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연합뉴스가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와 공동으로 25개 주요 시공사의 내년도 분양 물량을 전수 조사한 결과, 전국 158개 사업장에서 총 14만6130가구(민간아파트 분양 기준·임대 포함)가 분양 예정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0년 이후 분양 물량이 가장 적었던 2010년(17만2670가구)보다도 2만6000가구 적은 수치다. 연간 분양물량은 2000년 이후 대체로 매년 20만 가구 이상을 기록했으나 2010년과 2023년(18만5913가구)에는 그에 못 미쳤다.
2016년 이후로만 보면 연평균 분양 물량은 26만8601가구를 기록했다.
실제 분양 실적은 애초 분양 계획보다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건설사들의 내년도 실제 분양 물량은 이번 조사보다 더 줄어들 가능성도 상당하다.
다만 이번 통계에는 분양 계획이 최종 확정되지 않은 GS건설, 롯데건설, HDC현대산업개발의 물량 일부(1만1000여가구)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를 더해도 내년도 분양 계획 물량은 총 15만7000여가구로, 2000년 이후 최저치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조사 대상인 25개 건설사의 분양 물량이 전체 민간 아파트 분양의 80% 이상을 차지한다"며 "분양 물량은 2∼3년 이후 입주 물량이 되는데 분양 급감에 따라 입주 물량이 줄면서 주택 공급 시장에 쇼크를 줄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예정된 분양은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8만5840가구(59%), 지방은 6만290가구(41%)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수도권 쏠림 현상은 올해보다 더 심화할 전망이다.
전체 분양 중 수도권 비중은 2021년 40%를 저점으로, 2022년 43%, 2023년 56%, 2024년 57% 등으로 수년째 증가하는 추세다.
수도권 분양은 세부적으로는 △경기 5만550가구 △서울 2만1719가구 △인천 1만3571가구 등이다.
경기(올해 7만8625가구 분양)는 2만8075가구 줄어들며 서울(올해 2만6484가구)과 인천(올해 2만1699가구)은 4765가구, 8128가구씩 줄어드는 셈이다.
지방에선 부산(1만8007가구), 충남(1만3496가구), 경남(6611가구) 등의 순으로 분양 물량이 많다. 그러나 강원(508가구), 경북(999가구), 광주(1294가구), 전남(1434가구) 등 일부 지역에선 분양 예정 물량이 서울의 1개 단지 규모에도 못 미쳤다.
월별로는 내년 1월(1만666가구)이 가장 많다. 이는 올해 분양 계획이 잡혔다가 연기된 물량이 연초에 몰린 영향이다. 이어 분양 성수기로 손꼽히는 4월과 5월에 각각 1만1163가구, 1만1261가구 공급이 예정됐다.
그 외 △2월 5110가구 △3월 6366가구 △6월 9665가구 △7월 4860가구 △8월 7789가구 △9월 3883가구 △10월 9703가구 △11월 4379가구 △12월 7658가구 등 1·4·5월을 제외한 달은 평균 5300여가구가 공급된다.
업체별로는 시공능력평가 상위 10대 건설사(올해 기준) 중 6곳의 분양물량이 올해보다 줄 것으로 전망됐다.
나머지 3곳은 올해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1곳은 늘릴 것으로 각각 예상됐다.
이에 따라 10대 건설사의 전체 물량도 올해의 69%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유형별로는 재건축·리모델링 등 내년도 정비사업의 비중이 47%로 50%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올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관련 사업이 대거 이미 진행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