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강화 포석…경쟁사는 손익 계산
코로나 이후 다이궁 의존도 커진 상황
경기 침체 여파 "결단 어려울 것" 관측도국내 면세점 업계 1위 롯데면세점이 매출 의존도가 큰 '다이궁(중국 보따리상)'과의 거래를 전면 중단하고 수익성 강화에 초점을 맞추면서 면세시장이 재편될지 주목된다. 경쟁사들은 코로나19대유행 이후 다이궁의 영향력이 막강해진 만큼 다이궁과 거래 관계를 재설정할 경우 득실을 계산하며 내부적으로 동향 파악에 주력하는 분위기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올해부터 거래 규모가 큰 주요 중국인 보따리상 위주로 면세품 판매를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지난해 말 취임한 김동하 롯데면세점 대표가 누적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단행한 조치로 알려졌다. 앞서 김 대표는 올해 초 발표한 신년사에서 "과거 면세점이 볼륨(규모) 중심의 성장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수익성 중심의 경영 활동을 추진할 시점"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면세점 업계에서 다이궁은 그동안 큰 손 역할을 해왔다. 2017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를 둘러싼 갈등으로 중국 정부가 자국 단체관광객의 한국 입국을 금지하면서 관광객 감소로 면세업계가 직격탄을 맞았을 때도 이들이 대량으로 국내 면세품을 현지와 동남아시아 등에 유통해 활로를 열어줬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관광 산업이 고사 위기에 놓였을 때도, 다이궁을 통한 거래로 숨통을 틔웠다. 면세점 업계 입장에서는 재고 부담을 덜고 대량으로 지속해서 상품을 유통할 수 있는 창구였다.
반면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협상에서 우위를 점한 이들 보따리상이 수수료 명목으로 상품을 정상가보다 40~50%가량 싸게 유통할 것을 요구하거나 인기 제품을 자신들에게 우선 공급하도록 압박해온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 때문에 면세점 업계는 매출이 늘어도 손실은 커지는 출혈 경쟁에 내몰렸다. 위기감을 느낀 업계가 합의를 거쳐 2023년 1월부터 중국인 보따리상 수수료를 점진적으로 인하해 현재 35% 안팎까지 낮췄으나 수수료율은 여전히 수익의 마지노선인 20%보다 높은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 면세점 시장은 해가 갈수록 쪼그라들고 있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발생 전인 2019년 24조8600억원에 달했던 면세점 시장은 이듬해 15조5100억원으로 떨어졌고, 2021년 17조8300억원으로 소폭 반등했지만, 지난해 11월 기준 12조9700억원까지 주저 앉았다. 롯데와 신라·신세계·현대 등 면세업계 주요 4사의 지난해 1∼3분기 누적 영업손실도 1355억원에 달한다.
이 때문에 면세업계는 지난해부터 부실 사업장 정리와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하며 수익성 개선에 총력을 집중했다. 롯데면세점이 지난해 희망퇴직을 통해 100여명의 인력을 감축했고, 신세계면세점은 이달 말 부산점 영업을 종료한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판로가 막힌 면세업계가 재고 부담을 낮추고 매출 증대에도 일정 부분 효과를 보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다이궁에게 의존했다"면서도 "이제는 중국 내 경기가 좋지 않고, 면세품 구매율도 떨어져 업계 입장에서도 이전보다 효과가 반감된 상황"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업계 1위 롯데면세점이 다이궁과의 거래를 중단하기로 한 만큼 다른 경쟁사들도 롯데의 선택이 불러올 손익에 대해 따져볼 것"이라며 "당장 모든 면세업계가 (롯데의 방침에) 뒤따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면세점 업계는 다이궁 의존도를 줄이는 대신 개별관광객(FIT)을 겨냥한 마케팅을 강화하는 등의 전략을 꾀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의존도가 큰 중국 시장의 소비력이 예전만 못하다는 점이 고민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을 연결하는 항공 노선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고, 양국 단체 관광도 정상화됐으나 실제 탑승객 수는 이전에 못 미치는 상황"이라며 "중국을 여행하는 내국인들도 중·장년 비중이 높고, 이들이 면세점보다는 현지 상점을 둘러보는 등의 쇼핑 성향이 강해 수익성 개선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