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희망퇴직 비수기가 없었다.”
희망퇴직은 연말에 한다는 고정관념이 올해 완전히 깨졌다. 1년 내내 희망퇴직 계획을 내놓는 기업들이 나왔다. 업종도 다양했다. 심지어 한 해에 두 번 실시하는 기업도 있고, 사원급까지 대상자를 넓힌 기업들도 있다.
이런 대기업들은 “희망퇴직이 곧 실적 부진의 상징은 아니다”고 강조한다. “요즘은 희망퇴직을 서럽게 볼 일만은 아니다.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때 명예퇴직하고는 다르다”는 주장도 한다. 진짜 그럴까? 희망퇴직이라 쓰고 ‘착한 해고’라 읽던, 금기어 아니었나.
목차
1. 한 해에 두 번… 일상화된 희망퇴직
2. 부진 상징 아니다? 근데 왜 늘어날까
3. “불안하다” vs “오히려 좋아”
4. ‘나가면 지옥’ 생각 안 들도록
1. 한 해에 두 번… 일상화된 희망퇴직
“3, 6, 7…12월” 올 한 해 유통기업들의 희망퇴직 신청 소식은 다달이 돌아가며 발표하듯 연중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창사 이후 첫 연간 적자(-469억원)를 기록한 이마트는 이달 두 번째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지난 3월 창사 후 첫 전사 희망퇴직을 받은 지 9개월 만이다. 대상은 15년 이상 근속 직원에서 10년 이상 근속 직원으로 대폭 늘었다.
쿠팡에 유통 왕좌 자리를 내준 이마트를 필두로 유통가 희망퇴직의 바람은 온·오프라인을 가리지 않았다. 11번가(3월), 롯데온(6월), SSG닷컴(7월)이 연이어 희망퇴직을 받더니, 한창 바빠야 할 휴가 시즌인 8월에는 롯데면세점도 동참했다. G마켓(9월)은 3년 만에 희망퇴직을 받았고, 편의점 세븐일레븐(10월), 롯데호텔·신세계면세점(11월)까지 줄줄이 이어졌다. 연말에는 이마트와 롯데온이 연중 두 번째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있다.
희망퇴직 바람은 업종을 가리지 않았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6월 생산직군 희망퇴직을 실시한 데 이어 11월 사무직군 희망퇴직을 진행했다. SK온은 2021년 출범 이후 처음으로 지난 9월 희망퇴직을 받았다. SK온은 무급휴직을 하면 월급 대신 학비를 내주는 프로그램도 내놨다. 최대 2년간의 무급휴직 중 학위 과정(학·석·박사)에 진학하면 학비의 50%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직무와 관련있는 학위를 취득한 뒤 복직하면 나머지 학비 50%도 지원해 직원들 사이에 호응이 좋았다. 회사 입장에서는 젊은 엔지니어 등 인재를 놓칠 수 없는 상황에서 단기적 비용을 줄이기 위한 묘안이다.
두둑한 희망퇴직금 지급으로 ‘퇴직 런(run)’을 부른 사례도 있었다. 12년 만에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한 엔씨소프트는 근속기간에 따라 최대 30개월치 월급 수준의 위로금을 지급했다. 위로금이 최대 3억원에 이를 것으로 알려지자 타사 직원들의 부러움을 사기도 했다. 희망퇴직 신청 후 회사의 승인을 받아 퇴직을 확정한 직원이 400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1월 발간된 『희망퇴직 매뉴얼 : 준비에서 성공까지』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희망퇴직’ 관련 기사 수는 3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 올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1년간 많아야 1400건 정도였는데, 올해는 7월에만 관련 기사가 1600건을 넘어선 것. 저자인 오성호 피플그로스컨설팅 대표는 “30년 넘게 기업 인사파트에서 희망퇴직 관련 업무를 담당했는데, 1년에 두 번씩 하는 희망퇴직은 이례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