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체 LK-99 1년] “가족도 위험하다고 말렸지만, 검증은 과학자의 의무”

입력
수정2024.07.19. 오전 9:22
기사원문
이병철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LK-99 검증위 맡은 김창영 서울대 교수 인터뷰
“국내 첫 학회 주도 검증, 과학자 의무감에 나서”
“초전도 사태가 한국 과학 발전시킬 계기 될 것”

LK-99 검증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김창영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그는 지난 17일 조선비즈와 인터뷰에서 "LK-99 사태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남겨 외면할 수 없었다"며 "다소 혼란이 있었으나 과학기술 바라보는 시각 달라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김창영


“과거에도 (LK-99와) 비슷한 주장이 있었으나 대부분 아닌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런데 얼마 후 사회적 파장이 급속도로 커졌습니다. 과학자로서 의무를 다해야 하지 않느냐는 이야기가 학회 내부에서 나왔습니다. 손 놓고 있을 수 없었습니다.”

김창영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지난해 8월 2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가 출범시킨 LK-99 검증위원회에서 위원장을 맡은 과학자이다. 그는 지난 17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작년 7월 말 해외에 있는 동료 연구자에게 상온 초전도체(超傳導體) 논문이 나왔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괜한 일을 하는 게 아닐까 생각도 했지만 검증이라는 의무를 저버릴 수 없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국내 전문가들을 모으고 LK-99에 대한 검증 절차를 이끌었다.

초전도 현상은 전류가 아무런 저항 없이 흐르는 걸 말한다. 상온에서 초전도를 구현하면 무손실 송전(送電)이 가능해 에너지 혁명이 일어날 수 있다. 고성능 전자석도 만들어 자기부상열차와 핵융합 발전에 활용할 수 있다. 퀀텀에너지연구소는 2023년 7월 22일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내용의 논문 2편을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공개했다.

해외 과학자들은 이미 작년 8월에 LK-99에서 상온 초전도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국내 여론은 달랐다. 온라인을 중심으로 LK-99가 상온 초전도체라는 입장과 그렇지 않다는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했다. 주류 과학계는 여전히 침묵을 지키고 있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나 한국과학기술한림원처럼 영향력 있는 단체들이 검증을 하지 않았다.

김 교수는 “황우석 사태 때도 학회 차원에서 나서서 검증을 하지 않았다”며 “하지만 사회적인 파장이 커진 만큼 과학자로서 책임을 져야 한다, 회피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학회 내부에서 나왔다”고 말했다.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학회장을 중심으로 온라인 이사회를 소집하고 검증위 출범을 의논했다. 김 교수는 학회에서 위원장을 맡아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LK-99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았던 만큼 검증위 출범 소식도 주목받았다. 긍정적인 여론만 있던 것은 아니다. LK-99와 관계없는 기업들이 테마주로 지목되며 주식에 투자한 사람들은 검증위에 대해 ‘한국의 상온 초전도체 개발을 원하지 않는 단체’라거나 ‘저온 초전도체 연구자들이 뭘 알고 상온 초전도체를 검증하냐’고 비난했다. 김 교수는 “비판 여론이 전혀 없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했다.

주변에서도 걱정이 쏟아졌다고 했다. 검증위 출범 소식이 알려진 후 지인들에게 많은 연락을 받았다. 신변을 걱정하는 이들도 있었다고 했다. 김 교수는 “가족과 친구들에게서 걱정하는 연락을 받았다”며 “하지만 위험한 일이 일어날 거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LK-99 검증위원회'에 참여한 연구진이 합성한 LK-99. 검증위는 4개월간 검증을 통해 LK-99가 상온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LK-99 검증 백서

학회 차원에서 특정 논문에 대해 검증위를 구성하고 다른 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검증하는 건 드문 일이다. 그만큼 준비해야 할 것도 많았다. 검증 절차는 어떻게 할지, 연구진의 독립성은 어떻게 유지할지 긴 토의 끝에야 검증 작업에 착수할 수 있었다.

김 교수는 “검증위 내부에 재현 그룹을 별도로 만들어 연구자들의 독립성을 유지했고, 실험 결과를 중간에 공유하면 연구자들에게 편견이 생길 수 있어 연락도 최소화했다”며 “처음 세팅한 검증 방법대로 실험한 후 최종적으로 결과를 종합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퀀텀에너지연구소로부터 LK-99 시료를 받아 특성을 확인하고, 앞서 개발진이 공개한 방법에 따라 LK-99를 합성하는 두 가지 방식의 검증이 계획됐다. 그러나 시료를 받지 못하고, 합성에 필요한 재료를 구하지 못해 검증 기간이 길어졌다. 일찌감치 결론을 낸 해외 연구진과 달리 국내 검증은 더 신중할 수밖에 없었다. LK-99가 국내 연구진이 만든 물질인 만큼 더 꼼꼼하게 검증했다.

4개월에 걸친 검증 끝에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결론이 나왔다. 검증 결과를 담은 백서는 지난해 12월 13일 공개됐다. 당초 10월 검증위 활동을 마무리할 계획이었으나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의 여파로 백서 작성이 지연되기도 했다. 김 교수는 “LK-99 사태와 R&D 예산 삭감이 동시에 일어나 당시 눈 코 뜰 새 없이 보내야 했다”고 했다.

김 교수는 이번 사태가 한국 과학계를 한층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다른 과학자의 연구가 사회적인 파장을 일으켰을 때 동료 연구자들이 나서서 검증을 하는 문화가 정착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LK-99 사태를 계기로 과학자가 아닌 일반 대중도 과학적인 연구 성과가 과학계에서 인정받는 절차와 과정을 알게 됐으니 과학의 대중화에는 이번 사태가 도움이 됐다는 이야기도 했다.

그는 “LK-99 사태가 지난 후 1년이 된 지금, 이전과 많이 달라진 분위기를 느낀다” 며 “대중도 과학 연구에서 검증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국이 더 성숙해지기 위해서 이번 사건이 과학을 바라보는 시각을 정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