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보이기
공자(孔子, 기원전 552년 - 기원전 479년)는 유가와 법가의 시조(始祖)로 떠받들어지는 중국의 사상가이다.
출처 있음
[편집]-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탓하라.
- 교묘하게 꾸민 말과 보기 좋게 꾸민 얼굴빛에는 어진 마음이 드물다.
- 나는 매일 나 자신을 세번씩 반성한다. 남을 위해서 일을 하는데 정성을 다하였든가? 벗들과 함께 서로 사귀는데 신의를 다하였든가? 전수 받은 가르침을 반복하여 익혔는가?
- 나보다 못한 사람과 벗하지 말며, 잘못을 깨달았을 때에는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 말을 교묘하게 하고 몸을 꾸미는 사람 중에 어진 자가 드물다.
- 아직 삶도 모르는데 하물며 죽음을 알 수 있을 것인가?
-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 15세에 배움에 뜻을 두고, 30세에 스스로의 힘으로 생활하고, 40세에 현혹되지 아니하고, 50세에 하늘이 내게 무엇을 가르치는가를 알며, 60세에 올바른 이야기를 들을 줄 알고, 70세에는 사물의 옮고 그름을 정확히 판단할 줄 알게 됨으로써, 자기 판단에 따라 행동하면 잘못된 점이 없을 것이다.
- 소식(素食)을 먹고 물 마시며 팔을 베고 누웠어도 즐거움이 또한 그 속에 있다. 불의로써 부하고 또한 귀함은 내게는 뜬구름과도 같다.
- 세 사람이 같이 있을 때, 그중 두 사람은 나의 스승으로 삼을 수 있다. 한 사람이 좋은 말과 행동을 하였다면 그것을 배울 것이고, 다른 한 사람이 말과 행동이 옳지 못하다면 나는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거울로 삼을 것이다.
- 하루 세 번 자기를 돌아보아라.
- 무례한 사람의 행위는 내 행실을 바로잡게 해주는 스승이다.
- 여자와 소인은 다루기 힘들다. 가까이하면 불손해지고 멀리하면 원한을 품는다.
- 널리 배워서 뜻을 도탑게 하며, 간절하게 묻되 가까운 것부터 잘 생각하면 인이 그 속에 있다.
-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정사를 논하지 말아라.
- 법령으로써 인도하고, 형벌로써 다스린다면, 백성은 법망을 뚫고 형벌을 피함을 수치로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덕으로써 인도하고 예로써 다스린다면 백성은 수치를 알아 바른 길로 나아갈 것이다.
- 지금의 효행(孝行)은 단지 부모를 먹여 살리면 되는 것으로 안다. 개나 말 같은 짐승도 먹여 살리는 일은 능히 한다. 공경하는 마음이 따르지 않으면 짐승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 널리 배우고 그 배운 것을 예의로써 아물려야 한다.
- 아버지가 아버지답고, 자식이 자식답고, 형이 형답고, 남편이 남편답고, 아내가 아내답다. 그럼으로써 집안이 편안하다.
- 군자는 이를 자신에게서 구하고 소인은 이를 남에게서 구한다.
- 중국어: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기타
[편집]- 일생의 계획은 근면에 있다.
- 남의 충고는 달갑게 받아들여라. 그러나 윗사람이나 친구간에 너무 자주 충고나 간언을 해서는 안된다.
- 군자는 말을 잘하는 사람의 말에만 귀기울이지 않으며, 말이 서툰 사람의 말도 귀담아듣는다.
- 사람은 현명할수록 멍한 데가 있다.
- 자기 자신에 대해서 전력을 다하고 충실하라. 자기를 내버려 두고 남의 일에 정신이 팔려 있는 사람은 자기의 갈 길을 잃어버린 사람이다.
- 한 가지 새로 배운 것을 행동으로 나타내고, 혹은 실지로 이용할 적에 그것은 얼마나 즐거운 일인가!
- 덕의 정수도 중용에 있다.
- 어느 날 무슨 문제를 안고 온종일 생각해 보았으나 별로 깨닫는 바가 없었다. 결국 생각과 반성만으로는 위태로우며, 배우는 것이 제일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잘난 사람의 행실을 보고는 그 잘난 것을 배우게 되고, 용렬한 사람의 행실을 보고는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생각하니 역시 배우게 된다.
- 예의의 실천은 자기를 낮추는 것이다.
- 사람은 그 마음이 성실하다는 것이 큰 힘이다. 백 가지 말과 행동이 오직 성실하다는 한 가닥에 매여 있다.
- 남을 욕하는 말을 입밖에 내지 않으면, 하찮은 소리를 들어도 귀에 담지 않는다. 그리고 군자는 자기가 한 말을 실천 못한 것을 늘 부끄러워해야 한다.
-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만 못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만 못하다.
- 친구간에는 격려를 해주고, 동기간에는 부드럽게 즐기라.
- 군자는 남과 다투지 않는다.
- 효행은 백행의 근본이다.
- 부모의 나이는 알아야만 한다. 하나는 앎으로써 기뻐하기 위함이요, 또 하나는 즉 두려워하기 위함이다.
- 부모를 섬김에 있어서 간할 일이 있으면 부드러운 말로써 간하 되 자기 뜻이 용납되지 않으면 그래도 역시 부모를 공경하여 그 뜻을 어기지 않고 부모를 위해 고생함을 원망하지 않는다.
- 불의함으로써 얻는 부귀는 내게 있어서는 뜬구름과 같다.
- 명을 알지 못한다면 이는 군자가 되지 못한다.
- 나는 날 때부터 이(理)를 아는 자 아니요 옛길을 따르고 노력함으로써 이를 얻은 자니라.
- 분노를 옮기지 않으며, 과실을 되풀이하지 않는다.
-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사랑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즐긴다.
- 성사는 논하지 않으며, 이미 지난 일은 나무라지 않는다.
- 덕이 높은 사람은 외롭지 않다. 반드시 그를 따르는 이웃이 있기 때문이다.
- 우리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지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옛사람의 행적을 찾아보고 열심히 배워 지혜를 얻게 된다.
- 군자는 말을 느리게 해도 행동은 기민해야 한다.
- 의를 보고도 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
- 과실을 범하고도 바로잡지 않음을 곧 과실이라 한다. 과실을 범하거든 바로잡음을 꺼려하지 말라.
- 군자는 세상을 떠난 후에 이름이 남지 않을 것을 근심한다.
- 물이 지나치게 맑으면 사는 고기가 없고, 사람이 지나치게 명석하면 따르는 벗이 없다.
- 믿음을 얻은 연후에 간(諫)하라. 믿음을 얻지 못하면 비방한다고 한다.
- 지각이 있는 자는 맑기가 물과 같으며, 어진 자는 그 마음의 푸르름이 산과 같으니, 지각이 있는 자는 사람을 움직이며, 어진 자는 항상 그 태도가 고요하다. 그러기에 지혜로운 자는 마음이 즐거우며 어진 자는 그 수명이 길다.
- 먹는 것, 입는 것이 부족하다고 부끄러워할 필요는 없다. 어떠한 희망을 갖고 있느냐가 문제이다.
- 때가 되지 않으면 먹지 않는다.
- 교언은 덕을 문란케 한다.
- 사람은 멀리서부터 조심하지 않으면 가까이 근심이 닥친다.
- 현(賢)을 보고는 이와 닮으려 하고 불현(不賢)을 보고는 스스로 각성한다.
- 이것을 아는 자는 이것을 좋아하는 자만 못하며, 이것을 좋아하는 자는 이것을 즐기는 자만 못하다.
- 말을 앞세우고 달콤하게 하는 사람은 덕을 어지럽히기 쉬운 사람이요, 얼굴에 지나친 애교와 너무 다정한 웃음을 띠는 사람은 믿음직한 사람이 못 된다.
- 대중의 소리를 막는 것은 강을 막는 것보다도 어렵다.
- 등에 무거운 짐을 지고 먼길을 가는 것이 인생이다.
- 일년의 계획은 봄에 있고 하루의 계획은 아침에 있다.
- 사람이 어질다는 것은 모든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음을 말한다.
-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것처럼 남을 존중하라.
- 짐승은 먹기 위해서 먹는다. 때문에, 짐승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 반대로, 사람은 무엇보다도 살기 위해서 먹는다. 때문에, 사람은 때가 되지 않으면 먹지 않는다.
- 사람이 성(誠)과 신(信)이 없으면, 말과 행동이 모두 허위에 흘러 도저히 사람의 값을 지니지 못할 것이다. 이것은 마차에 비하면 수레 바퀴의 굴대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 나는 나면서부터 이것을 아는 것이 아니라, 옛 것을 좋아하여 이것을 빠르게 구했을 따름이다
- 모욕은 잊어버리고, 친절은 결코 잊지 말아라.
- 군자는 의를 으뜸으로 삼으니, 군자는 용맹이 있으나 의가 없으면 혼란스러울 것이요, 소인은 용맹이 있으면서 의가 없으면 도적질을 할 것이요.
-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을 내려 보답하고, 악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화를 내려 보답한다.
- 나라에 도의가 서 있을 때는 당당히 말하고 당당히 행동하지만, 나라에 도의가 문란할 때는 당당히 행동하되 말은 조심해야 한다.
- 군자는 위로 통달하고, 소인은 아래로 통달한다.
- 자신에 대하여는 깊이 책망하고, 남에 대하여는 가볍게 책망하면 원망을 멀리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