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기기안전성

우리 연구원에서는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수소 전주기 분야(생산·저장·활용)에 걸쳐 안전보급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수소에너지 분야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신에너지 연료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어, 신에너지 사용 가스기기의 종류와 범위가 확대되고 있고, 특히 *수소용품 및 사용시설 안전기준개발 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수소용품(4종) 및 사용시설(1종)에 대한 안전기준을 제정하여 수소경제 활성화 및 국민 수용성 증대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맞춰 신제품 안전성 확보 및 기존 기기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해당 연구 분야를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주요연구내용

주요연구내용-수소용품 및 사용시설 분야, 수소충전설비 구축분야, 수소제품안전성 분야로 구성
수소용품 및 사용시설 분야
  • 수소생산(수전해설비, 수소추출설비 등) 제품 안전기준 개발
  • 수소저장(초고압용기, 압력용기, 밸브 등) 제품 안전기준 개발
  • 수소활용(고정형 및 이동형 연료전지) 제품 안전기준 개발
수소충전설비 구축분야
  • 형태별(열차용/선박용/이동식) 수소충전소 안전기준 제정
  • 수소충전설비 구축관련 안전성 향상 기술
수소충전설비 구축분야 초고압 용기, 압력용기, 압축기, 밸브 등 신기술 연구 및 안전성능 평가 기술

주요연구과제

주요연구과제-번호, 과제명, 주요성과로 구성
번호 과제명 주요성과
1 수전해설비 제품 안전기준 개발 연구 KGS AH271 Code(수전해설비 안전기준) 제정
2 수소추출설비 제품 안전기준 개발 연구 KGS AH171 Code(수소추출설비 안전기준) 제정
3 고정형 연료전지 제품 안전기준 개발연구 KGS AH371 Code(고정형 연료전지 안전기준) 제정
4 이동형 연료전지 제품 안전기준 개발연구 KGS AH372 Code(이동형 연료전지 안전기준) 제정
5 수소연료사용시설 설치 안전기준 개발 연구 KGS FU671 Code(수소연료 사용시설 안전기준) 제정
6 토우프레그 적용 압력용기를 활용한 1회 수소운송량 1ton이상 총 중량 20ton 이하의 튜브스키드 개발 수소자동차용 복합재 용기 초고속 고정밀 제작 신기술 인증(NET) 추진
7 수소차·전기차 융합스테이션 국산화 기술 개발 및 실증
  • 수소·전기 융합스테이션 위험성평가
  • 융복합 충전소 코드개정(예정)
8 수소연료전지 선박용 수소충전소 구축 및 실증
  • 선박용 수소충전소 기준개발 및 코드제정(예정)
  • 선박용수소충전소 구축
9 이동식 수소충전소 성능평가 및 안전관리 기술 개발
  • 융·복합, 패키지형 및 이동식 자동차충전소 시설기준 등에 관한 특례기준 제정
  • 연료전지기반 무인물류운반 차량 충전을 위한 이동식 수소충전소 상용화 완료(‘21.03, 실증추진중)
  • FCEV 충전을 위한 이동식 수소충전소 상용화 예정(‘22.01)
10 수소 전주기 통합 위험성평가 프로그램 및 액화수소 설비 안전기준 개발
  • 액화수소 기준 33종 개발-예정
  • 정성적·정량적 위험성평가 프로그램 시범적용(5개시설)-예정
11 토우프레그 적용 압력용기(700bar 1400L급)를 활용한 1회 수소운송량 1ton이상 총 중량 20ton 이하의 튜브스키드 개발 수소자동차용 복합재 용기 초고속 고정밀 제작 신기술 인증(NET) 추진
문의처
  • 안전연구실 시스템연구부
  • 최영주
  • 과장
  • 043750146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