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피해자 2000명 넘어…6년새 11배 급증

입력
수정2024.08.28. 오후 6:26
기사원문
박현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딥페이크 피해자 올해 1000명 넘을 듯
텔레그램 등 해외 플랫폼 대응엔 한계
타인의 일상 사진이나 일반 영상물을 성적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형태로 합성·편집한 딥페이크(Deepfake) 범죄가 확산하는 가운데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는 딥페이크 피해 지원 건수가 6년 전과 비교해 11배 이상 늘었다고 28일 밝혔다. 69건이었던 2018년에 비해 올해(8월 25일 기준) 781건으로 급증한 것이다.

디성센터가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설치된 2018년 4월 이후 지난 25일까지 딥페이크 피해 지원에 나선 건수는 2154건에 달한다. 이러한 추세라면 올해 딥페이크 피해자는 1000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디성센터는 불법 촬영물과 딥페이크를 탐지할 수 있는 'DNA 시스템'을 가동해 총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 시스템의 검출률은 99% 이상이며, 제작자가 원본을 흑백으로 바꾸거나 자막, 워터마크 등을 삽입해도 이를 색출해낼 수 있다고 한다.

딥페이크에 대한 신고가 접수되면 디성센터는 피해자와의 상담 및 유포 사실 확인 이후 삭제 지원에 나선다. 피해자가 아동·청소년일 경우 선제적인 삭제 조치에 들어간다.



하지만 해외 플랫폼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 성착취물이 해외에 서버를 두거나 유포자가 국외에 머물고 있다면, 핫라인으로 구축해 놓은 각국의 수사기관이나 미국 실종학대아동방지센터(NCMEC), 국내외 정보기술(IT) 기업 등을 통해 삭제 조처를 하는데 유포 범위 파악이나 법적 통제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논란이 된 학교, 군대 등에서 지인 여성의 얼굴 사진에 음란물을 합성해 만든 성착취물과 앞서 알려진 'N번방' 성범죄 사건의 주요 유포 경로는 텔레그램 등 해외 플랫폼이었다.

한편 딥페이크 피해로 디성센터에 도움을 요청한 피해자 3명 중 1명은 미성년자였다. 이날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지난 25일까지 센터에 딥페이크 피해 지원을 요청한 781명 중 288명(36.9%)은 10대 이하였다. 미성년 피해자 수는 2022년(64명) 대비 4.5배, 전년(124명) 대비 2.3배로 늘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