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3.5%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국민계정 통계 기준년이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되면서, 이 비율은 기존 100.4%에서 6.9%포인트 낮아졌다. 이 비율이 가장 높았던 2021년 수치도 105.4%에서 98.7%로 조정되면서, 100%선을 넘은 적이 한 번도 없게 됐다.
이는 ‘분모’인 명목 GDP가 상향 조정된 영향이다. 통상 기준년 개편 시에는 경제 총조사 등 기초자료가 보완되면서 명목 GDP가 상향 조정된다.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새롭게 포착되는 경제활동이 반영돼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다. 한은은 5년에 한 번씩 기준년을 개편한다.
그러나 국제금융협회(IIF)가 집계한 선진국(12개국)과 신흥국(30개국) 포함 42개국의 통계를 보면, 한국은 지난해 말 기준 여전히 세계 4위 수준에 이른다. 스위스(126.3%)·호주(109.6%)·캐나다(102.3%) 다음이다. 93.5%로 비율이 낮아져도 5위 홍콩(92.9%)과 자리를 바꾸지 못했다. 한국을 뺀 41개국 평균치는 45.3%다.
다만 최근 비율은 하락세다. 한은 기준으로 지난해 말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2년 말(97.3%)보다 3.8%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8월 이창용 한은 총재는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어가면 경제성장이나 금융안정을 제약할 수 있다”고 했다.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만큼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