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의 고령화와 전승교육사 부재는 부족한 전수교육관과 전무한 입문자 지원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문화재청의 문화재 관리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운영 중인 경기도내 전수교육관 수는 16개로 확인됐다. 이곳에는 17개 종목의 무형문화재가 입주해 교육과 예술활동 등을 진행한다. 전수교육관은 사라지는 문화유산을 보존ㆍ전승ㆍ발전시킬 목적으로 문화재청과 시ㆍ군의 지원으로 건립된다. 하지만 전수교육관은 문화재청이 시ㆍ군 지자체의 신청을 받아야만 지을 수 있어 소재 지자체에 등록되지 않은 무형문화재는 교육관에 입주할 수 없다. 특히 도내 전수교육관은 16곳이지만 시ㆍ군으로 보면 안성, 평택, 광주, 양주, 수원, 군포, 파주, 구리, 김포, 과천 등 10개 시ㆍ군에서만 운영되고 있다. 이들 지역이 아닌 곳에서는 안정적인 전승 활동을 이어나가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완규 주성장 기능 보유자(63)는 전승자 발굴을 위해 전통학교를 찾아 홍보와 주성장 체험 기회를 제공했지만 혼자 힘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도내 전수교육관이 추가 건립되면 문화재를 향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 명맥을 이을 전수자를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경기도의 무형문화재 종목 수(78개)는 서울(82개)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지만, 종목 대비 전수교육관 수는 타 지자체와 비교해 월등히 적다. 경남은 무형문화재 54개 종목, 기능 보유자 57명이 24개 전수교육관에서 교육한다. 전남 역시 전수교육관이 24곳 있으나 종목 수는 64개, 기능 보유자는 66명으로 경기도와 비교해 적다. 무형문화재에 입문하는 전수자 등을 위한 지원이 없는 것도 무형문화재 후진양성을 가로막는 벽이다. 국가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와 전승교육사는 매달 문화재청에서 각각 150만원과 70만원을, 도 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와 전승교육사는 경기도에서 매달 각각 140만원, 60만원을 받는다. 또 일부 전수장학생에게는 문화재청과 경기도가 각각 월 27만5천원, 25만원을 지원한다. 하지만 이들을 제외한 이수자와 전수자에 대해서는 지원금이 전무해 생계를 감당하기 어려운 이들의 중도포기가 속출하고 있다. 박종군 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 이사장은 특정 지역을 거점화한 전수교육관 설립으로 소외 지역의 무형문화재를 지원해야 한다면서 일반 전수자와 이수자를 향한 지원금 지급 방안도 고려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올해 포천 전수교육관 준공을 시작으로 이천 등 경기도내 3곳에 전수교육관을 신축해 무형문화재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권재민ㆍ김은진기자
문화일반
권재민 기자
2021-01-25 1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