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배너 닫기
윤석열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KTV 부분개편 참여 / 이벤트 기대해줘! KTV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집단휴진' 불참선언 잇따라···"환자 곁 지켜달라" [뉴스의 맥]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집단휴진' 불참선언 잇따라···"환자 곁 지켜달라" [뉴스의 맥]

등록일 : 2024.06.14 20:15

최대환 앵커>
대한의사협회가 오는 18일, 집단휴진을 예고한 가운데 일부 의사 단체들에선 반대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박지선 기자, 필수의료 분야 의사단체들을 중심으로 집단휴진 불참 선언이 잇따르고 있다고요?

박지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앞서 대한의사협회는 총파업 투표를 거쳐 오는 18일 전면 휴진과 총궐기대회에 나선다고 밝혔는데요.
이에 분만 병의원 협회는 진료를 유지하겠단 입장을 밝혔고, 대한 마취통증 의학회도 필수 수술에 필요한 인력은 병원에 남아 진료를 지원하겠단 입장을 표했습니다.
대한 아동병원협회도 환자를 두고 떠나기 어렵다며 진료 유지 의사를 밝혔습니다.
여기에 대학병원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협의체에서도 휴진 불참 결정을 했는데요.
집단 휴진일이 다가오자 환자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휴진 불참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겁니다.
현재 3만여 개 의료기관 중에 정부에 18일 휴진을 신고한 곳은 1천400여 곳으로, 전체 4%대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최대환 앵커>
이번 집단휴진에는 서울 주요 대형병원, 이른바 빅5 병원들이 참여하기로 하면서, 환자들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서울대 병원 교수들은 중증, 희귀질환 진료에 대해선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혔다고요?

박지선 기자>
네, 서울대 의대와 병원 교수들로 구성된 비대위는 휴진에 대해 다른 병원에서도 진료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에 한정된다며, 중증, 희귀질환 진료는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환자들에겐 죄송하다면서도 공익을 위한 것이라며 휴진 결정은 고수했습니다.
환자단체들은 연일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는데요.
집단휴진에 대해 생명과 건강을 위협한다고 강도 높게 비판하며 철회를 강력하게 요구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정부 대응도 살펴보죠.
한덕수 국무총리가 오늘 병원을 찾아 비상진료 상황을 보고받았는데, 집단휴진 철회를 재차 촉구했다고요?

박지선 기자>
네, 한 총리는 집단휴진은 환자를 외면하는 결정이자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제라도 전공의들이 현장 복귀를 하면 불이익이 없을 것이란 점을 강조하며, 의료계에도 어떤 형식으로든 대화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녹취> 한덕수 / 국무총리
"집단행동이 아니라, 환자 곁을 지키시면서 정부와 대화를 통해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 진정으로 전공의들을 위한 길임을 다시 한번 생각해 주시기를 간곡히 바랍니다."

최대환 앵커>
실제 집단휴진이 진행되면 향후 정부 대응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박지선 기자>
정부는 집단휴진이 예고된 당일, 전체 의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론 휴진 여부를 전화로 확인한단 방침입니다.
확인 후 시군 단위로 휴진율이 30%를 넘으면 업무 개시명령을 내리고, 명령을 이행하지 않으면 행정처분과 처벌 등 엄정 조치한단 방침입니다.
특히, 환자와 미리 정해진 진료예약의 경우, 환자 동의나 구체적인 변경 없이 일방적으로 취소할 경우 의료법에서 금지한 진료 거부에 해당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집단휴진 관련 의료계와 정부 상황 살펴봤습니다.
박지선 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