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 불안으로 원자재 가격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대내적으로는 '주52시간 근무제'와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등 규제로 인건비가 상승해 건설업체들은 수주를 줄이는 보수 경영 기조를 당분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강지호 기자


3년째 이어진 고금리 여파로 건설업계 수익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시공능력 상위 건설업체들도 2~5%대 영업이익률을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공급 불안으로 원자재 가격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대내적으로는 '주52시간 근무제'와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등 규제로 인건비가 상승해 건설업체들은 수주를 줄이는 보수 경영 기조를 당분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3개월 증권사 전망 평균(컨센서스) 기준 시공능력 상위 상장 건설업체들의 2분기 영업이익률(국제회계기준(IFRS) 연결)은 ▲삼성물산 7.24% ▲현대건설 2.87% ▲대우건설 4.97% ▲GS건설 2.67% ▲DL이앤씨 4.15% ▲HDC현대산업개발 5.38% 등으로 추정됐다. 삼성물산의 경우 비건설 사업부문 실적을 포함한 수치다.

하자 발생 GS·현대 '2%대' 이익 달성

영업이익률이 가장 낮은 GS건설은 지난해 4월 인천 검단 아파트 공사 도중 발생한 주차장 붕괴 사고로 재시공 비용이 급증했지만 지난해 실적에 대부분 반영해 이후에도 실적이 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GS건설의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조2807억원, 876억원으로 추정됐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5%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사고 비용에 따른 영업손실(-4138억원)로 흑자 전환했다.


업계 2위 현대건설은 매출 8조3190억원, 영업이익 2201억원을 달성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6.1%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1.6% 감소했다.

김승준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현대건설 별도 영업이익은 1분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자회사 현대엔지니어링의 전남 무안 힐스테이트오룡에서 하자보수 비용이 발생해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업계 3위 대우건설의 실적 하락 폭도 컸다. 대우건설의 2분기 추정 매출과 영업이익은 2조6302억원, 128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6%, 40.8% 역성장해 영업이익 감소율이 두드러졌다.


DL이앤씨와 HDC현대산업개발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둘 다 성장할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한국은행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2023년 건설업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매출 증가율은 2022년 15.0%에서 지난해 4.8%로 10.2%포인트 하락했다.

수익성 지표인 영업이익률과 세전 순이익률도 2년 연속 하락해 2021년의 반토막 수준에 머물렀다. 영업이익률은 2021년 6.2%에서 2022년 4.8%, 2023년 3.0%로 하락했다. 세전 순이익률은 같은 기간 7.3%→5.4%→3.4% 등으로 떨어졌다.

건산연은 수익성 악화 이유에 대해 유동비율(기업의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지급 능력 표시)과 차입금 의존도가 부정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건설업의 유동비율은 2022년 155.5%에서 지난해 150.5%로 5.0%포인트 하락했다. 차입금 의존도는 같은 기간 25.9%에서 26.4%로 0.5%포인트 상승했다.

차입금 의존도의 상승은 이자율의 상승과 함께 기업의 금융비용 증가로 이어졌다. 지난해 건설업의 차입금 이자율은 평균 4.8%로 전년 대비 1.2%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따라 매출 대비 금융비용은 2022년 1.0%에서 2023년 1.5%로 0.5%포인트 상승했다. 건설업체들의 비용 절감 노력으로 부채비율은 2022년 122.6%에서 2023년 121.1%로 소폭 하락했다.

김은옥 기자

비상장 건설업체 주택사업 희비

비상장 건설업체들의 1분기 실적은 주택사업부문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해외사업부문 매출이 늘어난 현대엔지니어링과 환경·인프라 사업부문이 실적을 이끈 SK에코플랜트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둘 다 증가했다. 주택사업 매출 비중이 50%를 넘는 포스코이앤씨와 롯데건설은 높은 원가율에 고전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공능력 10위권 비상장사 가운데 현대엔지니어링과 SK에코플랜트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4.1%·39.8% 증가했다. 두 회사는 영업이익도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수주 2위를 기록한 포스코이앤씨는 공시 자재비 상승 영향으로 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조4527억원, 335억원을 기록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39.1% 줄었다. 포스코이앤씨의 주택사업 매출 비중은 51.7%로 1년 만에 5.2%포인트 확대했다. 매출 원가율은 94%대다.

롯데건설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3% 증가한 1조8951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10.1% 줄어 399억원을 달성했다. 1년 만에 주택부문 매출 비중은 48.5%에서 55.3%로 늘었고 매출 원가율은 94%였다.

장문준 KB증권 애널리스트는 "높은 원가율로 인해 건설업이 고통받고 있다"면서 "원자재 가격 추가 급등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올해 하반기, 늦어도 2025년 초에 원가율 개선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평 10위 호반건설은 분기 보고서를 공시하지 않았다. 비상장사의 분기·반기 실적 공시는 의무 사항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