-R WP5D 개막 하루 앞서 열려 차세대 이동통신의 기술규격, 표준화 절차, 평가 기준 및 기술개발 현황, 개발도상국의 IMT-2000(3세대 이동통신)과 차세대 이동통신에 대한 요구사항 등이 발표됐다

  • 2008년 10월 8일부터 15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ITU-R WP5D 회의. IMT-Advanced 후보기술 제안에 필요한 기술 항목과 설명방식 등을 담은 기술제안서식과 후보기술 평가방법 보고서가 완성돼 향후 표준화에 필요한 작업이 완료됐다

    2008년 10월 8일부터 15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ITU-R WP5D 회의
    IMT-Advanced 후보기술 제안에 필요한 기술 항목과 설명방식 등을 담은 기술제안서식과 후보기술 평가방법 보고서가 완성돼 향후 표준화에 필요한 작업이 완료됐다

  • 2008년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과천 서울대공원에서 열린 2008 전파엑스포 공동 주관 및 전파 홍보관 운영. 2007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전파엑스포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으로 꾸며져 관람객들의 호응이 높았다

    2008년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과천 서울대공원에서 열린 2008 전파엑스포 공동 주관 및 전파 홍보관 운영
    2007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전파엑스포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으로 꾸며져 관람객들의 호응이 높았다

  • 2008년 11월 19일 용산청사 내에 구축 완료된 유비쿼터스 전파실험실. 복잡한 기기,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최첨단 기술들이 혼재된 홈 네트워크 환경을 실제 일반 가정의 모습으로 재현한 실험 공간이었다

    2008년 11월 19일
    용산청사 내에 구축 완료된 유비쿼터스 전파실험실
    복잡한 기기,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최첨단 기술들이 혼재된 홈 네트워크 환경을 실제 일반 가정의 모습으로 재현한 실험 공간이었다

  • 2009년 2월 24일부터 3월 4일까지 서울에서 열린ITU-R WP1A & WP1B 회의. 49개국 주파수정책 담당자 등 200여 명이 참가하여 인지무선(CR), 소프트웨어정의무선(SDR) 도입을 위해 필요한 규정을 마련하고, 소출력 무선설비, 전력선통신시스템, 전파응용설비에 의한 혼신 영향 분석과 275~3,000㎓대 주파수분배표 개정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2009년 2월 24일부터 3월 4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ITU-R WP1A & WP1B 회의
    49개국 주파수정책 담당자 등 200여 명이 참가하여 인지무선(CR), 소프트웨어정의무선(SDR) 도입을 위해 필요한 규정을 마련하고, 소출력 무선설비, 전력선통신시스템, 전파응용설비에 의한 혼신 영향 분석과 275~3,000㎓대 주파수 분배표 개정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 2009년 4월 23일 해병대2사단과 실시한 소형 무인 항공기 전파간섭 영향평가

    2009년 4월 23일
    해병대2사단과 실시한 소형 무인항공기 전파간섭 영향평가

  • 2009년 5월 20일 전파연구소를 방문한 미국 기상업무국(NWS) 부국장과 해양대기청(NOAA) 소속 직원들. 같은 해 12월 미국 해양대기청 본부에서 해양대기청 소속 기상업무국과 한미 양국의 우주전파환경예·경보 업무에 관한 협력각서(LOA)를 체결했다

    2009년 5월 20일
    전파연구소를 방문한 미국 기상업무국(NWS) 부국장과 해양대기청(NOAA) 소속 직원들
    같은 해 12월 미국 해양대기청 본부에서 해양대기청 소속 기상업무국과 한미 양국의 우주전파환경예·경보 업무에 관한 협력각서(LOA)를 체결했다

  • 2009년 9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실시한 요르단 교육생 대상으로 훈련과정. 같은 달 21일부터 25일까지는 아세안 국가 교육생을 대상으로 IT장비 테스팅 및 인증시스템 훈련과정을 운영했다

    2009년 9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실시한 요르단 교육생 대상으로 훈련과정
    같은 달 21일부터 25일까지는 아세안 국가 교육생을 대상으로 IT장비 테스팅 및 인증시스템 훈련과정을 운영했다

  • 2009년 10월 16일 공군과 우주전파환경 관측 및 예보 인프라 공동 활용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MOU 체결

    2009년 10월 16일
    공군과 우주전파환경 관측 및 예보 인프라 공동 활용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MOU 체결

  • 2009년 10월 29일 전파연구소 주최로 열린 제1회 우주전파환경 서비스 수요자 컨퍼런스. 육군, 공군, KBS, KT, 행정안전부, 기상청, 항공우주연구원, 천문연구원 등 태양활동 시 발생하는 급격한 우주전파환경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국내 방송·통신 및 재난 관련 50여 기관, 100여 명의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2009년 10월 29일
    전파연구소 주최로 열린 제1회 우주전파환경 서비스 수요자 컨퍼런스
    육군, 공군, KBS, KT, 행정안전부, 기상청, 항공우주연구원, 천문연구원 등 태양활동 시 발생하는 급격한 우주전파환경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국내 방송·통신 및 재난 관련 50여 기관, 100여 명의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 2009년 12월 23일 개최한 국제회의 대응체계강화 워크숍

    2009년 12월 23일
    국제회의 대응체계강화 워크숍

  • 2009년 12월 24일 열린 방송통신 사이버안전센터 개소식. 통합보안관제시스템을 구축한 사이버안전센터는 방송통신위원회와 전파연구소, 중앙전파관리소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인터넷상의 유해 트래픽을 파악해 위험성을 분석하고 침해 사고가 예상될 경우 조기경보 및 침입 차단 업무를 담당하게되었다. 같은 해 7월 우리나라와 미국의 주요 정부기관, 포털 사이트, 은행 사이트 등이 동시다발적인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을 받아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마비된 바 있다

    2009년 12월 24일
    방송통신 사이버안전센터 개소식
    통합보안관제시스템을 구축한 사이버안전센터는 방송통신위원회와 전파연구소,
    중앙전파관리소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인터넷상의 유해 트래픽을 파악해 위험성을 분석하고 침해 사고가 예상될 경우 조기경보 및 침입 차단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같은 해 7월 우리나라와 미국의 주요 정부기관, 포털 사이트, 은행 사이트 등이 동시다발적인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을 받아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마비된 바 있다

  • 2009년 12월 24일 진행된 전파누리관 준공식. 2007년도부터 4년여에 걸쳐 총 76억 원을 투입하여 국제적 수준으로 건립된 전파누리관은 대출력 전파간섭 실험 및분석, 국제규격에 따른 전자파적합성(EMC) 측정, 무선기기의 복사성전력(EIRP) 측정 업무를 시작했다

    2009년 12월 24일
    전파누리관 준공식
    2007년도부터 4년여에 걸쳐 총 76억 원을 투입하여 국제적 수준으로 건립된 전파누리관은 대출력 전파간섭 실험 및 분석, 국제규격에 따른 전자파적합성(EMC) 측정, 무선기기의 복사성전력(EIRP) 측정 업무를 시작했다

  • 2010년 1월 14일 진행된 공공주파수관리시스템 구축 기념식. 외교·국방·안보용 주파수 사용승인 요청에 대한 기술적인 전파간섭 분석, 효율적인 주파수 공유를 위해 무인항공기 등의 주파수와 동 대역에서 운용중인 타장비와의 간섭영향을 실측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됐다

    2010년 1월 14일
    공공주파수관리시스템 구축 기념식
    외교·국방·안보용 주파수 사용승인 요청에 대한 기술적인 전파간섭 분석, 효율적인 주파수 공유를 위해 무인항공기 등의 주파수와 동 대역에서 운용중인 타장비와의 간섭영향을 실측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됐다

  • 2010년 5월 3일 숭실대학교와 전파방송통신 분야의 연구협력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MOU 체

    2010년 5월 3일
    숭실대학교와 전파방송통신 분야의 연구협력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MOU 체결

  • 2010년 6월 28일부터 7월 1일까지 방송통신기기 시험기관 심사원 양성교육 실시

    2010년 6월 28일부터 7월 1일까지
    방송통신기기 시험기관 심사원 양성교육 실시

  • 2010년 7월 5일부터 7월 30일까지 4주간 전파·통신 관련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처음 실시한 전파연구소 인턴십 교육

    2010년 7월 5일부터 7월 30일까지
    4주간 전파·통신 관련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처음 실시한 전파연구소 인턴십 교육

  • 2010년 7월 19일 합동참모본부와 MOU 체결

    2010년 7월 19일
    합동참모본부와 MOU 체결

  • 2010년 12월 29일 열린 우주전파센터 준공식

    2010년 12월 29일 열린
    우주전파센터 준공식

  • 2011년 5월 17일부터 19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11차 APT 정책·규제포럼(PRF) 참가

    2011년 5월 17일부터 19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11차 APT 정책·규제포럼(PRF) 참가

  • 2011년 6월 28일부터 30일까지 중국 마카오에서 열린 아태지역 전기통신 및 ICT 발전 포럼(ADF) 참가

    2011년 6월 28일부터 30일까지
    중국 마카오에서 열린 아태지역 전기통신 및 ICT 발전 포럼(ADF) 참가

  • 2011년 7월 4일부터 6일까지 피지 나디에서 우리나라의 지원으로 열린 ITU 표준화격차해소 워크숍. 표준 관련 인력, 예산 및경험이 부족한 아태지역 내 개발도상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표준 자문프로그램뿐 아니라 표준화 정책 및 기술 등을 홍보했다

    2011년 7월 4일부터 6일까지
    피지 나디에서 우리나라의 지원으로 열린 ITU 표준화격차해소 워크숍
    표준 관련 인력, 예산 및 경험이 부족한 아태지역 내 개발도상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표준 자문프로그램뿐 아니라 표준화 정책 및 기술 등을 홍보했다

  • 2011년 8월 26일 열린 국립전파연구원 개원식. 국립전파연구원 승격은 기술 융·복합의 진전으로 전파이용 분야와 환경이 급변하면서 보다 강화된 역량과 위상으로 국제 경쟁의 파도를 넘어야 할 시대적 필요성에 따른 조치였다

    2011년 8월 26일
    국립전파연구원 개원식
    국립전파연구원 승격은 기술 융·복합의 진전으로 전파이용 분야와 환경이 급변하면서 보다 강화된 역량과 위상으로 국제 경쟁의 파도를 넘어야 할 시대적 필요성에 따른 조치였다

  • 2011년 9월 19일 ITU-T SG5 회의 개막하루 앞서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그린ICT표준을 통한 기후변화 어젠다 대응ITU 심포지엄. 국립전파연구원, ITU, KCC가 공동 개최하고 KT, ETRI가 후원했으며, 34개국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전문가200여 명이 참석했다

    2011년 9월 19일
    ITU-T SG5 회의 개막 하루 앞서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그린ICT표준을 통한 기후변화 어젠다 대응 ITU 심포지엄
    국립전파연구원, ITU, KCC가 공동 개최하고 KT, ETRI가 후원했으며, 34개국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했다

  • 2011년 9월 20일부터 28일까지 국립전파연구원이 ITU, KCC와 공동 개최한 ITU-T SG5 회의. 미국, 영국, 케냐, 일본 등 30개의 회원국과 프랑스 텔레콤, 미국 애플 등 56개의 부문 회원으로부터 144명의 국내외 표준 전문가가 참가했다. ICT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방식 표준, 그린데이터센터 표준 등 총 12건의 표준안이승인되었다

    2011년 9월 20일부터 28일까지
    국립전파연구원이 ITU, KCC와 공동 개최한 ITU-T SG5 회의
    미국, 영국, 케냐, 일본 등 30개의 회원국과 프랑스 텔레콤, 미국 애플 등 56개의 부문 회원으로부터 144명의 국내외 표준 전문가가 참가했다. ICT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방식 표준, 그린데이터센터 표준 등 총 12건의 표준안이 승인되었다

  • 2011년 11월 3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MOU 체결

    2011년 11월 3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MOU 체결

  • 2011년 11월 16일 열린 우주전파센터 개소식. 2008년 우주전파센터 설립에 관한 연구용역을 마치고,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되었다. 2010년 3월 기공식이 있었고 같은 해 12월에 부지면적 5만 8,711㎡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완공됐다. 총 사업비는 186억 원. 완공 후 1년간 우주전파 관측 및 예보서비스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개소하게 되었으며, 방송통신위원회 직제 개정에 따른 공식 출범은 2011년 8월이다

    2011년 11월 16일 열린
    우주전파센터 개소식
    2008년 우주전파센터 설립에 관한 연구 용역을 마치고,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되었다. 2010년 3월 기공식이 있었고 같은 해 12월에 부지면적 5만 8,711㎡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완공됐다. 총 사업비는 186억 원. 완공 후 1년간 우주전파 관측 및 예보서비스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개소하게 되었으며, 방송통신위원회 직제 개정에 따른 공식 출범은 2011년 8월이다

  • 2011년 11월 17일 우주 전파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국제기구인 국제우주환경서비스기구(ISES)에 가입하고 세계에서 14번째 지역경보센터(RWC)로 선정됐다. 이재형 우주전파센터장(왼쪽)과 데이비드 보틀러 ISES의장

    2011년 11월 17일
    우주 전파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국제기구인 국제우주환경서비스기구(ISES)에 가입하고 세계에서 14번째 지역경보센터(RWC)로 선정됐다.
    이재형 우주전파센터장(왼쪽)과 데이비드 보틀러 ISES의장

  • 2011년 11월 17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제1회 우주전파환경 국제콘퍼런스

    2011년 11월 17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제1회 우주전파환경 국제콘퍼런스

  • 2011년 11월 17일 한국천문연구원과 우주전파환경 예·경보 업무와 우주분야 연구개발에 대한 MOU 체결

    2011년 11월 17일
    한국천문연구원과 우주전파환경 예·경보 업무와 우주분야 연구개발에 대한 MOU 체결

  • 2011년 11월 22일 동신대학교와 연구협력 협약 체결

    2011년 11월 22일
    동신대학교와 연구협력 협약 체결

  • 2012년 3월 21일 국립전파연구원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의 신청사 공동 착공식이 이계철 방송통신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빛가람혁신도시에서 열렸다

    2012년 3월 21일
    국립전파연구원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의 신청사 공동 착공식이 이계철 방송통신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빛가람혁신도시에서 열렸다

  • 2012년 3월 29일 정부부처 및 방송통신·위성·항공·전력 분야의 관계자 100여 명을 대상으로 개최된 우주전파센터 설명회

    2012년 3월 29일
    정부부처 및 방송통신·위성·항공·전력 분야의 관계자 100여 명을 대상으로 개최된 우주전파센터 설명회

  • 2012년 4월 9일부터 13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제4차 한·말레이시아 정부간 위성망 조정회의. 국립전파연구원을 비롯해 합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T 등의 위성 전문가들이 무궁화 위성의 안정적 운용을 위한 전파간섭 조정 등 24개의 의제에 걸쳐 말레이시아 정부 및 위성 기관을 상대로 협상했다

    2012년 4월 9일부터 13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제4차 한·말레이시아 정부간 위성망 조정회의
    국립전파연구원을 비롯해 합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T 등의 위성 전문가들이 무궁화 위성의 안정적 운용을 위한 전파간섭 조정 등 24개의 의제에 걸쳐 말레이시아 정부 및 위성 기관을 상대로 협상했다

  • 2012년 5월 3일 열린 2012년 정보통신공사 사용전검사 워크숍. 전남도청에서 광주·전남지역 정보통신공사분야 전문가 및 관계 공무원을 대상으로 구내통신설비 기술기준에 대한 설명회를 가졌다

    2012년 5월 3일
    2012년 정보통신공사 사용전검사 워크숍
    전남도청에서 광주·전남지역 정보통신공사분야 전문가 및 관계 공무원을 대상으로 구내통신설비 기술기준에 대한 설명회를 가졌다

  • 2012년 6월 19일 이천분소가 전파시험인증센터로 개편되어 FTA와 방송통신기자재의 국가 간 상호인정협정(MRA)에 대비, 전파관련 시험·인증을 맡게 되었다

    2012년 6월 19일
    이천분소가 전파시험인증센터로 개편되어 FTA와 방송통신기자재의 국가 간 상호인정협정(MRA)에 대비, 전파관련 시험·인증을 맡게 되었다

  • 2012년 6월 26일 그린ICT 정책 개발을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그린ICT포럼 창립총회. 이미 2011년 9월에 열린 ITU 기후변화 심포지엄에서 방송통신위원회 신용섭 상임위원이 설립을 표명한 바 있으며, 방송통신 산업의 국제 동향분석과 국가 간 협력, 방송통신 기술 표준화,정책과 제도의 개선, 인력양성과 대국민 홍보등 4개 분과위원회를 두고 출범했다

    2012년 6월 26일
    그린ICT 정책 개발을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그린ICT포럼 창립총회
    이미 2011년 9월에 열린 ITU 기후변화 심포지엄에서 방송통신위원회 신용섭 상임위원이 설립을 표명한 바 있으며, 방송통신 산업의 국제 동향분석과 국가 간 협력, 방송통신 기술 표준화, 정책과 제도의 개선, 인력양성과 대국민 홍보 등 4개 분과위원회를 두고 출범했다

  • 2012년 11월 20일부터 29일까지 두바이에서 개최된 세계전기통신표준화총회(WTSA-12). 우리나라는 국립전파연구원장을 수석대표로, 방송통신위원회, RRA, ETRI, KISDI, KAIST, TTA 등 9개 기관 30명을 파견했다

    2012년 11월 20일부터 29일까지
    두바이에서 개최된 세계전기통신표준화총회(WTSA-12)
    우리나라는 국립전파연구원장을 수석대표로, 방송통신위원회, RRA, ETRI, KISDI, KAIST, TTA 등 9개 기관 30명을 파견했다

  • 2013년 7월 11일 통신위성 활용실적 및 활성화 방안 워크숍

    2013년 7월 11일
    통신위성 활용실적 및 활성화 방안 워크숍

  • 2013년 8월 16일 RRA-ETRI 전파기술 합동 워크숍

    2013년 8월 16일
    RRA-ETRI 전파기술 합동 워크숍

  • 2013년 10월 16일 한국무선전력전송포럼과 미래창조과학부 공동 개최로 열린 무선전력전송 컨퍼런스 2013

    2013년 10월 16일
    한국무선전력전송포럼과 미래창조과학부 공동 개최로 열린 무선전력전송 컨퍼런스 2013

  • 2013년 12월 5일 국방시설본부와 국가 기반시설의 전자파 침해대책 마련을 위한 MOU 체결

    2013년 12월 5일
    국방시설본부와 국가 기반시설의 전자파 침해대책 마련을 위한 MOU 체결

  • 2014년 9월 18일에서 19일까지 진행된 전자파적합성 전문가 합동워크숍

    2014년 9월 18일에서 19일까지
    전자파적합성 전문가 합동워크숍

  • 2014년 10월 20일부터 11월 7일까지 부산에서 열린 ITU전권회의(ITU PP-14). 우리나라가 1952년 ITU에 가입한 이후 62년 만에 처음 개최하는 전권회의로, 171개국에서 장·차관급 112명을 포함한 3,000여 명의 회원국 대표가 참석하여 총 21회의 전체회의와 45차례의 소위원회 회의를 진행했다. 우리나라가 거둔 성과로는 첫 ITU 고위임원직인 표준화 총국장 배출, 7선 이사국 재선임, 우리나라가 개발하고 아태지역 공동결의로 제안한 ‘사물(IoT) 인터넷’ 환경 촉진을 위한 의제 채택 등을 들 수 있다

    2014년 10월 20일부터 11월 7일까지
    부산에서 열린 ITU전권회의(ITU PP-14)
    우리나라가 1952년 ITU에 가입한 이후 62년 만에 처음 개최하는 전권회의로, 171개국에서 장·차관급 112명을 포함한 3,000여 명의 회원국 대표가 참석하여 총 21회의 전체회의와 45차례의 소위원회 회의를 진행했다.
    우리나라가 거둔 성과로는 첫 ITU 고위임원직인 표준화 총국장 배출, 7선 이사국 재선임, 우리나라가 개발하고 아태지역 공동결의로 제안한 ‘사물(IoT) 인터넷’ 환경 촉진을 위한 의제 채택 등을 들 수 있다

  • 2014년 11월 14일 진행된 신청사 개청식. 2005년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 확정 발표, 2008년 10월 ‘국립전파연구원 지방이전계획’ 승인, 2011년 신청사 설계 완료, 2012년 2월 신청사 착공, 2014년 5월 준공 등 9년간의 계획과 준비를 거쳐 2014년 7월 1일부터 신청사에서 업무를 개시했다. 총사업비 463억원을 투입해 34,381㎡의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되었다

    2014년 11월 14일
    신청사 개청식
    2005년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 확정 발표, 2008년 10월 ‘국립전파연구원 지방이전계획’ 승인,
    2011년 신청사 설계 완료, 2012년 2월 신청사 착공, 2014년 5월 준공 등 9년간의 계획과 준비를 거쳐 2014년 7월 1일부터 신청사에서 업무를 개시했다.
    총사업비 463억원을 투입해 34,381㎡의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되었다

  • 2014년 11월 25일부터 29일까지 미얀마 양곤에서 개최된 ‘아·태지역 전기통신협의체(APT) 제13차 총회 및 38차 운영위원회 회의’ 참가

    2014년 11월 25일부터 29일
    미얀마 양곤에서 개최된 ‘아·태지역 전기통신협의체(APT) 제13차 총회 및 38차 운영위원회 회의’ 참가

  • 2015년 2월 12일 조선대학교와 MOU 체결

    2015년 2월 12일
    조선대학교와 MOU 체결

  • 2015년 4월 7일 전남대학교와 MOU 체결

    2015년 4월 7일
    전남대학교와 MOU 체결

  • 2015년 4월 14일 해양수산부 주최로 열린 e-Navigation포럼 참여. e-Navigation은 인적 과실에 의한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 기존 선박운항체계에 정보통신기술이 융·복합된 새로운 시스템으로 2019년부터 국제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2015년 4월 14일
    해양수산부 주최로 열린 e-Navigation포럼 참여
    e-Navigation은 인적 과실에 의한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 기존 선박운항체계에 정보통신기술이 융·복합된 새로운 시스템으로 2019년부터 국제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 2015년 6월 1일부터 5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된 한·인니 정부 간 위성망조정회의

    2015년 6월 1일부터 5일
    서울에서 진행된 한·인니 정부 간 위성망조정회의

  • 2015년 7월 20일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한국광산업진흥회에서 국내 광산업 및 지역 ICT 발전을 위해 시험연구시설의 공동 활용과 기술지원 협력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MOU 체결

    2015년 7월 20일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한국광산업진흥회에서 국내 광산업 및 지역 ICT 발전을 위해 시험연구시설의 공동 활용과 기술지원 협력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MOU 체결

  • 2015년 9월 23일과 24일 이틀간 전남 신안군 지도초등학교와 압해초등학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전자파안전교육 실시. 이보다 앞선 5월에는 나주 빛가람초등학교에서 실시

    2015년 9월 23일과 24일
    전남 신안군 지도초등학교와 압해초등학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전자파안전교육 실시. 이보다 앞선 5월에는 나주 빛가람초등학교에서 실시

  • 2015년 10월 13일 서울에서 개최한 제2차 전자파안전포럼

    2015년 10월 13일
    서울에서 개최한 제2차 전자파안전포럼

  • 2015년 10월 20일 대전에서 개최한 주부대상 전자파 안전 교육.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전자파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안전한 사용방법 안내. 8월 빛가람혁신도시를 시작으로 10월 대전과 서울에서 주부대상 교육이 실시되었다

    2015년 10월 20일
    대전에서 개최한 주부대상 전자파 안전 교육.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전자파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안전한 사용방법 안내
    8월 빛가람혁신도시를 시작으로 10월 대전과 서울에서 주부대상 교육이 실시되었다

  • 2015년 10월 24일부터 30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전파통신총회(RA-15)참가. 총회에서는 2020년 상용화 예정인 5세대 이동통신(IMT-2020)의 표준화 절차와 원칙이 의결되었으며, 우리나라는 5명의 실무 그룹 부의장을 배출했다

    2015년 10월 24일부터 3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전파통신총회RA-15)참가
    총회에서는 2020년 상용화 예정인 5세대 이동통신(IMT-2020)의 표준화 절차와 원칙이 의결되었으며, 우리나라는 5명의 실무 그룹 부의장을 배출했다

  • 2015년 10월 30일 본원에서 열린 전자파기술지원 성공사례 발표회

    2015년 10월 30일
    본원에서 열린 전자파기술지원 성공사례 발표회

  • 2015년 11월 19일 서울에서 개최한 제5회 우주전파환경 콘퍼런스

    2015년 11월 19일
    서울에서 개최한 제5회 우주전파환경 콘퍼런스

  • 2015년 12월 1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5 전파연구종합발표회

    2015년 12월 1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5 전파연구종합발표회

홍보동영상

홍보영상

50주년 홍보동영상

연구소장으로 부임했을 때는 연구소라고해도 참
여러가지 부족한 점이 많았는데 전파자원 개발 전파전파(電波傳播)연구, 모든 사람들이 쓸 수 있는 표준의 개발, 우리나라가 전파 다용도 국가가 되어가기 위한 노력을 우리 동료들과 많이 했습니다.

(자막:길 우리가 걸어온 길은… 1960’S 전파연구소 설립 (안양) 전리층 관측, 수정발진자 개발, 표준 주파수 연구 주력) 전파가 국가의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던 1960년대, 안전하고 풍부한 전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파연구소가 걸어왔던 외길- (자막:1970’S 전파통신 연구 영역 확장, 대한민국 전파 연구 기틀 마련) 사람과 사람, 사람과 세상을 잇기 위한 진심으로 오직 한길만을 걸어왔습니다. 다양한 기술연구를 통해 전파연구의 길을 끊임없이 확장해나간 전파연구소는- (자막:1980’S 전파연구의 기틀 확장 다중방송방식 연구, 위성통신 전파이용 기술 연구) 세계 전파 연구의 길을 함께 걷는 협력자이자 조력자로 명실상부한 국가 연구기관의 위상을 세웠습니다. (자막:1990’S 산.학.연 협력체계구축 청사이전 (용산)) 그리고- ‘국립전파연구원’으로 명칭을 변경하며 광범위해진 전파연구의 길을 더 넓게 확장해나갔습니다. (자막:2000’S 국립전파연구원으로 명칭변경 2014. 빛가람 혁신도시로 청사 이전) 국립전파연구원으로 시작하는 새로운 출발선 위에서- 대한민국 전파의 미래를 개척하며 더 나은 발전방향을 제시해 나가고 있는 국립전파연구원! (자막:우주전파센터 신설 방송통신 기술기준 정립 안전한 전자파 이용환경 안전한 방송통신 환경 조성) 우리나라에 하나밖에 없는 유일한 전파연구 기관이기 때문에 전 주파수대에 관한 여러가지 특성과 기준들을 빠짐없이 연구하고 우리가 연구한 모든 자료들을 국제기구에 서로 교류하면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크게 높여가야 될 때라고 생각합니다. (자막:미래 전파자원을 향한 이정표) 본격적으로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한 오늘날- 국립전파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력인 빅데이터, IOT산업의 기반이 되는 전파연구를 수행하여- 미래 전파 자원을 발굴하고 선점해 나가기 위한 올바른 길을 제시하는 이정표가 되려 합니다. 앞으로도 국립전파연구원은 새로운 전파가치를 창출하여 미래사회를 위한 ICT를 실현하기 위해- 지속적인 전파 연구와 전파발굴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세계 시장과 소통하며 ICT강국 대한민국이 꿈꾸는 미래 전파강국의 길을 끊임없이 개척해 나갈 것입니다. (자막:새로운 전파 가치 창출을 통해 미래 ICT 실현 Spectrum for the future Specialized Measurement Technologies Standard for Global harmonization Safety of ICT device Space Weather Activity) 대한민국 전파 자원의 신호탄이 되었던 지난 50년의 길- 전파연구원의 역사는 곧 대한민국 IT역사의 길 위에 발자취가 되어 따뜻한 디지털 세상의 초석이 되어왔습니다. 앞으로도 국립전파연구원은 지난 50년의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 ICT에 견인하는 전파산업의 새시대, 새 길을 열어가겠습니다! 국립전파연구원 전 직원들은 지난 50년 동안 쌓아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래 50년을 개척할 것입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인 전파자원을 확보하여 창조경제를 꽃피우고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전파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스마트세상을 누리도록 전파으뜸의 역할을 해 나가겠습니다. Leading Technology Innovation Widening Mobile Opportunities Making Global Partnership 보이지 않는 빛으로 더 나은 미래를 밝힙니다! 대한민국 전파으뜸 국립전파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