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기 승인…2026년 착공, 2030년 가동

목표보다 3개월 앞당겨 지정

26년 말 착공, 30년 첫 가동

LH-삼성전자, 실시협약 체결

내년부터 보상 절차 본격 돌입

박상우 국토장관 "시간이 보조금"

김용관(앞줄 왼쪽부터 시계 반대방향으로) 삼성전자 DS 경영전략담당과 이한준 LH 사장, 고영인 경기도경제부지사,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26일 경기도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LH-삼성전자 실시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토교통부김용관(앞줄 왼쪽부터 시계 반대방향으로) 삼성전자 DS 경영전략담당과 이한준 LH 사장, 고영인 경기도경제부지사,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26일 경기도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LH-삼성전자 실시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토교통부




정부가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산업단지인 경기도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속도를 낸다. 글로벌 반도체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투자를 미룰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은 계획 승인을 조기에 완료하고 오는 2026년 말 착공해 2030년 가동을 목표로 한다.



국토교통부는 26일 경기도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간담회를 열고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의 산업단지계획 승인이 완료됨에 따라 국가산단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기도와 용인특례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삼성전자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은 728만㎡ 부지에 시스템반도체 중심의 팹(Fab) 6기와 3기의 발전소를 건설하는 짓는 대형 국가 전략사업이다. 이 곳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소재·부품·장비 협력기업 60여 곳이 입주할 계획이다. 오는 2052년 전체 단지 준공까지 이뤄질 총 민간투자 규모는 360조 원으로 160만 명의 고용과 400조 원의 생산 유발 등 부가가치 창출이 예상된다.



정부는 범부처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통상 4년 이상 소요되는 산단 지정기간을 1년 9개월로 획기적으로 줄인 데 이어 내년 3월을 목표로 했던 산업단지계획 승인도 이달로 3개월 단축했다. 승인 일정이 단축되면서 2026년 12월께 부지를 착공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계획대로 2026년 말께 착공하면 후보지 발표부터 착공까지 기간이 3년 6개월로, 평균(7년)보다 절반 단축되는 셈이다.

관련기사



사업시행자인 LH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보상에 착수한다. 보상 대상은 542가구, 50여 개 기업이다. 이를 위해 이날 삼성전자와 토지 매매계약 구체화 등에 관한 실시협약을 맺었다. LH는 원주민과 이주기업을 위해 산단 인근에 270가구 규모(37만㎡)의 이주자 택지와 50만㎡ 규모의 이주기업 전용 산단을 조성할 예정이다.

보상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LH 발주사업에 대해 주민단체 사업위탁을 활성화 하고, 원주민이 원할 시 산단 내 근린생활시설용지 등을 우선 공급받을 수 있는 대토보상을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용인 반도체 산단 배후주거지인 이동공공주택지구에는 총 1만 6000가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다음 달 지구지정을 마치고 오는 2027년 착공해 팹 1호기가 가동되는 2030년 첫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교통 기간망 등 인프라도 확충한다. 산단을 관통하는 국도 45호선 이설·확장사업을 적기에 완료하고, 산단 중심으로 격자형 고속도로망을 구축한다. 주민들의 출퇴근 편의를 위해 경강선 등 연계 철도망 구축(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도 추진할 계획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시간이 보조금’이라는 인식 하에 행정절차를 대폭 축소해 국가산단 지정을 완료했다”며 “용인 국가산단 조성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지원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사업 이해 관계자들은 정부에 추가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보상 속도를 높이기 위해 원주민들에 대한 부동산 양도세 감면과 이주 기업들의 법인세 감면 등을 적극 검토해달라”고 강조했다. 김용관 삼성전자 DS 경영전략담당 사장은 “산단 조성 완료 후 주변 교통 문제가 큰 이슈가 될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지방도 확장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미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