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이 '응급·중증질환'이 아니라고요?

입력
기사원문
최지현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뇌졸중학회 "상급종합병원 구조 개편 맞춰 환자분류체계 개선해야"
서울의 한 의료기관 응급센터 앞에 응급차가 대기 중이다. [사진=뉴스1]
정부가 의료개혁의 일환으로 상급종합병원 구조 개편을 천명한 가운데, 의학계에선 기존의 질환분류체계도 함께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뇌졸중이다. 전문 응급진료가 필요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가 향후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받지 못하는 '제도 개혁의 구멍'이 생길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15일 대한뇌졸중학회는 입장문을 통해 뇌졸중의 '환자분류체계'(KDRG)를 기존 '일반진료 질병'에서 '전문진료 질병'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학회는 "급성 뇌졸중의 80%는 초급성기 정맥혈전용해술이나 뇌졸중집중치료실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현재 환자분류체계에선 두통·알레르기·두드러기 등과 같이 일반진료 질병군에 속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 정책에 따라 뇌졸중 환자 대부분은 앞으로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받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의 분류체계를 유지하며 상급종합병원 구조를 개편한다면 급성기 응급치료를 놓칠 수 있다는 게 학회의 우려다. 앞서 지난 11일 정부 의료개혁 특별위원회는 상급종합병원의 일반 병상을 15%까지 줄이고, 중환자 진료 비율을 50% 이상으로 늘리는 시범사업을 오는 9월부터 시행하기로 논의했다. 이에 따라 향후 상급종합병원은 불이익을 우려해 뇌졸중 환자의 진료를 줄이거나 포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뇌졸중은 환자분류체계와는 달리 국가 보건정책에선 암, 심혈관 질환, 희소·중증 난치 질환과 함께 4대 중증 질환으로도 분류된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갑자기 막히거나(뇌경색, 80%) 터지는(뇌출혈, 20%) 질환으로 환자 생명과 장애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적기(골든타임)에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중증 응급(급성기) 질환이기에 정부는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라는 별도의 전문 의료기관 진료 체계도 구축한 상태다.

다만, 학회는 이러한 환자분류체계의 오류가 이미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구축 단계 때부터 영향을 주고 있었다고 지적한다.

이경복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순천향대 서울병원 신경과)는 "다수의 대형병원이 그간 권역응급의료센터 설치를 기피한 것은 급성 중증 뇌경색 등 응급 심뇌혈관 질환이 전문 진료군이 아닌데다 수가도 높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왜곡된 질병분류체계는 부족한 거점 병원의 필수의료 인력을 더 악화시킬 게 분명하기에 상급종합질병군 재분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차재관 대한뇌졸중학회 부이사장(동아대병원 신경과)은 "현재 분류체계가 유지된다면 최종 치료를 담당하는 상급종합병원에선 뇌졸중 진료가 제한되고 뇌졸중 진료 인력과 인프라 구축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면서 "결국 국민에게 피해가 갈 수 있기에 뇌졸중을 전문진료질병군으로 수정하는 일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기자 프로필

TALK

유익하고 소중한 제보를 기다려요!

제보
구독자 0
응원수 0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들의 건강과 행복, 평안한 일상을 응원합니다. 오늘도 건강하세요!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