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임대인’ 명단 오른 126명...평균 18억9500만원씩 떼어먹었다

입력
수정2024.06.23. 오후 12:16
기사원문
이준우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부, 지난해 말부터 전세사기 ‘악성 임대인’ 명단 공개

서울에 있는 한 빌라 단지 모습./연합뉴스

정부의 ‘악성 임대인’ 명단에 오른 126명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떼어먹은 전세보증금이 평균 18억95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지난해 12월 27일부터 상습적으로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은 임대인의 이름과 나이, 주소, 임차보증금 반환 채무액, 채무 불이행 기간 등을 ‘안심전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악성 임대인’의 기준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대신 돌려주고 청구한 구상 채무가 최근 3년간 2건 이상이고, 액수가 2억원 이상인 사람이다. 또 전세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해 임대사업자 등록이 말소된 지 6개월 이상이 지났음에도 1억원 이상의 미반환 전세금이 남아있는 임대인도 명단에 포함된다. 명단을 공개하기 시작한 지 6개월 정도 지난 현재 총 126명의 신상이 올라왔다.

명단에 오른 126명의 평균 연령은 49세로 연령대별로는 50대가 33명(26%)으로 가장 많았고, 30대(30명), 60대(28명), 40대(19명), 20대(6명) 순이었다. 젊은 층인 20~30대(36명) 비율이 28.6%에 달한다. 돌려주지 않은 보증금 규모가 가장 큰 악성 임대인은 강원도 원주시에 거주하는 손모(32)씨로 임차보증금 반환채무액이 707억원에 달했다. 인천 부평구 십정동에 살고 있는 정모(68) 씨도 보증금 약 110억원을 돌려주지 않았다. 최연소 악성 임대인은 경기 안산에 사는 이모(26)씨였다. 약 4억8000만원을 세입자에게 돌려주지 않았다. 악성 임대인의 거주지는 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었다. 경기도가 47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35명, 인천 18명 순이었다.

정부가 공개하고 있는 악성 임대인 규모는 전세사기 사건의 규모를 고려했을때 실제보다 굉장히 적은 편이다. 악성 임대인 명단 공개의 근거가 되는 개정 주택도시기금법이 지난해 9월 29일 시행됐기 때문에, 이날 이후 발생한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들만 명단 공개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법 시행 이전에 전세금을 떼어먹은 임대인까지 소급 적용해 명단을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자 프로필

TALK

유익하고 소중한 제보를 기다려요!

제보
구독자 0
응원수 0

조선일보 산업부 이준우 기자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