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 이어 테슬라까지…포르투갈 공항 주차장서 200대 불탔다

입력
수정2024.08.19. 오후 4:04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6일 오후 7시 40분쯤 경기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도로에 있던 테슬라 전기차에 불이 났다. 사진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지난 1일 인천 청라 벤츠 전기차 화재에 이어, 16일엔 경기 용인에서 주차 중이던 테슬라 차량에 불이 나는 등 전기차 화재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포르투갈에서도 16일(현지시간) 리스본 움베르투 델가두 국제공항 인근 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발화 추정 화재로 차량 200여대가 불탔다.

전기차 화재 사고 비율은 경유보단 낮지만 휘발유·하이브리드 차량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화재 1건당 피해액도 전기차가 다른 차종에 비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완성차 업계에서 잇따른 화재 사고로 소비자 공포감 확산을 막는 데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배터리 업체가 안전성을 경쟁력으로 삼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8일 국토교통부·소방청의 ‘자동차 유종별 누적등록현황’과 ‘자동차 유종별 화재 현황’ 자료를 종합해보면, 지난 5년간 경유차의 화재 발생률(0.014%)이 가장 높고, 전기차(0.011%)가 그 다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유차(0.007%)와 하이브리드차(0.003%)는 전기차보다 화재 발생이 낮았다. 관계당국은 경유차의 경우, 노후 차량의 증가를 화재 발생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화재 발생률 변화 추이를 따져보면 전기차가 눈에 띈다. 전기차 화재 발생률은 2019년 0.008%에서 지난해 0.013%로 증가한 반면, 하이브리드는 같은 기간 0.005%에서 되레 0.002%로 감소했다. 휘발유차는 0.007~0.006% 수준을 유지했다. 경유차도 0.014%에서 0.015%로 증가했지만 전기차 대비 증가폭이 작았다.

김영옥 기자

전기차 화재·폭발 사고로 인한 손해는 다른 차종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개발원이 최근 5년간 화재·폭발에 의한 사고를 분석한 결과, 건당 손해액은 전기차 1314만원으로 내연기관차(693만원)의 2배 가량이었다.

일반 교통사고를 포함한 전체 사고 1건당 손해액도 전기차(296만원)가 비전기차(178만원)보다 1.7배 높았다. 보험개발원은 전기차의 급가속 기능이 사고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때문에 전기차 보험료는 내연기관차보다 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화재에 따르면 전기차 보험료가 내연기관차보다 최대 1.4대 더 높은 사례도 있다.
김영옥 기자
지난 8일 인천 청라 벤츠 전기차 화재현장에서 관계당국이 차량을 감식하고 있다. 연합뉴스

잇따르는 화재 사고에 업계는 긴장 상태지만, 학계 일각에선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과도한 공포감이 형성돼있다는 반론이 있다. 국제배터리협회(IBA) 이사인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학과 교수는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어떤 것이 더 위험하다는 통계는 유의미하다고 볼 수 없다”며 “전기차 초창기에는 화재진압의 어려움이 부각됐는데, 최근 소방당국의 발표를 보면 전기차의 화재진압이 내연기관차에 비해서도 어렵지 않다고 한다”고 했다. 이어 “배터리 셀은 아무리 잘 만들어도 (전압 등에) 편차가 날 수밖에 없고, 사용하다 보면 조금씩 더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다. (배터리 불안정성이) 조금씩 누적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며 “화재를 최소화하고 초동 조치를 할 수 있는 상황이 되느냐 아니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청라 벤츠 화재 사고 이후 일부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전기차 지하주차에 반대하는 움직임에 대해 “지금까지는 (인과관계가) 밝혀진 게 없고 조금 더 시간을 두고 검증해야 된다”며 “지하주차장 들어가면 안 된다는 건 약간 마녀 사냥의 느낌이 난다”고 지적했다.

최근 전기차의 연이은 화재 사고를 계기로, 한국 배터리 업체가 안전성을 경쟁력으로 삼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석좌교수는 중앙일보에 “배터리 소재 분야에서 화재방지 대책을 찾아야 하고, 배터리매니지먼트시스템(BMS)을 고도화해 문제 있는 배터리셀을 빠르게 솎아낼 수 있도록 정확하게 예측하는 기술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선우명호 고려대 자동차융합학과 석좌교수는 “배터리 온도를 상시체크하는 시스템을 의무화하고,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거나 화재 우려 있을 시 피할 수 있도록 7~10분 전에 알려주는 시스템 마련 필요하다”며 “현재까지 업계의 기술경쟁이 전기차 주행거리 늘리기에 방점이 찍혀있었는데, 앞으로는 안전 경쟁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 다른 경쟁국보다 안전성 측면에서 뛰어나다는 K-배터리의 기술적 차별성을 부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