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계, 최저임금 9860원 동결 제시…노동계 "1만2600원으로 올려야"(상보)

입력
수정2024.07.09. 오후 5:00
기사원문
서대웅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위 제9차 전원회의
노사, 최초제시안 발표
[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경영계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와 동일한 시간당 9860원으로 제시한 반면, 노동계는 1만2600원으로 27.8% 인상안을 요구했다.

9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9차 전원회의에서 사용자위원 운영위원인 류기정 경총 전무(왼쪽)와 근로자위원 운영위원인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9차 전원회의에서 경영계는 내년도 최저임금 요구안으로 올해와 같은 시간당 9860원을 제시했다. 월급(하루 8시간씩 주 5일 근무 기준)으로 환산하면 206만740원이다.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는 “최저임금의 적정 상한은 중위임금의 60%지만 우리는 중위임금의 65.8% 넘어섰고 주요 7개(G7) 국가 평균보다도 월등히 높다”고 말했다.

반면 노동계는 임금 불평등 해소, 노동자 실질임금 감소 등을 이유로 올해보다 27.8% 오른 1만2600원(월급 263만3400원)으로 요구했다. 근로자위원인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은 “올해 최저임금위가 제공한 심의 자료만 보더라도 비혼 단신 노동자의 생계비는 월 245만원이 넘게 필요하다”며 “현재 최저임금은 이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며, 소득분배지표는 또다시 악화돼 불평등과 양극화가 매우 우려되는 시점”이라고 했다.

최저임금위는 노사가 요구한 최초제시안 간격을 좁히는 작업에 들어간다. 그러나 이 간격이 상당한 만큼 논의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노사가 여러 차례 수정안을 내놓고 추가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문제는 심의 기간이 촉박하다는 점이다. 근래 들어 가장 늦게 결정해 비난을 산 지난해에도 노사는 6월27일 최초제시안을 내놓았고 7월19일까지 9차례 회의를 열어 협상을 벌였다.

최저임금위가 공식적으로 잡아 놓은 회의는 오는 11일 10차 전원회의가 마지막이다. 다만 11일 밤까지 결정짓지 못하면 12일에 바로 회의를 열 가능성이 있다. 다음주까지 회의가 이어질 수도 있다. 최저임금법에 따라 정부는 내년도 최저임금을 다음달 5일 고시해야 하는데, 이 일정을 고려하면 늦어도 다음주까지 액수를 결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지난해와 비교하면 노사가 머리를 맞대는 시간은 절대적으로 적다.

이 때문에 내년도 최저임금 역시 노사공 위원들의 표결로 결정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노사가 합의점을 찾으면 그대로 정해지지만 최저임금을 표결이 아닌 합의로 결정한 것은 2008년(2009년도 최저임금 심의)이 마지막이다.

최대 관심사는 최저임금이 1만원을 돌파할지 여부다. 올해보다 140원(약 1.4%)만 올라도 최저임금은 1만원에 이르게 된다. 1988년 최저임금 제도 시행 이후 역대 최저 인상률은 2021년도 최저임금(8720원)을 결정할 때 기록한 1.5%(130원)다. 이보다 높은 인상률만 기록해도 1만원을 넘지만 소상공인 업계를 중심으로 경영계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반면 노동계는 1만원 수준으로는 하락한 실질임금을 보전하기도 어렵다는 입장이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