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사 없거나 식단표 없는 곳도
소방공무원의 한 끼 급식단가가 3000원 초반대에 불과한 곳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체계적으로 식단을 관리할 영양사가 없거나 심지어 ‘식단표’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소방서도 많았다. 지역별 지원도 제각각이어서 소방공무원들에 대한 부실급식 우려 지적도 나온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구 A소방서의 경우 한 끼 단가가 3112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의 B소방서는 3852원, 전북 C소방서는 3920원에 머물렀다.
이는 통상 4000원대인 편의점 도시락에도 미치지 못하는 가격이고, 서울시 공립고등학교 무상급식 단가(5398원)나 서울시 결식우려아동 급식단가(9500원)와 비교해도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급식단가는 소방서별로 최대 두 배 이상 차이가 났다. 이번 조사에서 급식단가가 가장 높은 곳은 인천 D소방서(6887원)였다.
이처럼 급식단가가 지역별로 천차만별인 이유는 시·도별로 소방공무원 급식예산 지원 근거가 제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소방공무원 급식 경비는 공무원 정액급식비(14만원)에 시·도별로 지원하는 부식비와 영양사·조리사 인건비로 구성된다. 조례를 근거로 소방공무원의 급식 지원을 하고 있는 곳은 전국 18개 시·도 가운데 절반도 안 되는 8곳(부산·경기·경북·전북·전남·충북·충남·울산)에 불과하다.
더욱이 공무원 정액급식비가 일반 행정공무원의 경우 한 달 20식(하루 두 끼)을 기준으로 하는 반면 현업 공무원(3교대 근무자)의 경우 한 달 30식(하루 세 끼)을 기준으로 하다 보니 한 끼 단가가 크게 떨어진다. 내근직을 제외한 대부분의 소방관은 현업 공무원으로 분류된다.
영양사가 아예 배치되지 않은 곳도 있었다. 전남 지역 소방서에는 영양사가 ‘0명’이었고, 전북·경북·제주 지역의 소방서에는 영양사가 1명에 불과했다.
한 의원은 “소방관의 한 끼 식사는 ‘국민을 구하는 힘’일 수 있다”며 “전수조사 및 조례 제정을 통해 급식체계 일원화 추진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