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에 큰 지진 없어서 몰랐다…"서남권 작은 단층 밀집 가능성"

입력
수정2024.06.12. 오후 6:26
기사원문
정은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성룡(43)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사진)는 12일 중앙일보와 전화인터뷰에서 부안 지진 발생 원인에 대해 “한반도 서남권에도 작은 단층이 밀집돼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지난 3월 미국지진학회(SSA) 지진연구레터(SRL) 저널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한반도 동남권뿐만 아니라 서남권에도 단층이 다수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호남 지역은 큰 규모의 지진이 없어 관련 연구가 많지 않았다. 김 교수가 포함된 고려대·전남대 연구팀(1저자 한종원 고려대 연구원)이 ‘작은 지진’인 미소지진(규모 2.0 이하)을 분석한 결과는 이번 부안 지진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데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된다. 김 교수는 “연구팀이 2012~2021년 남한에서 발생한 미소지진을 AI(인공지능)로 분석한 결과 지진 발생 위치가 선형으로 연결되는 특징이 나타났고, 이는 수억년 전 형성된 지질경계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지질경계는 떨어져 있던 땅 덩이가 만나 봉합된 부분을 말한다. 지금의 한반도가 포함된 유라시아판은 수억년 전 수많은 땅 덩이가 붙으며 형성됐다.

차준홍 기자

이번 부안 지진도 한반도 서남권의 지질경계 셋(홍성임진강대, 경기육괴, 옥천대)이 만나는 곳 인근에서 발생했다. 김 교수는 “전북 지역에서 선형으로 나타난 미소지진 발생지가 이번 지진 발생지 근방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까지는 지질경계가 지진을 일으킬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단단하게 붙어있기 때문”이라면서도 “미소지진 연구 결과는 지질경계가 단층 형성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가설을 세우게 했다”고 말했다. “서로 떨어져 있던 땅 덩이가 붙어 있는 상황이다보니, 외부 압력이 가해졌을 때 경계를 따라 작은 단층이 생길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미소지진이라도, 지진이 발생한다는 건 단층이 있다는 뜻”이라며 “큰 지진이 많지 않은 국내에서는 미소지진 연구 역시 큰 단층·지진 연구에 근거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고 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