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연초부터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인상하면서 지난 2008년 말 이후 1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상승은 발 빠르게 반영하면서도 금융위기 이후 높게 책정해온 가산금리는 내리지 않아 가계의 이자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이번주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지난주보다 0.01%포인트 인상한 연 4.82~6.12%로 적용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저금리 기준으로 2008년 12월22일 이후 최고치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이번주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각각 연 4.86~6.06%, 5.46~6.48%로 지난주보다 0.07%포인트 올렸다.
은행들이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한동안 잠잠했던 CD 금리가 다시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말부터 약 두 달간 연 2.79%선에서 유지됐던 CD 금리는 지난해 말 하나은행 고금리 CD 발행의 여파로 연 2.86%까지 올라섰다.
은행들은 금융위기 이후 CD 금리가 하락하자 가산금리를 인상해 주택담보대출에서 높은 수익을 올려왔다. 하지만 최근 CD 금리가 오르고 있는데도 기업은행을 제외하고는 가산금리 인하계획을 밝힌 곳이 없는 실정이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가계부채 700조원 가운데 70%가 주택담보대출인 점을 감안하면 금리가 평균 0.1%포인트만 올라도 4,900억원의 추가 이자부담이 생긴다”며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서민가계의 ‘이자 폭탄’ 우려가 현실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변동금리형 대출금리가 계속 상승하면서 고정금리를 웃도는 기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고정형은 시중금리 변동에도 장기간 같은 금리를 적용하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변동형보다 1%포인트 정도 높은 것이 관행이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으로 신용등급 6등급인 고객이 10년 만기 대출을 받을 때 적용되는 금리는 6개 은행 평균으로 연 5.92%였다. 이는 고정형 대출인 주택금융공사의 ‘e-모기지론’보다 0.02%포인트 높다. 전문가들은 신규 대출자라면 고정형을 받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