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시중은행-저축銀, 내일 만나 '퇴직연금 중단' 해법 찾는다

입력
기사원문
이호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 상품 취급 중단 확산 조짐에
실무진 회의서 사전 조율 등 대책 논의
저축은행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 연합뉴스
[데일리안 = 이호연 기자] 시중은행들과 저축은행업계가 직접 만나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퇴직연금 상품의 운용 방안을 논의한다. 일부 은행들이 신용등급 악화를 이유로 저축은행의 퇴직연금 상품을 취급하지 않기로 하면서 우려가 커지자 양측이 머리를 맞대고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저축은행으로서는 안정적인 자금 조달 수단인 퇴직연금을 갑작스레 잃게 되면 유동성 확보에 악영향이 불가피한 만큼, 시중은행의 일방적 결정 이전에 사전 조율 절차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와 시중은행 퇴직연금 담당 실무진들은 오는 11일 회의를 열고, 저축은행 상품 중단에 대한 논의할 예정이다. 중앙회는 은행이 사전 조율을 거쳐 퇴직연금 상품 판매를 중단하는 등 최소한의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시중은행에서도 이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저축은행은 퇴직연금을 직접 운용할 수는 없지만, 은행과 증권사가 판매하는 퇴직연금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정기 예·적금을 편입하는 형태로 상품을 팔고 있다. 다만 저축은행 신용등급이 투기등급(BB)까지 내려가면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서 배제된다.

그런데 시중은행들이 BBB 신용등급을 받은 저축은행의 퇴직연금도 퇴출을 결정하면서 논란이 일기 시작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에 저축은행업계의 업황 악화가 심화하자, 이를 이유로 신용등급이 BBB 이하만 돼도 상품 취급을 하지 않겠다고 결정한 것이다.

실제로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최근 신용등급 BBB급 이하 저축은행의 확정급여형·확정기여형·개인형 등 모든 종류의 퇴직연금 상품을 다루지 않기로 했다. 취급이 중단된 곳은 OK저축은행과 OSB저축은행, 애큐온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 등이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경우 아직 상품 중단을 확정하진 않은 상태다. 대신 사전지정운용제도(이하 디폴트옵션) 적용 상품에 이를 포함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실상 저축은행 예금을 우회하기로 했다.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에 가입한 고객들은 예금 등 퇴직연금 상품의 만기가 도래하면 사전에 지정한 상품으로 자금을 운용하는데, 이때 저축은행 퇴직연금 상품을 선택할 수 없어 만기 시에도 재예치가 불가능한 구조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저축은행 퇴직연금 상품도 기존대로 운영하고 있지만 건전성 우려가 지속돼 모니터링을 하는 중"이라며 "판매 중단 여부는 내일 회의 결과를 보고 가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대로라면 저축은행 퇴직연금 상품 판매 중단이 은행권 전체로 번질 수 있는 상황이다. 저축은행의 총수신 가운데 퇴직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33% 수준으로, 판매 중단이 확산되면 자금 운용과 조달에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에 중앙회는 애로사항을 금융당국에도 전달했다.

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나이스신용평가 등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을 부여받아 퇴직연금을 취급하는 저축은행은 30여곳에 이른다. 그런데 올해 상반기에만 16개 저축은행의 신용등급 전망이 하향 조정됐다. 퇴직연금 신규 유치가 가능한 마지노선인 BBB- 등급까지 하향된 곳은 4곳으로 늘어났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퇴직연금은 저축은행이 직접 운영하는 방식이 아니다 보니 다른 상품보다 마케팅 비용이 덜 든다는 장점이 있다"면서도 "퇴직연금이 줄어도 정기예금 등을 더 늘리면 유동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판매 채널이 아예 막혀버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