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에 반도체 수출지형도 "변화"…중국↓ 대만↑

입력
수정2025.01.05. 오후 7:45
기사원문
박상현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수출의 1등 공신인 반도체 수출지형도가 바뀌고 있습니다.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낮아지고 미국과 대만으로의 비중이 늘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비는 진행되고 있는지 박상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액은 1419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AI붐이 일면서 고대역폭 메모리, HBM을 선도한 한국산 반도체가 수출 효자 노릇을 한겁니다.

안덕근 / 산업부 장관 (지난 2일)
"360조 원 규모의 최대치의 무역 금융을 공급을 해서 올 한 해 다시 산업계와 함께 수출의 성장성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미-중 공급망 갈등으로 한국 반도체 수출의 국가별 비중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으로의 수출 비중은 2020년 40.2%에서 지난해 33%대로 낮아졌습니다.

반면 미국과 그 동맹국인 대만으로의 수출 비중을 합치면 8%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대만의 TSMC가 한국의 HBM을 결합해 미국 엔비디아에 납품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그간 치중했던 중국 의존도가 낮아졌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변수입니다.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 보조금을 폐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김문태 /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
"보조금 수령에 대한 요구 조건들을 까다롭게 함으로 인해서 기업들은 예상치 못한 투자의 증가분이 있을 수 있다는 불확실성도 여전히 큰 상황인 거고요."

우리 수출을 견인하는 K-반도체가 수출지형도 변화와 동시에 커지는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맞고 있습니다.

TV조선 박상현입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