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 명맥 끊긴다] 교육관·지원금 태부족... 무형문화재 '이중고'

경기도내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의 고령화와 전승교육사 부재는 부족한 전수교육관과 전무한 입문자 지원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문화재청의 문화재 관리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운영 중인 경기도내 전수교육관 수는 16개로 확인됐다. 이곳에는 17개 종목의 무형문화재가 입주해 교육과 예술활동 등을 진행한다. 전수교육관은 사라지는 문화유산을 보존ㆍ전승ㆍ발전시킬 목적으로 문화재청과 시ㆍ군의 지원으로 건립된다. 하지만 전수교육관은 문화재청이 시ㆍ군 지자체의 신청을 받아야만 지을 수 있어 소재 지자체에 등록되지 않은 무형문화재는 교육관에 입주할 수 없다. 특히 도내 전수교육관은 16곳이지만 시ㆍ군으로 보면 안성, 평택, 광주, 양주, 수원, 군포, 파주, 구리, 김포, 과천 등 10개 시ㆍ군에서만 운영되고 있다. 이들 지역이 아닌 곳에서는 안정적인 전승 활동을 이어나가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완규 주성장 기능 보유자(63)는 전승자 발굴을 위해 전통학교를 찾아 홍보와 주성장 체험 기회를 제공했지만 혼자 힘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도내 전수교육관이 추가 건립되면 문화재를 향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 명맥을 이을 전수자를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경기도의 무형문화재 종목 수(78개)는 서울(82개)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지만, 종목 대비 전수교육관 수는 타 지자체와 비교해 월등히 적다. 경남은 무형문화재 54개 종목, 기능 보유자 57명이 24개 전수교육관에서 교육한다. 전남 역시 전수교육관이 24곳 있으나 종목 수는 64개, 기능 보유자는 66명으로 경기도와 비교해 적다. 무형문화재에 입문하는 전수자 등을 위한 지원이 없는 것도 무형문화재 후진양성을 가로막는 벽이다. 국가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와 전승교육사는 매달 문화재청에서 각각 150만원과 70만원을, 도 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와 전승교육사는 경기도에서 매달 각각 140만원, 60만원을 받는다. 또 일부 전수장학생에게는 문화재청과 경기도가 각각 월 27만5천원, 25만원을 지원한다. 하지만 이들을 제외한 이수자와 전수자에 대해서는 지원금이 전무해 생계를 감당하기 어려운 이들의 중도포기가 속출하고 있다. 박종군 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 이사장은 특정 지역을 거점화한 전수교육관 설립으로 소외 지역의 무형문화재를 지원해야 한다면서 일반 전수자와 이수자를 향한 지원금 지급 방안도 고려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올해 포천 전수교육관 준공을 시작으로 이천 등 경기도내 3곳에 전수교육관을 신축해 무형문화재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권재민ㆍ김은진기자

[무형문화재 명맥 끊긴다] 고령화·전승교육사 부재...명맥 끊기는 道무형문화재

경기도내 무형문화재가 기능 보유자의 고령화와 전승교육사의 부재로 명맥이 끊길 위기에 처했다. 현재 경기도 시도무형문화재 68개 종목 중 9개 종목은 기능 보유자가 전무하며 전승교육사가 없는 종목도 33개나 된다. 이에 체계적인 전승 지원이 갖춰지지 않으면 수년 이내에 도내 무형문화재가 줄줄이 사라질 거란 우려가 나온다. 25일 문화재청과 경기도에 따르면 무형문화재는 문화재청이 관리하는 국가 무형문화재, 광역 지자체가 관리하는 시도 무형문화재로 나뉜다. 도내 국가 무형문화재는 총 10개 종목에 기능 보유자 33명, 전승 교육사 52명이 지정됐다. 시도 무형문화재도 총 68개 종목에 기능 보유자 54명, 전승교육사 42명이 지정됐다. 이중 시도 무형문화재는 현재 68개 종목 중 9개 종목의 기능 보유자가 전무하다. 33개 종목은 전승교육사가 없다. 도내 국가무형문화재 10개 종목 중 경기도 도당굿은 현재 명맥이 끊겼다. 지난 2011년 기능 보유자가 사망했는데, 전승교육사가 없어 후진양성이 되지 않은 탓이다. 전승교육사도 경기민요와 문백주 등 5개 종목이 없다. 후진양성이 어려운 가운데 도내 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와 전승교육사의 고령화도 심각하다. 도내 국가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33명의 평균연령은 81세, 경기도 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 54명의 평균 연령은 74세에 이른다. 전승 교육사의 평균연령도 각각 64세와 57세로 고령화가 진행된지 오래다. 무형문화재를 배우려는 젊은 전승자와 이수자가 유입되지 않으면 시간이 갈수록 기술이 사장될 수밖에 없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63호로 전통 한지와 안료로 전통의례 등에 사용하는 종이꽃을 만드는 지화장은 이주환 보유자(55ㆍ평택시)와 이수자 5명만이 도내 지화장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지화장 전승교육사가 없어 기능보유자가 직접 이수자들을 가르쳐야 해 문화적 가치를 실현하는 작품활동에는 주력하기 어렵다. 이 보유자는 내가 죽으면 무형문화재를 전승할 후계자가 없는데다 전승교육사도 없다며 이수자 5명은 40~50대로 이들이 전승교육사가 되는데 최소 5년이 소요돼 당분간 전승교육사가 부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대균 줄타기 기능 보유자(55ㆍ과천시)도 국가 무형문화재 제58호 기능 보유자지만 전승교육사가 없어 홀로 제자 5명을 상대로 하루 4시간 씩 가르치고 있다. 공성배 세계용무도위원회 사무총장은 무형문화재를 종목 단위로 지정하는만큼 종목 종사자를 아우르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라며 문화재청과 지자체의 연계 지원이 전제된 전수교육관 확대 건립으로 규격화 된 전승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권재민ㆍ김은진기자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