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도 해상풍력에 3000억 투자..국내만 100조 시장, 대기업들 뛰어든다

입력
수정2024.07.09. 오후 6:19
기사원문
윤성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가 개발한 국내 최초 8㎿ 해상풍력발전시스템. 사진 두산에너빌리티

해상풍력 공급망 시장으로 대기업들이 뛰어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해상풍력 시장이 초기 단계를 지나 각국의 지원 정책으로 ‘성장의 시대’를 맞이했기 때문이다. 국내만 2030년까지 100조원 가까운 규모의 해상풍력 건설 시장이 열린다. 기업들은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GS그룹의 에너지 설비 기자재 제작업체인 GS엔텍은 해상풍력 하부 구조물 생산을 위한 자동화 설비 도입 등을 위해 3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GS엔텍은 정유·석유화학 플랜트용 화공기기(석유화학 물질의 저장·혼합 등을 위한 기기) 제작업체다. GS그룹의 친환경 미래사업 전략에 따라 해상풍력 구조물 사업자로 전환하기 위해 이번 투자를 계획했다. GS엔텍은 2022년 해상풍력 하부 구조물 종류 중 하나인 모노파일 시장에서 세계 1위인 네덜란드의 시프(Sif)사와 기술 라이선스 독점계약을 체결하며 해상풍력 구조물 사업자로 전환을 준비해왔다.

다른 대기업들도 최근 해상풍력 시장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해상풍력 건설 사업에서 사업비가 가장 많이 소요되는 부분은 풍력터빈과, 이를 바다 위에 세울 하부구조물이다. 국내 터빈 시장에는 대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와 중견기업 유니슨, 두 회사가 뛰어들어 해상풍력용 터빈을 개발 중이다. GS엔텍이 뛰어든 하부구조물 시장에는 SK오션플랜트를 비롯해 세아윈드, HSG성동조선 등이 참여 중이다. 이 외에도 HD현대중공업·한화오션·삼성중공업 조선 3사는 해상풍력 설치선 사업에 진출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email protected]
한국은 해상풍력 시장의 후발주자다. 유럽과 중국이 압도적으로 앞서 있다. KDB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 보고서를 보면, 2022년 기준 전 세계 신규 해상풍력 설치 용량은 8.8기가와트(GW)인데 이 중 중국이 58%, 유럽이 22%를 차지했다. 미국도 후발주자다. 한국은 그보다 더 뒤처져 있다. 기술도 마찬가지다. 해상풍력의 가장 핵심 부품인 풍력터빈의 경우 1위 기업은 덴마크 베스타스, 2위는 독일 지멘스가메사다. 이들의 뒤를 자국 시장 확대를 등에 업은 중국 기업이 바짝 쫓고 있다.

후발주자인데도 불구하고 국내 대기업들이 해상풍력 사업에 투자를 늘리는 건 성장성이 높은 ‘황금 시장’이기 때문이다. 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GWEC)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해상풍력 누적 설치 용량은 2022년 63기가와트(GW)에서 2032년에는 477GW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10년 만에 7배로 성장하는 것. 성장세의 배경엔 각국이 RE100(신재생에너지 100%) 달성을 위해 해상풍력에 보조금을 지급하겠다는 계획이 있다.

특히 국내 기업들이 주목하는 건 내수 해상풍력 시장이다. 아직 해외 해상풍력 시장 진출에는 선도 기업들의 벽이 높기도 하고, 한국 내수 시장의 성장세도 가파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상업 운전 중인 해상풍력은 전북 서남권(60㎿), 영광(34.5㎿), 제주탐라(30㎿) 3개 단지 124.5㎿에 불과하다. 정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0년까지 14.3GW(총 생산 전력의 7.5%)의 해상풍력 발전 시설을 국내에 보급한다고 밝혔다. 보통 1GW당 건설비가 5조~7조원인 점을 감안하면 건설비만 70조~100조원에 달한다.

해상풍력 발전단지 이미지. 셔터스톡
해상풍력 진출 기업 관계자는 “건설·플랜트·조선 기술은 한국이 최고이기 때문에 결국 기술이 비슷한 해상풍력 구조물에서는 한국 기업이 해외 기업에 전혀 밀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중국 업체들의 국내 시장 진출을 견제하기 위한 정부 정책이 나올 것이란 기대도 있다. 이미 유럽과 미국은 자국 기업 보조금 정책으로 중국 업체를 견제하고 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