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전공의 8000명 모집해야 하는데…복귀 기미 없어 정부 고심↑

입력
기사원문
이태형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수련병원 110개 병원서 전공의 7648명 사직 처리
하반기 7707명 모집 계획…정부, 수련·입영 특례 제안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 전공의 입장 고수에 복귀 미지수
의정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18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이태형·김용재 기자]전공의들을 사직 처리한 수련병원들이 8000명에 가까운 전공의를 하반기에 뽑아야 하지만, 미복귀 전공의들이 돌아올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정부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정부는 전공의에 대한 수련 특례와 입영 연기까지 제안했지만 전공의들은 의대 정원 증원의 백지화를 요구하는 등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차질이 불가파해 보인다.

19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전공의를 채용한 151개 병원 중 110개 병원이 사직처리 결과를 취합한 결과 올해 3월 기준 전공의 1만4531명의 56.5%인 7648명이 사직(임용포기 포함)했다.

사직 처리에 따라 이들 수련병원은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인턴 2557명, 레지던트 5150명 등 7707명의 모집 인원을 신청했다. 모집인원에는 전공의 이탈 사태와 관계 없이 발생한 결원도 반영됐다.

정부는 하반기 모집에 지원함으로써 병원으로 돌아올 전공의들에게는 전문의 자격 취득이 늦어지지 않도록 수련 특례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군 복무 의무가 있는 남성 전공의는 국방부, 병무청과 협의해 군 입영을 연기할 수 있게 하는 특례를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하반기 모집에 응하지 않는 전공의들은 군 의무사관 후보생으로서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로 복무해야 하기 때문에 향후 의사로서 직업 활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또 하반기 모집에서 전공의들의 복귀를 유도하기 위해 지역 이동 제한도 풀기로 했다. 지방 수련병원 소속 전공의가 하반기 모집에서 서울의 ‘빅5’ 병원 등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이동할 길이 열려 지방 전공의들로서는 더 나은 수련 환경을 갖춘 병원을 찾아갈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복귀 유인이 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시각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방에서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옮기려는 전공의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전공의들이 실제 하반기 모집에 얼마나 응할지는 미지수다. 의사 사회 특유의 폐쇄적인 문화 때문에 다수가 관둔 상황에서 복귀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의대 교수 단체인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총회를 열고 “전공의 일괄 사직 처리에 따른 결원을 하반기 모집으로 갈라치기 하려는 정부의 꼼수는 지역·필수의료 몰락이라는 최악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게다가 온라인상에선 복귀 전공의 명단이 공개되는 등 ‘낙인찍기’ 행위도 이어지고 있다. 개인 사정상 복귀해야 하더라도 실제 돌아가는 데는 큰 용기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7월에 개설된 것으로 알려진 ‘감사한 의사-의대생 선생님 감사합니다’라는 이름의 텔레그램 채팅방에는 ‘감사한 의사’, ‘감사한 전임의’ 등이라는 이름으로 소속 병원과 이름 등이 올라와 있다. 사실상 블랙리스트를 작성해 조리돌림 하는 용도다. 개인적 사정으로 병원에 돌아갔다는 이유만으로 소속 학교와 학년, 실명이 공개된 이들은 수십명에 이르고, 해당 내용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은 수천명에 달한 것으로 전해진다.

전공의들 사이의 높은 결집력도 변수로 꼽힌다. 전공의들은 지방병원에서 사직했더라도 ‘빅5’ 병원으로 돌아갈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전했다.

충남지역병원에서 일했던 한 전공의는 “정부의 생각대로 지방에서 빅5로 돌아가는 이들도 있을 순 있다”라며 “그런데 ‘굳이 돌아갈 이유가 없다’라는게 주변의 반응”이라고 설명했다.

레지던트로 수련하다 사직서를 낸 한 빅5 병원 출신 전공의는 “복귀하지 않으면 군대를 가라고 협박하는 정부를 보면서 헛웃음이 났다”라며 “정부가 모든 정책을 철회하지 않는 이상 우린 돌아갈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