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노조에서 전투적 노조로?…삼성전자 왜 이러나

입력
수정2024.07.10. 오전 7:22
기사원문
정우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故이병철 회장의 ‘무노조 경영’ 노조…거센 저항에 전통 무너져
업황부진·성과급 미지급 불만…반도체 회복기 생산 차질 우려
8일 오전 경기도 화성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앞에서 열린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총파업 결의대회에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창사 이래 첫 총파업에 돌입한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이 9일 이틀째 파업을 이어갔다.

장기간 '무(無)노조' 경영을 이어온 삼성전자가 사내 최대 노동조합의 거센 저항에 직면, 반도체 생산 차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삼노는 전날 대규모 파업 결의대회를 개최한 데 이어 이날은 조합원 1천명을 대상으로 파업 관련 교육을 진행했다. 오는 10일에도 별도 집회 없이 조합원 대상 교육으로 파업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전삼노에 따르면 총파업 참여 의사를 밝힌 인원은 6천540명이다. 노조는 전 조합원에 대한 높은 임금 임상률 적용, 유급휴가 약속 이행, 파업에 따른 임금 손실 보상 등을 사측에 요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1969년 창립 이후 오랜 기간 무노조 경영을 고수해왔다. 업계 최고의 처우를 보장하면서 노동자와 직접 협상을 하고 이를 통해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고(故) 이병철 창업 회장의 경영 철학을 그룹사 차원에서 계승한 것이다.

하지만 2020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무노조 경영 방침을 폐지한다고 밝히면서 노조가 설립되기 시작했다. 이듬해 8월 삼성전자는 창사 이래 처음으로 노조와 단체 협약을 체결하며 실질적으로 노조 활동을 인정했다. 올해 2월에는 삼성 계열사 통합노조가 출범하기도 했다.

이번 대규모 총파업을 주도하고 있는 전삼노의 경우 삼성전자의 핵심 사업인 반도체 부문을 담당하는 디바이스 솔루션(DS) 부문 직원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메모리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사측이 성과급을 지급하지 이에 불만을 품은 직원들이 대거 가입했다.

전삼노는 반도체 기업에게 치명적인 '생산 차질'을 파업의 목적으로 내걸었다. 전삼노 측은 "반도체 공장 자동화와 상관없이 설비, 점검 등 관련 인원이 없으면 생산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사측이 10일까지 제시안을 가져오지 않거나 반응이 없다면 무기한 파업으로도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민주노총의 지원을 받아 강성 노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산업계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일류기업으로 성장한 배경에는 노사관계 시스템이 있었다. 지난해 반도체 불황에서 벗어나 회복기에 접어든 시점에 노조 리스크에 발목을 잡히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고 지적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