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 첫 출근길인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사진=뉴스1
한국 여성의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 등 고용 지표가 지난 20년 동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하위권에 머물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OECD 38개 국가의 여성(15~64세)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한국 여성들의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은 각각 61.4%, 63.1%로 OECD 하위권(38개국 중 각각 31위)인 것으로 집계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 20년간 OECD 순위를 살펴보면 한국의 여성 고용률은 2003년(51.2%) 27위에서 2023년(61.4%) 31위로 4계단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한국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2003년(53.0%) 32위에서 2023년(63.1%) 31위로 1계단 올랐다. 하지만 여전히 OECD 하위권이며 20년간 31~35위 권에 머물렀다.

한국에서 어린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경제 규모와 인구가 비슷한 주요 선진국보다 더 낮았다. 2021년 기준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 고용률은 한국이 56.2%로 30-50 클럽 7개국 중 최하위였다. 이는 30-50 클럽 평균인 68.2% 대비 12%포인트 낮다. 30-50 클럽은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000만명 이상의 국가를 말한다.

한경협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육아·가사 부담을 꼽았다. 한경협은 여성고용률이 70%를 넘는 독일, 일본, 영국 3개국과 한국 간 고용환경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유연한 근로환경 조성, 가족돌봄 지원 등 2가지 측면에서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근로시간 제한을 주 단위로 규율하고 1주 연장근로를 최대 12시간으로 제한하지만 3개국은 월 단위 이상으로 근로시간을 탄력 운영한다.

한경협은 가족돌봄 부담은 주로 여성에게 집중되기 때문에 보육시설 및 서비스 확충, 돌봄비용 지원 확대 등 가족돌봄 부담 경감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근로시간 유연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근로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