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韓美 훈련 등 잇따라 차질
北 도발 대비 태세 우려 현실화
“수장 서둘러 임명 조직 추슬러야”
‘12·3 비상계엄 사태’ 직격탄을 맞은 군의 대북 대비태세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국방부 장관과 육군참모총장, 특수전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등 군 주요 수뇌부가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되는 비상 상황에서 군사훈련도 계엄 여파로 잇따라 연기되거나 취소됐다.
대북 군사대비태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계엄 사태로 인한 훈련 공백이 국가 안보에 미칠 영향을 면밀하게 살피고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해병대가 지난 6월 26일 인천 옹진군 연평도의 한 포 사격훈련장에서 스파이크 미사일 발사 훈련을 하고 있다. 해병대는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이 전면 중단된 이후 처음으로 연평도와 백령도에서 포사격 훈련을 재개했다고 이날 밝혔다. 뉴시스 |
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됐던 특전사 예하 707 특임단은 4일 전술훈련평가와 중부해경특공대와의 합동훈련, 폭발물 처리 훈련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취소됐다. 제1공수여단 예하 부대가 지난 2∼5일 제주도훈련장에서 진행하기로 했던 한·미 연합 동참훈련도 계엄 사태 직후인 4일에 취소됐다. 제3공수여단 소속 부대도 지난 2∼13일 한·미 연합 동참훈련을 하기로 했으나 4일 취소됐다. 제7·11공수여단 예하 부대가 실시하기로 했던 해상훈련·사격훈련 등도 취소되거나 기존 일정보다 늦어진 시점에 이뤄졌다.
|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 연합뉴스 |
안 의원은 “위헌·위법한 계엄으로 주요 군사훈련이 줄줄이 취소되는 사태가 벌어졌다”며 “특히 한·미 연합훈련과 특전사, 수방사, 전방부대의 훈련 취소는 한·미동맹과 국가 안보를 심각하게 저해한 사례”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