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Menu

부산의 탄소중립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부산광역시 기후변화대응계획

부산시는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부산 특성을 반영한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부산시 차원의 중장기 실행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전환, 산업, 건물,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흡수원 7개 부문 104개 세부 이행과제로,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47% 온실가스 감축,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세부적인 이행계획을 마련하고, 추진중에 있습니다.

부산의 온실가스 배출량
 
대한민국 72,763. 부산 2,653. 직접 58%, 간접 42%. 대한민국 대비 3.7%. 단위:만톤CO2eq.
부산의 온실가스 부문별 배출현황
 
건물 35%, 산업 29%, 수송 19%, 전환 12%, 기타 5%

비전

글로벌 기후 리더십 도시, 탄소중립도시 부산

목표

  • 2030년 47% 온실가스 감축,
    2050년 넷제로 달성
이행
  • 7개 부문 104개 세부 이행과제 추진(22개 부서)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자세한 사항을 볼 수 있어요.

이행의 전환, 산업, 건물,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흡수원에 관한 표입니다.
구분 저탄소 에너지 발전으로의 과감한 시스템 전환 기업과 함께하는 탄소중립형 산업기반 구축 제로에너지 건물활성화를 위한 과감한 혁신 저탄소 교통기반 및 미래형 교통 시스템 구축 도시형 저탄소 농축산 기반 구축 순환경제 기반조성 및 바이오에너지 활용체계구축 흡수원 확보 및 관리를 위한 녹색도시 조성
2018 3,484 7,749 9,150 5,110 352 674 -212
2030 206 4,904 4,824 3,655 205 249 -216
2050 0 523 272 245 31 0 -1090

단위: 천톤 CO2eq.

  • 최종수정일 202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