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워온 한동훈 후보의 압승은 윤 대통령의 패배이기도 하다. 한 신임 대표는 국민여론조사와 당원투표에서 모두 60% 이상의 지지율을 얻었다. 친윤 진영의 거센 반대 움직임에도 ‘당심’에서마저 ‘윤심’이 힘을 쓰지 못했다. ‘윤심이 당심이고 당심이 민심’이라는 오만을 심판하고 지금의 국정 운영 방식으로는 미래가 없다고 중간 평가를 내린 것이다.
윤 대통령은 4월 총선 참패 후 “국정 쇄신”을 약속했지만 말뿐이었다. 검찰 출신과 과거 보수 정부의 인물에 한정된 돌려막기 인사, 동해 석유·가스전 개발 사업 발표처럼 혼란을 자초하는 만기친람식 국정 운영, 채 상병 사건과 김건희 여사 의혹을 특검 요구로 키운 폐쇄적 의사결정 구조에서 변화를 느끼긴 어려웠다. 그 결과 대통령의 지지율은 총선 후 줄곧 30%를 넘지 못하고 있다(한국갤럽 기준). 윤 대통령이 전당대회 바로 다음 날인 24일 한 대표를 포함한 대회 출마자들과 만찬을 가진 것은 동요하는 당심과 민심에 위기감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일회성 만남으로 끝낼 게 아니라 지속적 협의로 당정 쇄신을 이뤄내야 한다.
192석 범야권과도 소통의 물꼬를 틀 필요가 있다. 윤 대통령은 총선 패배 후 “정치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지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선거 직후 딱 한 차례 만났을 뿐 정치 실종 상태는 그대로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법안을 밀어붙이는 야당도 문제이나 대통령이 거부권만으로 대응한다면 되는 일 없이 꽉 막힌 정국에 대한 일차적 책임은 국정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에게 돌아올 수밖에 없다. 반도체지원법처럼 여야 간 공감대를 이룬 의제부터 시작해 협치의 성과물을 늘려 나가야 한다.
국민의힘은 4월 총선에 앞서 지난해 10월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도 참패했는데 두 선거 모두 패인은 대통령이었고 돌아선 민심을 되찾으려면 대통령부터 달라져야 한다는 주문이 쇄도했다. 하지만 취임 초기나 지금이나 여론조사 때마다 ‘소통 미흡’과 ‘독단적 일방적’ 국정 운영이 큰 문제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고개는 숙이고 귀는 더 열어두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번에도 성찰과 변화의 기회를 날려 버린다면 대통령과 여당, 국가 모두를 위해 불행한 일이 될 것이다. 민심이 당심이고 당심이 윤심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