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메인 비주얼 영역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노동시장 구축
일자리 기회는 확대하고 일터 문화는 혁신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최신글(공지사항, 보도자료, 훈령예규고시, 언론보도설명), 배너존, 정책안내 링크, 뉴스레터 링크, 월간내일(웹진) 링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알립니다

알림판

국민 여러분과 함께 소통하며 나아갑니다.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를 만들어 갑니다.

더보기
근로감독관이 사업장 나가면 꼭 확인한다는 그 것! 임산부 보호편 카드뉴스 근로감독관이 사업장 나가면 꼭 확인하는 임산부 보호편

근로감독관이 사업장 나가면 꼭 확인한다는 그 것! 임산부 보호편 소중한 분들을 보호해주세요! 출산전후 휴가: 출산 전후 90일, 다태아 120일(출산 후에 45일(다태아 60일)이상 사용 필수) 배우자 출산휴가: 유급휴가 10일(배우자가 출산을 한 경우) 난임치료 휴가: 연간 3일 이내(최초 1일은 유급)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1일 2시간(임신 후 12주 이내, 36주 이후 임금은 줄어들지 않아요.) Q1. 예정일보다 아이가 늦게 태어나서 휴가를 90일 이상 써야할 것 같아요. <출산전후 휴가 90일은?> 출산 전 44일 안에서 유연하게/출산 후 45일 이상은 무조건 ex) 만약 출산이 3일 늦어진 경우 출산 후 45일이라는 조건은 지켜져야 하기에 휴가는 총 93일이 되어야 합니다.(단 추가로 늘어난 휴가는 급여를 지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Q2. 직원이 배우자 출산휴가를 5일만 신청했어요 nope. 배우자 출산휴가는 휴일 제외하고 반드시 10일을 줘야해요! 단, 한번은 나눠 쓸 수 있다는 거 알아두세요.(휴가를 나누어 쓰더라도 반드시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주세요) Q3.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한 부분은 임금을 주지 않아도 되나요? nope.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을 이유로 임금을 삭감하거나 공제하면 안됩니다! 근로자 지원제도는? 출산전후휴가 급여: 통상임금 100% 지원 월 상한액 210만원 1. 우선지원대상기업 근로자 90일 지원(다태아 120일) 2. 대규모 기업 근로자: 30일 지원(다태아 45일)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5일분 지원 1. 상한 401,910원 2. 우선지원대상기업 소속 근로자에 한함

바로가기

정책소개

대상별 정책과 분야별 정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책소개 바로가기

해당월의 고용노동 통계, 해당년도의 최저임금액, 소통(유튜브, 카드뉴스 등), 국민소통채널(관련링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용노동 통계 5월
  • 고용률

    70.0 %
    (15-64세)

  • 취업자 수

    2,891.5 만명

바로가기
최저임금액 2024년
  • 시급

    9,860

  • 월급

    2,060,740

바로가기

민원서비스 링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책브리핑 뉴스 위젯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관련 링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