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인류를 지배종으로 만든 것은 ‘문화’

입력
기사원문
김상운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호모 사피엔스/조지프 헨릭 지음·주명진 등 옮김/616쪽·4만2000원·21세기북스
문화 학습의 세례를 받기 전인 어린이들과, 인간과 진화론적으로 친연성이 높은 침팬지 및 오랑우탄의 지적 능력을 서로 비교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실제 어린이 105명과 침팬지 106마리, 오랑우탄 32마리를 대상으로 실시한 독일 진화인류학연구소 실험 결과는 다소 의외다. 실험에서 인간은 공간 지각이나 수량 파악, 인과관계 이해력 등에서 유인원들에게 열세를 보였다. 인간이 유인원들을 압도한 분야는 오직 ‘사회적 학습’ 영역뿐이었다.

사회적 학습의 다른 이름은 오랜 세월에 걸쳐 사람들 사이에서 전승되는 ‘문화’다. 미국 하버드대 인간진화생물학과 교수인 저자는 인간이 다른 종들을 꺾고 최상위 포식자가 된 것을 단순히 유전자 중심의 진화론으로만 설명할 순 없다고 말한다. 독일 진화인류학연구소의 실험이 시사하듯 사회적 학습을 거치기 전 ‘정글북’ 상태의 인간은 매우 나약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생물학적 진화 외에 인간의 문화적 진화가 생존의 원동력이 됐다고 주장한다. 문화와 유전의 공진화(共進化) 덕분에 인간이 지구의 지배종으로 등극할 수 있었다는 것. 흥미로운 것은 문화적 진화가 인간의 뇌와 호르몬 반응, 면역체계 발달 등 신체 발달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예컨대 사회적 학습을 극대화하기 위해 유아기를 줄이고 대신 아동기를 늘리는 방식으로 몸의 성장을 늦췄다는 것. “타인에게 배운 것들이 우리의 마음과 몸을 유전적으로 모양 지었다”는 것이 저자의 결론이다.

기자 프로필

문화재와 학술 분야를 취재하고 있습니다. 단행본 ‘국보를 캐는 사람들’(글항아리)을 냈고, 고고학 유튜브 채널 ‘발굴왕’을 제작했습니다. 동아시아 역사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