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대회 흔드는 김건희... 보수의 최대 악재인 이유 [김봉신의 여론감각]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봉신의 여론감각] 총선 이슈별 투표 결정 영향 분석, 명품백 논란이 가장 크게 좌우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8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쉐라톤 호텔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 하와이 심포니 오케스트라 현악 4중주 문화 공연를 관람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 2024.7.9 [공동취재]
ⓒ 연합뉴스

 
7월 첫 주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국정 수행 긍정률은 26%로, 총선 후 20% 중반대에서 고착된 긍정률이 꿈쩍하지 않고 횡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산유국의 꿈에도, 대북 긴장감 고조에도 30% 선을 상향돌파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총선 전에는 나타나지 않았고, 총선 직후에는 주로 외교 무대에서만 간혹 눈에 띄었던 윤석열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 여사'의 이름이 갑자기 언론에 자주 등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김 여사의 전면적인 등장이 향후 어떤 영향을 끼칠지 살펴보았다.

총선 영향력 최대 이슈는?

'제22대 국회의원선거 패널 조사'는 한국리서치가 동아시아연구원의 의뢰를 받아 전국 만18세 이상 남녀 1528명을 대상으로 4월 12일~16일, 웹으로 진행했다. 이 조사 결과에서 필자의 눈길을 끈 대목은 '이슈별 투표 결정 영향 정도'라는 도표인데, 아래와 같다.
 
▲ 총선 이슈별 투표 결정 영향 정도 지난 4월 동아시아연구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이슈별 영향 정도를 보면 김건희 여사 명품백 이슈가 영향이 있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 동아시아연구원

해당 조사에선 7개 이슈를 놓고 '총선 투표 결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느냐'고 물었는데, 응답자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영향이 있었다고 한 이슈는 '김건희 여사 명품백 논란'이었다. 명품백 이슈에 대해 '아주 영향이 있었다' 36.7%, '다소 영향이 있었다' 29.3%로 총 66%가 영향이 있었다고 답했다. 

'이종섭 호주 대사 공수처 수사와 출국과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실언'이라는 이슈에 대해 영향이 있었다는 응답은 58.6%, '사과, 귤 값 폭등 물가 상승'은 58.2%로 나타났다. 

흔히 '친명횡재 비명횡사'라며 민주당의 최대 악재로 언급됐던 '민주당 친이재명계 인사 공천과 비이재명계 배제 논란'에 대해서는 43.3%만이 영향이 있었다고 나타나면서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약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선거운동 과정에서 윤석열-한동훈 갈등'이라는 이슈도 비슷한 정도의 영향력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41.2%).

여기까지 정리하면, 지난 4월 국회의원 선거가 두 정당의 당내 이슈보다는 윤석열 정부 심판론에 의해 지배됐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대통령실 관련 이슈 중에서는 김건희 여사 관련 이슈의 영향력이 강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언론서 사라진 김건희 여사, 어떻게 총선을 흔들었나

언론진흥재단의 뉴스 빅데이터 서비스 빅카인즈에서 날짜를 2024년 1월 1일~4월 9일로 설정한 뒤 다음의 각 인물을 키워드로 넣고 뉴스를 검색해봤다. 그 결과 윤석열 8만1414건, 이재명 5만5015건, 한동훈 4만2990건으로, 윤 대통령이 압도적으로 많이 뉴스에 등장했고 이재명과 한동훈 두 정당의 대표자가 그 다음이었다. 김건희 여사는 1만2831 건으로 다소 적게 나타났다. 

앞서 동아시아연구원의 결과와는 좀 다르다. 두문불출 한 탓인지 김건희 여사는 올해 총선 선거일까지 언론에 언급된 건수가 다른 주요 인물과 비교했을 때 적었다. 빅카인즈로 확인한 수치와 비슷한 데이터는 또 있다. 

아래 도표는 네이버에서 날짜를 1월 1일~4월 9일로 설정한 뒤 사용자들이 주요 인물을 검색한 검색량을 확인한 결과다. 이재명 대표 관련 검색량이 가장 많았던 날이 있어서 그 검색량을 100으로 놓고, 기간 내 나머지 수치를 비율로 환산하니 아래와 같은 도표를 그릴 수 있었다. 
 
▲ 총선 전 주요 인물 검색량 2024년 1월 1일부터 4월 9일까지 네이버 데이터랩에서 주요 4명의 검색량을 비교했을 때 김건희 여사 검색량이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 네이버 데이터랩

도표를 보면, 역시 양대 정당의 대표가 차지하는 비율이 대체로 높다. 일부 시기엔  윤 대통령 검색량이 가장 높기도 하지만, 이재명과 한동훈 검색량의 비율이 높은 날들이 더 많다. 김 여사에 대한 검색량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정리하자면, 김건희 여사는 언론 기사 언급량이나 포털 검색량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지만 김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 이슈는 총선 투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이야기가 된다. 과연 이 현상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인물은 숨어도 영향력은 최대인 이유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고 6개월도 지나지 않은 2022년 9월 4주 전국지표조사를 보면, 이미 김 여사 관련 특검에 국민 10명 중 6명 정도가 찬성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설문 문항은 "선생님께서는 김건희 여사의 허위 경력 기재 및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등의 의혹과 관련한 김건희 특검에 대해"라고 의혹의 내용을 불러주고 찬반을 묻는 방식이었다. 찬성이 59%, 반대가 32%로 27%p 격차로 찬성이 우세했다. 진보 성향자 중 80%, 중도 성향자 중 64%가 찬성했고, 보수 성향자 중에서도 39%가 찬성했으니, 적은 수치라고 볼 수 없다. 

비교적 최근이라고 할 수 있는 올해 1월에는 어땠을까. 2024년 1월 2주 전국지표조사를 보면 윤 대통령의 김건희 여사 특검법 거부권 행사에 65%가 잘못한 결정이라고 응답했다. 문구는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 특검법 거부권 행사"라고 했다. '잘한 결정'이라는 긍정 응답은 23%에 불과해 같은 조사의 대통령 긍정률 32%보다 9%p 적었다. 김 여사 특검법 이슈가 윤 대통령 긍정률에는 하방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종합하면, 윤석열 정부 들어 김 여사 관련 이슈는 여론에서 비판적 응답이 줄곧 다수로 나타났다. 총선을 몇 개월 앞둔 올해 조사에서도 민심은 매우 차가웠단 사실을 알 수 있다. 김건희 여사가 공개적인 행보를 자제하는 등 노출이 많지 않았음에도 김 여사 관련 이슈가 총선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데는 이미 민심에선 관련 이슈가 변수가 아니라 상수로 굳어져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여사 이슈의 하방압력에 무너진 대통령 긍정률
 
이 같은 관점에서 본다면 올해 상반기 국회의원 선거의 성격은, 윤 대통령 긍정률이 김 여사로 인한 하방압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가 총선을 경과하면서 버티지 못하고 주저앉은 것으로도 해석된다.

총선 후 윤 대통령 긍정률은 다채로운 이슈가 제기됐음에도 '백약이 무효'임을 증명하고 있다. 지금까지 확인한 것처럼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국빈 방문 이후 언론에서 사라졌던 김 여사의 총선 영향력은 가장 강했고, 총선 패배와 함께 김 여사가 다시 등장하면서 대통령 긍정률은 폭락 후 상승 모멘텀을 찾지 못하고 있다.
 
▲ 윤석열 대통령 국정 긍정률 한국갤럽이 7월 1주에 발표한 윤 대통령 국정 긍정률은 총선 후에 계속해서 하방압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점선 강조는 필자)
ⓒ 한국갤럽

 
그런데 최근 여당인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김건희 여사가 다시 맹활약(?)을 펼치고 있다. 올해 1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과 주고 받은 메시지로 인한 논란인데, 여러 가지 차원에서 놀랍다. 한 전 비대위원장을 절윤으로 몰고 고립시키는 것이 다른 당권 주자에게 힘이 되는 주장일 수 있겠지만, 김 여사 관련 이슈가 과연 국민의힘 전체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생각해 볼 일이다. 

위 분석을 토대로 봤을 때 이번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기존에 보여줬던 컨벤션효과를 과연 보여줄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오히려 국민의힘으로 대표되던 보수진영 내 유권자 간 보이지 않던 응집력이 상당히 약화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또 윤 대통령 긍정률이 꾸준히 하방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졌다. 

혹자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전 국민의 민심을 다 끌어 모아 새로운 인물로 급부상하는 것 아니냐'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이건 장담할 수가 없다. 최근 한 전 비대위원장이 해병대 채상병 특검 관련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면서 주목을 받았지만, 그는 이미 총선 내내 상대 정당 대표에 대한 네거티브를 일삼다가 결과적으로 패배했기 때문이다. 

뭐랄까,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이번 정부 들어 나타났던 여러 악재들을 압축적으로 드러내 민심과 더 멀어지는 캠페인처럼 보이는 건 필자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인용한 여론조사]
○ 한국갤럽 데일리오피니언: 가상번호 전화면접 방식, 한국갤럽 자체조사
- 2024년 7월 1주: 7월 2~4일 조사

○ 동아시아 연구원: 정치사회 패널을 활용한 웹조사, 동아시아연구원 의뢰 한국리서치 조사
- 2024년 4월 12~16일 조사

○ 전국지표조사(NBS): 가상번호 전화면접 방식, 엠브레인퍼블릭ㆍ케이스탯리서치ㆍ코리아리서치ㆍ한국리서치 자체조사
- 2022년 9월 4주: 9월 19~21일 조사
- 2024년 1월 2주: 1월 8~10일 조사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