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상공서 새떼와 전투기 충돌"…지방 신공항 괜찮나

입력
수정2024.12.31. 오전 7:26
기사원문
정은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21년 10월 새만금 신공항 부지 인근 상공에서 F16 전투기가 민물가마우지떼에 둘러싸여 비행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사진 오동필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장
무안 제주항공 참사의 원인으로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이 거론되는 가운데, 지역에서 추진되는 신공항 예정지 중 상당 수가 철새 도래지 인근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신규 건설을 추진 중인 공항은 가덕도 신공항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새만금 공항, 흑산 공항, 서산 공항, 제주 제2공항, 백령 공항 등이다.

이중 무안공항과 가장 가까운 전북 군산의 새만금 신공항은 국내 최대 철새 도래지인 금강 하구에 지어질 예정이다. 금강 하구는 가창오리와 큰고니, 민물가마우지, 물떼새류 등의 이동 경로이자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

2022년에 완료된 새만금 신공항 환경영향평가 보고서를 보면 “유부도와 서천갯벌(수라갯벌 인접)을 중간 기착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가 만조시 큰 무리를 이루어 이동해 해당 시간에 항공기가 이착륙을 할 경우 충돌이 예상돼 저감 대책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또, 조류 충돌 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신공항 부지의 13㎞ 내 연간 예상 조류 충돌 횟수는 10.45~45.92회로 추산됐다. 이는 보고서 작성 당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조류 충돌 사고가 발생한 인천(2.99회)보다 3.5~15.3배 많은 수치다. 조류 충돌 사고의 경우, 90% 이상이 공항 반경 13㎞ 내에서 발생한다.

“새만금 상공서 가마우지떼와 전투기 충돌”
새만금신공항 예정지 인근 갯벌에서 떼지어 비상하는 도요 무리. 사진 오동필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장
2021년에는 신공항 예정지 상공에서 전투기 주변을 새들이 둘러싸며 비행하는 위험천만한 장면이 목격되기도 했다. 오동필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장은 "3년 전 F16 전투기와 민물 가마우지떼가 충돌하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는데, 우연히 촬영한 것이 아니라 예상하고 찍은 것"이라며 "그만큼 새가 많기 때문에, 공항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새만금 신공항 부지는 주한미군이 쓰는 군산공항과 1.35㎞ 떨어져 가깝다. 당시 공군은 새떼와 전투기가 충돌한 흔적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부산의 가덕도 신공항 부지도 낙동강 하구 철새 도래지 영향권으로 꼽힌다. 가덕도 인근은 특히 한 마리의 충돌로도 항공기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맹금류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지난 2021년 낙동강 하구에서 희귀한 멸종위기종 맹금류 15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후승 한국환경연구원(KEI) 연구위원은 “새만금과 가덕도는 이미 인접한 기존 공항(군산공항, 김해공항)이 있어 철새 관리 구역이 중첩된다”며 “이런 경우 기존 공항에서 철새 유인 시설 등 조류 관리가 잘 이뤄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제주 제2공항 2단계사업 조감도. 사진 국토교통부
제주 성산읍에 위치한 제2공항 입지 역시 조류 충돌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KEI는 전략환경영향평가를 검토한 결과, 제주 제2공항의 조류충돌 위험성이 기존 제주 공항보다 2.7~8.3배 높고, 조류 충돌 피해가 큰 김포공항과 인천공항에 비해서도 1.6~4.96배 높다는 의견을 환경부에 제출했다.

조류 전문가 “환경영향평가서 조류 충돌 후순위”
지난해 1월 경북 고령군 우곡교 인근 낙동강변에서 월동하는 천연기념물 제243호(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독수리가 햇볕을 쬐고 있다. 뉴스1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조류 충돌에 대한 조사와 대책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류 전문가인 최창용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교수는 “새가 살기 좋은 곳은 비행기도 이·착륙하기 좋은 곳이라 공항 부지는 조류 서식지와 겹칠 수밖에 없다”며 “그래도 정도를 따져 조류 충돌 가능성이 가장 낮은 곳으로 부지를 선정해야 하는데, 환경영향평가에서 이런 문제가 후순위로 고려되는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정인철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사무국장도 “조류 충돌은 기장 입장에서도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 공항 건설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인데, 환경영향평가 때는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하면서 허가 받아 놓고 책임지지 않는 구조가 문제”라고 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