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을 '글로벌 핫플'로] 이야기·역사·관광 담아 북적거리는 항 만든다

입력
기사원문
이승훈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친수공원 전면 개방
먹거리 등 상시 콘텐츠 부족 지적
부산시의회·시민단체 활성화 촉구
분야별 전문가 참여 전담 조직 필요
해외 재개발 항만도 별도 기구 운영
국내 첫 항만 재개발로 조성된 부산항 북항을 활성화하기 위해 먹거리, 즐길 거리 등 상시 콘텐츠를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8일 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지 전경. 김종진 기자 kjj1761@


‘유령 공원’이라는 오명을 쓴 부산항 북항 재개발지를 활성화하기 위해 콘텐츠를 기획·관리할 전담 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항의 역사성, 정체성 등을 담은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입혀 북항을 ‘글로벌 핫플레이스’로 도약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싱가포르, 일본 등 항만 재개발 선진 국가들은 전문가, 시민 등이 참여하는 여러 형태의 콘텐츠 전담 조직을 통해 관광 활성화를 이뤄냈다.

국내 첫 항만 재개발로 조성된 부산항 북항 친수공원은 지난해 11월 말 전면 개방했지만 먹거리, 즐길 거리, 볼거리 등 상시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지적(부산일보 3월 18일 자 1·3면 보도)을 받아왔다. 18만㎡의 광활한 공간과 부산항이 지닌 풍부한 역사가 무색하게도 독보적인 콘텐츠를 찾아볼 수 없다. 사실상 부산항 축제 등 지자체의 단발성 행사나 축제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랜드마크 부지 개발 등 북항 재개발의 잔여 사업이 동력을 얻기 위해서라도 친수공원의 흥행이 필요하다.

친수공원을 관리하는 부산시설공단은 콘텐츠 부족 지적에 따라 하반기 대내외 행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공단 관계자는 “워터밤 부산, 북항 힐링 버스킹, 찾아가는 영화관 등 총 18개 행사(외부 행사 11개, 자체 프로그램 7개)를 준비 중”이라면서 “주차장 부지 1층과 지하 1층에 카페 등 판매시설 조성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시의회, 시민단체도 친수공원이 매력적인 공간이 되도록 활성화 방안 마련을 촉구한다. 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 강주택(중) 의원은 “방문객들은 보고 즐길 거리가 없어 아쉽다고 이구동성이다”면서 “지역 특색을 반영한 상시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개발하고 유휴 공간의 활용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북항의 관광 거점화를 위해서는 해외 선진 사례처럼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콘텐츠 전담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북항 친수공원의 경우 육지는 부산시설공단이, 수로는 부산항만공사가 각각 관리해 통합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데 한계가 있다. 더불어 북항에 활기를 불어넣을 랜드마크 부지 개발이나 오페라하우스 조성 등에 수년이 소요되는 만큼 마냥 기다릴 수만 없는 상황이다. 현재 친수공원 일대 상시로 즐길 수 있는 시설은 북항 마리나, 오토 캠핑장 등 정도다. 향후 약 1만 6000㎡에 달하는 친수공원도 추가로 조성되고 있어 대규모 공간을 아우르는 콘텐츠가 필요하다. 인근 시설이 하나둘 조성되면 콘텐츠가 중복되지 않도록 체계적인 관리도 이뤄져야 한다.

2000년대 초 항만 재개발을 완료한 일본 고베항은 메리켄 파크, 고베 타워 등 핵심 시설을 시와 민간으로 구성된 별도 주식회사가 운영한다. 싱가포르의 경우 비영리단체가 주민 설문 조사를 매년 실시해 콘텐츠를 보강하는 등 재개발지인 클락키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대만 보얼예술특구는 새롭게 조직된 민관 전담 센터가 관광·예술 공간을 2개에서 30개로 늘리며 콘텐츠를 확장시키고 있다.

북항 친수공원에 대한 시민의 관심은 점차 커진다. 개장 당시인 지난해 12월 이용객 수는 2만 3000명이었지만, 이후 1월 3만 7200명, 2월 4만 3500명, 3월 5만 2700명, 4월 6만 4300명 등 꾸준히 늘고 있다. 부산항 축제가 열렸던 지난달에는 12만 8500명이 몰렸다.

부경대 HK 사업단 서광덕 교수는 “문화, 예술, 도시, 공공 등 각 분야 전문가의 지혜를 모아 항만 재개발의 선진 사례를 만들어야 한다”면서 “해외 사례를 통해 북항에 가장 걸맞은 콘텐츠 모델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 페이지(아웃링크)로 이동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