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구

지속가능발전이란

  • 메인으로 이동하기 버튼
  • 구민참여
  • 지속가능발전
  • 지속가능발전이란
  • 개념 및 등장배경

지속가능성과 지속가능발전

지속가능성이란?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미래세대가 사용할 경제·사회·환경의 자원을 낭비하거나 여건을 저하시키지 않고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을 뜻합니다.

지속가능발전이란?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과 포용적 사회, 깨끗하고 안정적인 환경이 지속가능성에 기초하여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발전을 의미합니다.

지속가능발전 등장배경

1972년 “성장의 한계” 보고서, 지속가능발전 개념 처음 등장

로마클럽이 발간한 “성장의 한계” 보고서는 인구폭발과 경제성장의 지속으로 100년 안에 자원과 식량, 환경의 파괴적인 위기가 올 것을 경고.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의 양립성이라는 논의에서 지속가능발전 개념 첫 등장

1987년 브룬트란트 보고서 “우리 공동의 미래 출간”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가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라는 보고서(브룬트란트 보고서 Brundtland Report)를 발간한 것이 계기가 되어 지속가능발전이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함

1992년 “리우 선언”과 “의제21” 채택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 일명 리우회의)에서 환경문제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리우 선언과 세부 행정강령인 의제21(Agenda 21)을 채택

1995년부터 국내 지자체에서 “의제21”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시작함

2000년 8가지 목표 달성 “새천년개발목표” 채택

55차 유엔총회에서 2015년까지 빈곤, 보건, 교육, 환경 등 8가지 목표를 달성하는 새천년개발목표(MDGs : Millennium Development Goals)를 의제로 채택

2000년 6월, 우리나라 정부는 「새천년 국가환경비전」을 선언

2000년 9월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는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출범

2002년 “요하네스버그 선언” 채택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WSSD : World Summit on Sustainable)에서 지속가능발전 성과평가와 이행체계를 구체화하는 요하네스버그 선언 채택

2005년 국가지속가능발전비전 선언

2006년 10월 제1차 국가 지속가능발전 전략 및 이행계획 발표(’06~’10)

2007년 8월 「지속가능발전기본법」 공포

2011년 8월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수립(’11~’15)

2012년 국가지속가능발전 평가 보고서 발간

2012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도구 “녹색경제”

2012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지속가능발전회의(UNCSD :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에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행동 촉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도구로 녹색경제(Green Economy) 의제 채택

2015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70차 유엔총회에서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것”을 슬로건으로 17개 목표와 169개의 세부목표로 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채택

2016년 1월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16~’35) 수립

2018년 3차 국가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18~’20) 변경계획 수립

2020년 4차 국가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21~’40) 수립

2022년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제정

자료 관리 : 기획예산과 [ 지속가능발전팀 ] 전화:02-2094-1864
최종수정일 : 2024년05월20일
만족도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