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만큼 오른다"… 집값 전망, 2년8개월 만에 최고 [집값 상승 기대심리 커졌다]

입력
수정2024.07.24. 오후 7:14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DSR 연기·주담대 금리↓
수도권 중심 아파트값 상승세 영향
기대인플레, 2년4개월 만에 2%대
소비심리 낙관… 금리인하 기대 커
1년 뒤 주택 가격이 오를 것으로 내다본 소비자가 크게 늘어나며 2021년 수준의 부동산 상승 기대감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시행이 연기되고,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내리며 주택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에 불이 붙은 결과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하락하면서 1년 뒤 물가전망은 2년4개월 만에 2%대로 떨어졌다.

■"집값 더 오른대" 기대감 최고조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7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115로 전월 대비 7p 상승했다. 지난 2021년 11월(116) 이후 2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 지수는 1년 후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본 응답자가 하락을 예상하는 응답자보다 많을 경우 100을 웃돈다.

이는 대출규제 확대 연기와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 수도권 중심 아파트 가격 상승세 등으로 주택 가격 상승 분위기가 형성된 결과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 연기와 주담대 금리 하락 등으로 주택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며 "다만 지역별로 차이가 있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도 여전히 있기 때문에 주택가격전망CSI 상승 흐름이 계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전망을 뜻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 대비 0.1%p 하락한 2.9%로 집계되며 지난 2022년 3월(2.9%)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응답 분포를 보면 앞으로 1년간 물가가 2~3%라고 예상한 비중(28.1%)이 가장 높았고 3~4%(21.2%), 1~2%(14.7%), 4~5%(10.8%)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1년간 물가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으로는 공공요금(54.3%)이 가장 높았다. 이어 농축수산물(49.9%), 석유류제품(35.0%) 순이었다. 전월과 비교하면 석유류제품(11.4%p), 공공요금(1.3%p)의 응답 비중이 증가한 반면 농축수산물(-7.9%p) 비중은 감소했다.

황 팀장은 "농산물·가공식품 등 체감물가와 전체적인 CPI가 내려가면서 장기적으로 물가상승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층이 많아지면서 기대인플레이션이 오랜만에 2%대로 내려앉았다"며 "다만 7월부터 지역난방비가 오르고 8월부터는 가스요금이 상승하며 장마 등 기상여건 악화로 농산물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 여전히 변수는 남아있다"고 말했다.

■"현재 경기 2021년 말 이후 최고"

7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3.6으로 전월보다 2.7p 상승했다. CCSI는 소비자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심리지표다. 15개 CSI 가운데 6개 주요 지수를 이용해 산출하며 100보다 크면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지난 5월에 98.4를 기록하며 5개월 만에 비관적으로 돌아선 CCSI는 이달까지 2개월 연속 100을 상회했다.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표는 이달 모두 상승했다. 우선 현재생활형편(91), 생활형편전망(95), 가계수입전망(100)이 모두 1p 상승했다. 소비지출전망은 2p 상승한 111을, 향후경기전망은 4p 오른 84를 기록했다. 현재경기판단은 6p 상승한 77로 집계돼 지난 2021년 12월(79)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리인하 기대감은 커졌다. 7월 금리수준전망CSI는 95로 지난달과 비교해 3p 하락했다. 금리수준전망CSI는 6개월 내 금리를 전망하는 지표로, 100을 하회하면 금리가 인하하리란 전망이 더 많다는 뜻이다. 황 팀장은 "미국 CPI 예상치 하회, 고용지표 둔화에 따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시장금리 인하 등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