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션·서비스

본문 영역

분산형전원 종합운영시스템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 Integrated Operating System

SOLUTION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넘어 본격적인 신재생에너지 시대로!
한전 KDN 분산형전원 종합운영시스템! 정부는 태양광, 풍력, 소수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비중을 2030년 20% 수준까지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분산형전원은 신재생에너지를 발전원으로 사용하여 전력 소비지역 부근에 분산 배치가 가능한 발전시설을 말합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는 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아 발전출력 변동사항으로 인해 전압상승, 배전선로 전력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전 KDN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분산형전원 종합운영시스템을 개발, 구축, 운영하고 있습니다.
분산형전원은 발전량에 따라 저압 또는 특고압으로 배전계통에 연계되는데 특고압 계통은 특고압 분산형전원용 중계장치, AVM 기능부 단말장치, 주장치를 통해
전력품질 및 발전정보 등을 상시 모니터링 하며저압 계통은 저압 분산형전원용 단말장치, 주장치를 통해 모니터링 합니다.
단말장치가 인버터의 전압제어를 통해 배전계통의 적정전압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특고압 분산형전원용 중계장치는 발전정보 및 전력품질을 취득하여
AVM 기능부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AVM 기능부 단말장치는 실시간 모니터링 및 기준전압 초과시에 전압제어를 통해 적정전압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저압 분산형전원용 단말장치는 발전정보 및 전력품질을 취득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기준전압 초과시 전압제어를 통해 적정전압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 따라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분산형전원 종합운영시스템!
한전KDN은 분산형전원 종합운영시스템을 통해 최적화된 배전계통 운영과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기여하고 국가 신재생에너지 성장에 밑거름이 되어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이끌겠습니다.
개요
  • 분산형전원의 배전계통 연계 급증에 따른 계통의 불안정 및 변동요인 증가, 단독운전에 의한 안전 위협 요소 증가 등 배전계통 운영이 한층 복잡해지고 있으며 배전계통의 안정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전KDN은 배전계통에 연계되는 분산형전원의 전력품질 감시, 전압제어, 출력제어를 위한 분산형전원용 감시제어장치의 개발, 구축, 유지보수를 수행합니다.
구성도
분산형전원 종합 감시제어시스템(DER-AVM) 구성도 이미지. 상세내용은 아래글 참조
  • 주요 기능
    • 감시기능
      • 분산형전원 전력품질 상시 감시 (전압/전류 고조파, 전압/전류 불평형 등)
      • 인버터 상태 및 출력 감시 (운전상태, 현재 출력, 누적 발전량 등)
    • 제어기능
      • 분산형전원 연계점 능동 전압 조정 (능동전압제어)
      • 분산형전원 출력 제어 (유효전력 제한, 출력차단 등)
  • 종류 및 특징
    • 일반변압기용 단말장치
      AVM 기능부 통합형 단말장치
      • 설치위치 : 특고압 연계 분산형전원 책임분계점 개폐기
      • 배전자동화 기본 기능 (고장검출, 섹션기능, 전력품질 감시 등)
      • 분산형전원 연계점 전압제어 및 출력제어
      • 국제표준 통신규격 적용 (주장치 ↔ 단말장치 : DNP3.0 / 단말장치 ↔ 인버터 : Modbus)
    • 부하개폐변압기용 단말장치
      특고압 분산형전원용 중계장치
      • 설치위치 : 특고압 연계 분산형전원 수배전반 (VCB)
      • 분산형전원 연계점 고정밀 전압/전류 계측 (PT/CT 정밀도 : ±0.3% 이내)
      • 국제표준 통신규격 적용 (단말장치 ↔ 중계장치 ↔ 인버터 : Modbus)
    • CDS용 단말장치
      저압 분산형전원용 단말장치
      • 설치위치 : 저압 연계 분산형전원 변대주
      • 분산형전원 연계점 전압제어 및 출력제어
      • 국제표준 통신규격 적용 (주장치 ↔ 단말장치 : DNP3.0 / 단말장치 ↔ 인버터 : Modbus)
  • 도입 효과
    • 정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정책 조기 달성 기여
    • 분산형전원 종합운영시스템을 활용한 분산형전원 연계 배전계통의 안정적 운영 가능
    • 분산형전원 전압제어 및 출력제어 기능으로 최대 수용능력(Hosting Capacity) 증대
    • 향후 분산형전원 종합운영시스템 플랫폼 기반 연결형 부가 서비스(발전량, 출력예측, 설비진단 등) 제공
실증 및 사업화
  • 분산형전원 감시·제어장치 개발 및 실증(‘16년~’17년)
  • 분산형전원 종합운영시스템 인프라 구축 사업(’17년~’19년)
  • 보급형 분산형전원 감시·제어장치 개발 및 실증(’20년~’21년)
  • 보급형 분산형전원 감시·제어장치 확대 사업(’21년~)
솔루션 문의

head_menu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