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카오〈네이버·카카오〉’ 개미 열에 아홉 ‘피눈물’

입력
기사원문
신동윤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3년간 카카오 거래 95% 손실
네이버 투자 90.21%는 물려
3개월 시총감소액 1·2위 ‘불명예’
주요 서비스경쟁 심화·AI도 부진


국내 양대 플랫폼사 ‘네카오(네이버 카카오)’에 최근 3년간 투자했던 개미(소액 개인 투자자) 10명 중 9명 이상이 소위 ‘물린’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명이 넘는 소액주주 수를 기록하며 한때 삼성전자의 뒤를 잇는 차세대 ‘국민주’로 떠올랐던 두 종목의 주가가 급락세를 거듭하면서다. 특히, 최근 3개월 간 코스피 상장 종목 가운데선 시가총액 감소 규모 1·2위의 ‘불명예’를 카카오와 네이버가 나란히 뒤집어 쓰기도 했다.

▶최근 3개월 시총 감소액 1·2위는 카카오·네이버=10일 헤럴드경제는 대신증권 홈트레이딩시스템(HTS) 사이보스5를 활용해 최근 3년간(2021년 7월 9일~2024년 7월 9일) 네이버, 카카오에 대한 매물대를 20개 구간으로 나눠 분석했다.

카카오가 기록한 전날 종가 4만2450원은 20개 매물대 가운데 가장 낮은 ‘3만7600~4만3820원’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매물대에서 거래를 한 4.61%를 제외한 95.39%의 매물은 상위 19개 매물대에서 거래됐단 의미다. 최근 3년간 카카오 주식을 거래한 투자자 100명 중 95명 이상이 손실 구간에 놓여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네이버의 경우에도 전날 종가 17만700원은 최하 매물대인 ‘15만8500~17만3275원’에 포함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매물대의 9.79%를 제외한 90.21%의 매물은 더 높은 19개 매물대에서 거래됐다. 카카오보단 좀 더 상황이 낫지만, 여전히 10명 중 9명 이상의 투자자들은 물린 것을 의미한다.

최근 3년간 네이버, 카카오의 주가는 각각 58.92%, 73.55% 하락했다. 각각 ‘반토막’, ‘4분의 1 토막’에 해당한다.

금융결제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카카오와 네이버의 소액주주 규모는 각각 약 179만명, 105만명에 이른다. 지난해 1분기 말과 비교했을 때 네이버의 소액주주 수는 거의 변동이 없었지만, 카카오의 경우 24만명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서도 네이버, 카카오 주가가 반등할 기미가 없다는 점은 개미들에겐 더 실망스런 지점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4월 9일~7월 9일) 코스피 상장주 836개 종목 중 시총 감소폭이 가장 컸던 종목은 -3조1017억원을 기록한 카카오다. 시총 감소액 2위는 같은 기간 2조9721억원이 증발한 네이버의 몫이었다.

▶‘현재’와 ‘미래’ 모두 흔들리는 네카오=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가 도무지 힘을 쓰지 못하는 이유는 ‘현재’와 ‘미래’가 모두 흔들리고 있는 탓이다.

올해 2분기 실적 시즌을 앞두고 네이버와 카카오는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 증권가에선 우세하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국내 증권사들의 네이버, 카카오 예상 영업이익은 각각 4339억원, 14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42%, 23.52%씩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지난 5월에 비해 증권가의 2분기 예상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네이버 2.95%(4471억→4339억원), 카카오 5.78%(1488억→1402억원)씩 하향 조정됐다.

네이버는 검색과 쇼핑 서비스에서 경쟁 심화에 직면했다. 웹사이트 분석 업체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네이버 웹 검색 점유율은 올 1월 61.9%에서 7월 57.8%로 하락했다. 네이버 쇼핑 거래액마저도 지난해 1분기 거래액이 12조2000억원(전 분기 대비 -2000억원)으로 분기 기준 처음 감소세를 나타냈다.

카카오도 어려움은 마찬가지다.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데이터에 따르면 카카오톡은 월간 활성 이용자(MAU)에서 작년 12월 유튜브에 1위를 내준 후 올해 내내 2위에 머물러 있다.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미래 성장 동력에서 예상보다 성과가 미진한 점도 주가 반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단 평가다. 네이버의 경우 자체 AI ‘하이퍼클로바X’를 검색 기능에 도입했지만 돌파구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카카오톡에 AI를 접목하겠다던 카카오의 AI 신사업은 작년부터 ‘예고’에만 그친 상황이다.

이 밖에도 양사 임원들의 자사주 줄매각,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의 SM엔터테인먼트 시세 조종 의혹 관련 검찰 소환 등의 소식은 투자자들에겐 악재다. 신동윤 기자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