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회복, 지방은 ‘먼 얘기’…쌓이는 미분양에 ‘악전고투’

입력
기사원문
배수람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아파트값 서울은 오르고 지방은 떨어지고, 정반대 행보
미분양 8할은 지방에…중소건설업체 줄줄이 폐업
지방 주택시장 정상화 위한 규제 완화 절실
서울·수도권 일대 부동산시장 매수심리가 살아나며 집값이 차츰 회복세를 보이는 모습이다.ⓒ뉴시스
[데일리안 = 배수람 기자] 서울·수도권 일대 부동산시장 매수심리가 살아나며 집값이 차츰 회복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반면 지방은 찬 바람이 여전하다.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은커녕 쌓인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사업을 추진하는 중소 건설업체들의 표정도 암울하다.

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서울 아파트값은 0.55% 상승하며 전국 광역지자체 가운데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다. 지방은 같은 기간 0.96%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값은 0.65%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방에선 입주물량 적체가 심한 세종시의 낙폭이 가장 두드러졌다. 올 상반기 세종 아파트값은 4.85% 크게 떨어졌다. 미분양 적체가 심한 대구는 같은 기준 2.56%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지방과의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는 모양새다. 이달 15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 대비 0.28% 오르며 1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도권 아파트값(0.13%)은 9주째 상승세다. 이와 달리 지방(-0.04%)은 같은 기준 낙폭이 더 커졌다.

이처럼 부동산시장 분위기가 정반대 흐름을 보이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사업을 추진하는 주택업체들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전반적인 건설경기 침체로 주택사업 수익성이 악화한 데다 대부분 현장에서 미분양을 떠안고 있어서다. 대형 건설사 대비 상대적으로 매출 의존도가 높아 체질 개선도 쉽지 않다. 문을 닫은 업체들도 늘어나는 추세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종합·전문건설업체의 폐업신고(변경·정정·철회) 건수는 총 1809건으로 지난해 상반기(1794건) 대비 0.83% 증가했다.

해당 기간 수도권 소재 종합·전문건설업체의 폐업신고는 726건으로 1년 전 대비 4.85% 줄어든 반면, 5대 광역시(295건)는 10.90%, 기타지방(788건)은 3.01% 각각 늘었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지방에선 아파트를 지을수록 마이너스다. 어차피 똑같은 자재를 사용하니 서울이라 공사비가 비싸고 지방으로 갈수록 공사비가 저렴해지는 게 아니지 않냐”며 “공사비는 공사비대로 오르고, 분양은 안 되니 차라리 사업을 하지 않는 편이 더 이득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5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129가구로 한 달 전보다 0.2% 늘었고,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1만3230가구로 같은 기간 2.0% 증가했다. 전체 미분양 물량 중 79.5%(5만7368가구)가, 전체 악성 미분양 물량의 81.7%(1만806가구)가 지방에 집중돼 있다.

정부는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를 완료하고 사업성이 낮은 곳을 중심으로 재구조화 작업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18일 기준 약 24조원의 PF 대출보증이 집행되는 등 정상사업장에 대한 유동성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업계에선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를 위한 각종 금융지원 확대 등도 중요하지만, 서울로의 쏠림현상이 심화하는 만큼 지방 주택시장 침체 분위기를 해소할 만한 규제 완화 및 제도 보완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서울, 그중에서도 강남 3구, 마용성 등 핵심 입지로 수요가 집중되면서 지방에 거점을 둔 건설업체들은 벼랑 끝으로 내몰린 상황”이라며 “지방은 앞으로 미분양 물량이 한동안 더 늘어날 것. 지방으로 수요를 옮겨올 수 없다면 지방 주택에 한해서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를 대폭 풀어주는 등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은 “최근 서울 일부 지역의 과열현상은 아파트 쏠림현상이 심각해서 오는 부분이 있다”며 “공급이 장기적인 변수라면 수요와 관련된 정책은 비교적 단기간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미분양 지역의 공급 과잉 해소를 위한 세제 완화 등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