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일선’ 치안센터, 부산 절반 넘게 없앤다

입력
수정2024.07.25. 오전 3:01
기사원문
조성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22년 88곳→작년 58곳…올해 20개 추가폐지 방침
중심지역관서제까지 등장, ‘치안공백’ 시민불안 커져
최일선 치안 행정기구인 경찰의 치안센터가 부산에서 점점 사라진다. 지난해와 올해 부산에서만 치안센터 50곳이 문을 닫았거나 곧 없어질 예정이다. 역대급 세수 부족에 따른 정부의 국유재산 활용안에 치안센터 대규모 폐지가 포함됐기 때문이다. 동별 치안 거점 역할을 하던 치안센터가 사라지면서 주민의 불안감은 고조된다.
경찰의 치안센터가 지난해와 올해 부산에서만 50곳이 사라지거나 없어질 예정이어서 치안 공백이 우려된다. 사진은 24일 부산 연제경찰서의 거제1치안센터 전경. 이원준 기자 [email protected]

24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2022년 88곳에 달하던 부산지역 치안센터는 지난해에만 30곳이 사라진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올해 부산에서만 20곳을 추가로 폐지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내년에는 부산에 치안센터가 38곳에 불과하다. 폐지(예정 포함)된 치안센터는 경찰서별로 ▷사하·금정 각 9곳 ▷부산진 8곳 ▷남부 6곳 ▷동래 5곳 ▷해운대 3곳 ▷북부·영도·동부·사상 각 2곳 ▷연제·서부 각 1곳이다.

치안센터는 경찰서-지구대-파출소-치안센터로 연결되는 경찰의 치안그물망 핵심 시설이다. 부산지역 절반이 넘는 치안센터가 사라지면서 치안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 주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곳 중 가장 물리적으로 밀착한 기관이 없어지면서 치안 사각지대가 생길 수밖에 없다. 경찰의 상주 여부를 떠나 치안센터가 가동된다는 자체만으로도 범죄 예방과 범죄를 사전에 억압하는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전직 총경급 경찰관은 “치안센터는 지역 공동체의 사정에 가장 밀접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이라며 “치안센터가 불을 밝히고 있는 것 자체가 지역 내 범죄예방에 적지 않은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는 게 맞다. 치안센터가 사라지는 것을 불안해하는 주민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전했다.

치안센터의 잇따른 폐지와 함께 경찰의 중심지역관서 제도도 도마에 올랐다. 중심지역관서 제도는 지난해 잇따른 흉기난동 등 이른바 ‘이상 동기’ 범죄를 줄이기 위해 파출소와 지구대 인력을 통합해 지역 내 순찰을 강화하는 취지로 시행됐다. 중심지역관서는 현재 해운대서 반송파출소와 중부서 부평·영주파출소 등 3곳이다. 올해 하반기 때 ▷동부서 수성지구대 ▷서부서 충무지구대 ▷남부서 문현지구대 ▷사상서 학장파출소 ▷강서서 강동·신호파출소 등 6곳이 추가되면 부산경찰청의 중심지역관서는 총 9곳이 된다. 중심지역관서로 흡수되는 파출소와 지구대에는 최소 인원과 장비만 남는다. 부산청 이동욱 직장협의회장은 “치안센터를 비롯해 소규모 관서가 흡수되거나 사라진다면 출동 동선이 늘어나 주변지역 현장대응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며 “현장 목소리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되면서 시민 불안감이 예상되는 만큼 전면 제고 또는 폐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부산경찰청 관계자는 “치안센터는 애초 근무 인원이 1, 2명이라 출동보다는 신고 접수 등 민원 행정 업무를 주로 했다. 치안센터 폐지와 중심지역관서 도입은 치안수요 등을 고려해 순찰 인원을 늘리고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개편으로, 치안공백이 생기기 않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설명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