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나 요즘 너무 힘들어"…자살 사망자 96%, 주변에 '경고 신호' 보냈지만

입력
기사원문
김수호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9년간 '자살 심리부검 면담 분석'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자살 사망자 중 96%가 자살 시도 전 주변 사람들에게 경고 신호를 보냈지만 이를 인지하는 경우는 24%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보건복지부는 27일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과 함께 진행한 ‘2015~2023년 자살 심리부검 면담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심리 부검'이란 자살 사망자의 가족 또는 지인의 진술과 고인의 기록을 검토해 자살 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과 변화를 확인하고 자살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방법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유족 1262명으로부터 1099명의 자살사망자에 대한 심리부검 면담 자료를 확보했다.

분석 결과 자살 사망자의 64.7%는 남성, 35.3%는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44.2세였다. 1인 가구는 19.2%였고 고용 형태는 피고용인이 38.6%였다. 자살 사망자의 86%가량은 정신질환을 겪은 것(우울, 중독, 불안 등)으로 추정됐다. 또 월소득 1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이 46.5%로 나타났다.

자살 사망자의 96.6%는 사망 전 자살을 암시하는 행동 등 '경고 신호'를 보였으나 이를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23.8%에 그쳤다. 주요 자살 경고 신호는 감정 변화(75.4%), 수면상태 변화(71.7%), 자살·죽음에 대한 잦은 언급(63.6%), 자기비하적 발언(47.0%), 주변 정리(25.8%) 등으로 집계됐다.

경고 신호를 드러낸 시기를 분석한 결과 사망 1개월 이내의 경우 감정상태 변화(19.1%)와 주변정리(14.0%)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망 1년 이상 전부터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경고신호는 수면상태 변화(26.2%)와 자살에 대한 언급(24.1%) 순이었다.

한편 심리 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의 98.9%는 사별 후 정신건강 관련 문제를 겪고 있었다. 유족의 72.7%는 고인의 자살 사망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했다. 상대방이 받을 충격에 대한 우려와 자살에 대한 부정적 편견 등이 이유였다.

이형훈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심리 부검을 통해 파악한 자살위험 요인을 향후 자살예방정책의 근거로 활용하겠다"며 "자살 시도자 등 자살 고위험군이 보내는 경고 신호에 대한 가족·친구·동료 등 주변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
댓글 미제공

인명(人命) 관련 민감한 이슈가 포함되어 이 기사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