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AI 허브'위해 탈원전 후퇴?‥"모든 전력 필요"

입력
수정2024.07.09. 오후 7:09
기사원문
김희윤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등 설립 계획 폭증에 정전 우려 확산
"2030년 전력 사용 12% 증가"
대만 정부가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대대적 투자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탈원전' 목표를 유지하면서 전력난을 해소해야 하는 고민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대만 타이중 대만전력공사 발전소 전경. [사진 = 대만전력공사]


9일 대만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에 따르면 궈즈후이 경제부장(경제장관)은 7일 대만 야후TV 인터뷰에서 "과거 대만의 전력 사용량 증가율은 연간 2%가량으로 높지 않았다"면서 "그러나 AI 물결 속에 대기업들이 대만에 데이터센터와 연구·개발센터를 만들기를 희망하고 있어 2030년 전력 사용량이 12%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비교적 불확실한 것은 데이터센터인데 원래 3∼4곳이 계획됐다가 갑자기 10곳의 센터가 온다면 전력 공급이 충분할지라도 혹여 한두 곳에 일이 벌어질 수 있다"며 "또 새 발전소를 건설하지 않거나 심도 있는 절전이 없다면 갑작스러운 전력 공급 중단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궈 부장은 대만이 2025∼2028년 AI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발전소 하나를 건설하는 데에는 6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경제부는 핵발전소 가동 연장에 대해 법의 틀 안에서 각종 준비를 해야 한다는 태도를 갖고 있다"며 "경제부는 태도는 '우리는 여러 전력이 모두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사회자가 '필요한 전력'에 원자력도 포함되냐고 묻자 궈 부장은 "모두 필요하다"고 말한 뒤 "태양에너지, 지열 등을 막론하고 전력을 만들 수 있다면 모두 필요하다"고 답했다.

다만, 궈 부장은 "정부는 비핵(탈핵)이라는 영속적인 목표를 달성하기를 희망하고, 경제부는 이 방향으로 계속 나아갈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대만 TSMC. 사진 AFP 연합뉴스


대만은 그동안 주로 화력 발전에 의존해왔다. 노후한 전력망에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TSMC를 포함한 첨단 반도체 기업의 전력 수요가 커 대만 내에서는 정전 사태가 종종 발생했다.

실제 대만에서는 지난 7년간 세 차례의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다. 지난해에도 여러 차례 소규모 정전이 있었다. 앞서 지난 6월 엔비디아 대만지사와 폭스콘, 위스트론, 델타전자 등이 입주한 타이베이 네이후 과학단지에서도 정전이 발생해 노후 전력망과 탈원전 위기론이 대두됐었다.

현재 대만은 전력 생산 구조에서 화력과 원자력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차이잉원 전 총통이 지난 2016년 취임 당시 2025년까지 대만 내 모든 원자력발전소 원자로를 폐쇄하고 신재생에너지로 전력 생산을 대체하겠다고 발표한 계획은 현재 진행형이다.

올해 취임한 라이칭더 총통은 자신의 임기 중 대만을 'AI 스마트 아일랜드'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 제공, 대만만의 데이터센터 건립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전력난에 따른 정전 사태가 반복되자 대만 입법원(의회) 교육문화위원회는 이날 원전 해체 연기를 골자로 하는 '핵 반응기 설비 관리·통제법 개정안'을 심의하기로 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