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제주] [앵커]
이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무안공항 활주로 끝에 있던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목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혼잡한 공항인 제주공항은 어떤지 민소영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랜딩 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채 활주로에 불시착한 여객기.
활주로 끝단 구조물과 충돌하며 큰 피해가 났습니다.
이번 여객기 참사 인명피해가 컸던 이유로 지목받는 무안공항의 콘크리트 둔덕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국내선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제주공항은 어떨까.
활주로 끝단 인근에 주황색 안테나 여러 개와 이를 받치고 있는 철골 구조물이 보입니다.
항공기가 활주로 가운데 맞춰 안전하게 착륙하도록 유도하는 항공 안전시설 "로컬라이저"입니다.
활주로 끝 300m 지점에 커다란 철골 기둥 두 개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박혀 서 있습니다.
높은 둔덕으로 쌓은 무안공항과 차이는 있지만 야트막한 둔덕처럼 보입니다.
국토부 관련 지침에선 "항공 장애물은 부러지기 쉽게 설계·제작하고, 충돌 시 항공기를 손상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받침 역시 부러지기 쉽게 장착하라고 썼습니다.
[주종완/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지난 30일 : "콘크리트 구조물도 있고 또 어떤 파일 형태도 있고. 어떤 정해진 규격화된 그런 상태는 없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습니다."]
로컬라이저를 지나면 지대가 수직으로 떨어집니다.
외부와 여유 공간은 겨우 50m 남짓, 바로 차량이 다니는 도로가 나옵니다.
이번 사고처럼 동체 착륙 시 자칫 민간인 피해도 나올 수 있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참사를 계기로 "제각각 설치" 문제가 드러난 공항 시설물 설치 규정을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이근영/한국교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 : "부서지기 쉬워야 하고 단차가 적어야 한다고 하는 그런 개념이 활주로와 인접한 모든 시설물에 골고루 적용돼야 효과적이다."]
이 밖에도 착륙 중인 항공기가 활주로를 벗어날 때, 구조물이 부서지며 속도를 급격히 낮춰주는 안전장치인 이마스(EMAS) 도입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소영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그래픽:서경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