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4월 28일] '로컬푸드' 향토음식 상품화를

이창근(농협구미교육원 교수)

수입농산물이 넘쳐나면서 먹거리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소비자는 보다 더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농산물을 구입하고 농민들에게는 유통단계를 축소해 농가경제에 보탬이 되는 방법이 없을까. 그 대안 중 하나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농업정책으로 제시했던 ‘로컬푸드(Local Food) 운동’이다. ‘우리 지역에서 생산한 우리 농산물을 우리가 소비하자’는 로컬푸드 운동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미국에서 100마일 거리 이내에서 생산된 것만 사용한다는 ‘100마일 다이어트’ 운동,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운동, 영국 런던의 로컬푸드 운동이 그러하다. 지산지소운동으로 유명한 후쿠오카현의 홍보자료는 로컬푸드 운동의 이점에 대해 ‘신선한 계절의 미각을 맛볼 수 있고 생산자의 얼굴을 알 수 있어 안심할 수 있다. 또한 지역 기반의 농업을 지킬 수 있으며 수송거리가 짧아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 환경에 이롭다’고 소개하고 있다. 로컬푸드 운동은 이처럼 소비자와 농민의 상생운동이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운동이다.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향토음식을 적극적으로 발굴ㆍ홍보하고 있다. 전남 목포시의 ‘향토음식 명인ㆍ명가’ 지정, 경북 경주시의 신라 역사문화음식 개발, 문경시의 문경산채비빔밥 개발ㆍ보급사업 등이 그 예다. 문경산채비빔밥처럼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향토음식을 개발ㆍ보급하면 소비자에게는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농민에게는 안정적인 농산물 판로를 확보해주며 음식점에는 안정적인 매출을 올려주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명박 정부는 ‘한식의 세계화’를 대표적인 식품산업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각 시ㆍ군들도 향토음식을 발굴ㆍ홍보하고 더 나아가 로컬푸드 운동과 연계해 상품화ㆍ산업화하는 전략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향토음식 개발ㆍ보급사업과 로컬푸드 운동이 맞물려 돌아가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각 지역의 다양한 농산물과 지방만의 독특한 향토 음식문화자원이 충분하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ㆍ참여가 동반된다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한국의 새로운 상품이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