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노래, 70년 전보다 단순하다고? [달콤한 사이언스]

입력
기사원문
유용하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영국, 덴마크 연구진은 지난 70년 동안 가장 인기 있는 노래를 분석한 결과, 음악 멜로디가 점점 단순해졌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언스플래쉬 제공
17~18세기 활동했던 영국 극작가 윌리엄 콩그리브는 “음악은 야만인의 가슴을 달래주고 돌을 무르게 만들며 옹이진 나무를 휘어지게 하는 매력이 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음악은 우울하고 불안한 마음을 안정시켜주기도 하고 뇌 발달에도 도움을 준다는 연구들도 많다. 이런 효과를 떠나, 음악은 즐거움, 편안함, 활력, 기쁨, 슬픔, 들뜸, 분노 등 다양한 감정을 일으킨다. 아침에 일어날 때, 등교하거나 출근할 때, 쉴 때, 잠들 때, 그리고 외로울 때, 화가 날 때, 짜증 날 때 음악을 찾는 이유이기도 하다.

클래식 음악이나 대중음악 모두 시대에 따라 인기를 끄는 장르나 종류는 달라진다. 그렇다면, 과거와 현재의 음악은 얼마나, 어떻게 달라진 것일까.

영국 런던 퀸 메리대 음악 인지 연구실, 덴마크 오르후스대 의대 임상의학과 공동 연구팀은 미국 빌보드 연말 싱글 차트를 분석한 결과, 매년 가장 인기 있는 노래의 멜로디가 해가 갈수록 점점 단순해진다고 7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7월 5일 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1950년부터 2022년까지 매년 미국 빌보드 연말 싱글 음악 차트에서 상위 5위에 오른 음악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멜로디, 특히 가수가 부르는 보컬 멜로디에 주목했다.

그 결과, 1950년 이후 초당 연주되는 평균 음표 수가 증가하면서 오히려 노래 리듬과 음정 배열의 복잡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멜로디의 복잡성의 완화는 1975년부터 2000년에 두 번 나타났고, 1996년에 한 번 더 나타났던 것으로 확인됐다.

1975년 이후 발생한 멜로디의 단순화는 뉴웨이브, 디스코, 스타디움 록 같은 장르가 주목받으면서 나타났다. 스타디움 록은 아레나 록으로도 불리는데 1970년대부터 콘서트장을 중심으로 화려하게 연출된 라이브 공연에 쓰이는 음악으로 ‘긴 머리카락, 큰 목소리, 큰 기타’로 요약된다. 1996년부터 2000년에 발생한 변화는 힙합의 부상과 오디오 루프의 반복 재생을 가능하게 한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도입으로 나타난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대중적 멜로디의 복잡성이 감소했지만, 소리의 품질이나 조합과 같은 다른 음악적 구성 요소의 복잡성은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연구팀은 초당 재생되는 평균 음의 수 증가와 같은 다른 음악 요소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음악에서 멜로디의 단순화 현상을 청취자가 느끼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연구를 이끈 마커스 피어스 런던 퀸 메리대 교수(음악 인지학)는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70년 동안 대중음악의 진화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한다”라며 “디지털 악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멜로디가 아닌 음질로 음악적 복잡성과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과학은 먼 나라 이야기도 아니고, 나와 상관없는 이야기도 아니랍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