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삼해탈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해탈문에서 넘어옴)

3해탈문(三解脫門, 산스크리트어: trīni vimoksa-mukhāni) 또는 3삼매문(三三昧門)은 3계고통의 원인이 되는 번뇌에서 해탈하여 열반하는 방편[門]인 공해탈문(空解脫門) · 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 · 무원해탈문(無願解脫門)의 3가지 선정을 말한다. (空: 空寂, 실체가 없음) · 무상(無相: 차별이 없음) · 무원(無願: 원함 즉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 없음)을 관조하는 3가지 선정해탈열반에 들어가는 문(門, 방법, 방편)이 되기 때문에 3해탈문이라고 이름한 것으로, 3해탈(三解脫) · 3탈문(三脫門) · 3문(三門) · 3공문(三空門) · 3공관문(三空觀門) 또는 3삼매(三三昧) 또는 3공(三空)이라고도 한다.[1][2][3][4][5]

공해탈문일체법하다는 것 즉 실체[自性]가 없다는 것을 관조하는 선정이고, 무상해탈문일체법에 차별[相]이 없다는 것을 관조하는 선정이고, 무원해탈문공용(功用, 願)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관조하는 선정무공용(無功用, 無願)을 성취하는 선정이다.[6][7][8][9][10]

공해탈문공삼매(空三昧) 또는 공삼마지(空三摩地)라고도 하며, 무상해탈문무상삼매(無相三昧) · 무상삼마지(無相三摩地) · 무상심삼매(無相心三昧) · 무상심삼마지(無相心三摩地) 또는 무상정(無相定)이라고도 하며, 무원해탈문무작해탈문(無作解脫門) · 무원삼매(無願三昧) · 무원삼마지(無願三摩地) 또는 무원심삼마지(無願心三摩地)라고도 한다.[11][12] 이 가운데 무상해탈문의 다른 말인 무상정(無相定, 산스크리트어: ānimitta[13])은 무상정(無想定, 산스크리트어: asaṃjñi-samāpatti[14])과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무상해탈문의 다른 말인 무상삼매(無相三昧, 산스크리트어: ānimitta-samādhi[15])는 힌두교무상삼매(無想三昧, 산스크리트어: nirvikalpa samādhi)와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화엄경》 계통의 대승불교 경전인 《보살영락본업경》에서 고타마 붓다는 모든 부처가 모두 6명염(六明焰) 즉 6종성(六種性)과 3삼매문(三三昧門) 즉 3해탈문(三解脫門)을 가르치는데, 자신도 다른 모든 부처와 동일하게 이것들을 가르친다고 말하고 있다.[16][17]

3해탈문과 3삼매

[편집]

삼매(三昧)는 삼마지 · (定) 또는 선정(禪定)이라고도 하는데, 무상정(無想定) · 4선(四禪) · 8정(八定)의 경우처럼 유루에 통한 선정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3삼매(三三昧)도 유루에 통한 3가지 삼매와 무루에 통한 3가지 삼매가 있는데, 3해탈문의 별칭으로서의 3삼매무루에 통한 3가지 삼매만을 말한다.[5] 즉, 열반 또는 깨달음을 증득하게 하는 방법으로서의 선정만을 말한다.

3해탈문

[편집]

공해탈문

[편집]

공해탈문(空解脫門, 산스크리트어: śūnyatā vimoksa-mukhāni)은 일체법이 모두 다 (空: 자아[我] 즉 실체가 없음)하다고 관조하는 선정일체법이 모두 인연화합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무자성(無自性: 자성이 없음)이라고 관조하는 선정이다. 약칭하여 공문(空門)이라고도 한다.[2][5][7]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변중변론(辯中邊論)》 중권 등에 나오는 무성공(無性空) · 이성공(異性空) · 자성공(自性空)의 3공(三空) 또는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제15권에 나오는 무체공(無體空) · 원리공(遠離空) · 제견공(除遣空)의 3공 가운데 무성공 또는 무체공에 해당하며, 대승불교 일반의 아공(我空) · 법공(法空) · 구공(俱空)의 3공 가운데 아공에 해당한다.[5][18] 유식유가행파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 · 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 · 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의 뢰야3위 가운데 아애집장현행위에 해당한다.

무상해탈문

[편집]

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 산스크리트어: animitta vimoksa-mukhāni)은 이미 일체법이 모두 다 (空: 실체가 없음) 즉 무자성(無自性: 자성이 없음)이라는 것을 아는 상태에서, 남녀상(男女相) · 일상(一相: 같음) · 이상(異相: 다름) 등의 온갖 차별상이 불가득(不可得: 얻을 수 없음)하다는 것, 즉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할 수 없다는 것, 즉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관조하는 선정이다. 간단히 말하면, 일체법에 대해 차별상을 떠나는 선정이다. 약칭하여 무상문(無相門)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무상문(無想門)이라고도 한다.[2][5][7]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변중변론》 중권 등에 나오는 무성공(無性空) · 이성공(異性空) · 자성공(自性空)의 3공(三空) 또는 《현양성교론》 제15권에 나오는 무체공(無體空) · 원리공(遠離空) · 제견공(除遣空)의 3공 가운데 이성공 또는 원리공에 해당하며, 대승불교 일반의 아공(我空) · 법공(法空) · 구공(俱空)의 3공 가운데 법공에 해당한다.[5][18] 유식유가행파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 · 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 · 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의 뢰야3위 가운데 선악업과위에 해당한다.

무원해탈문

[편집]

무원해탈문(無願解脫門, 산스크리트어: apranihita vimoksa-mukhāni)은 이미 일체법이 모두 다 (空: 실체가 없음) 즉 무자성(無自性: 자성이 없음)이라는 것을 알고 그리고 일체법이 무차별하다는 것을 아는 상태에서, 3계에 대해 원구(願求: 원하고 구함)를 떠나는 선정무공용(無功用: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치 않음)을 성취하는 선정이다. 달리 말하면, 3계가 모두 우주적인 법칙[法爾道理]인 연기법에 의해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지 그 법칙과 계합하기만 하면 되지 생사의 을 조작하려고 원구(願求: 원하고 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아는 선정으로, 이 선정에 의해 연기법 그 자체와 완전히 일체가 된 상태, 즉 중도를 성취한 상태, 즉 정등각(正等覺: 바르게 [연기법 즉 중도 즉 진리와] 같아진 깨달음, 진리와 하나가 된 깨달음, 바르게 일체 만유를 아는 깨달음)의 상태, 즉 완전한 깨달음[究竟覺]을 하여 일체법에 대해 자재(自在: 뜻한 바대로 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짐[19])하는 상태가 된다. 약칭하여 무원문(無願門)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무작문(無作門) 또는 무욕문(無欲門)이라고도 한다.[2][5][7]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변중변론》 중권 등에 나오는 무성공(無性空) · 이성공(異性空) · 자성공(自性空)의 3공(三空) 또는 《현양성교론》 제15권에 나오는 무체공(無體空) · 원리공(遠離空) · 제견공(除遣空)의 3공 가운데 자성공 또는 제견공에 해당하며, 대승불교 일반의 아공(我空) · 법공(法空) · 구공(俱空)의 3공 가운데 구공에 해당한다.[5][18] 유식유가행파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 · 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 · 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의 뢰야3위 가운데 상속집지위에 해당한다.

3성과의 관계

[편집]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제74권에 따르면, 3해탈문(三解脫門)은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 의타기성(依他起性) · 원성실성(圓成實性)의 3성(三性)에 의거하여 건립된 것으로, 공해탈문변계소집성에 의거하여 세워진 것이고, 무상해탈문원성실성에 의거하여 세워진 것이며, 무원해탈문의타기성에 의거하여 세워진 것이다.[5]

한편, 《변중변론(辯中邊論)》 중권에 따르면, 공해탈문에 해당하는 무성공(無性空)은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의 망정(妄情)에 실체가 없음을 아는 선정이고, 무상해탈문에 해당하는 이성공(異性空)은 의타기성의 체에서 차별상을 보는 것은 망정(妄情)에 따른 것임을 알아 의타기성의 체 자체에 차별상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아는 선정이다. 그리고 무원해탈문에 해당하는 자성공(自性空)은 원성실성이 일체법의 자성이라는 것을 알아서 인공법공2공(二空)을 현시(顯示: 나타냄)할 수 있게 되는 선정, 즉 일체법에 대해 자재(自在: 뜻한 바대로 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짐[19])하는 상태를 하는 선정이다.[18]

유가사지론》 제74권에서는 3해탈문의 건립, 즉 3가지 무루선정의 건립의 측면에서 3성(三性)과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고, 《변중변론》 중권은 3해탈문의 실천, 즉 3가지 무루선정의 실수(實修)의 측면에서 3성(三性)과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열반경

[편집]

선정의 모양은 공삼매라 하고, 지혜의 모양은 무원삼매라 하고, 버리는 모양은 무상삼매라고 한다. 10주 보살은 지혜의 힘이 많고 삼매의 힘이 적으므로, 불성을 분명하게 보지 못하고, 성문과 연각은 삼매의 힘은 많고 지혜는 적으므로, 이를 인연하여 불성을 보지 못하고, 부처님 세존은 삼매와 지혜가 평등하므로 불성을 분명하게 보고 걸림이 없다. 사마타를 선정의 모양이라고 한다. 비바사나를 정견, 지혜라고 한다. 우필차는 평등이라 이름하며, 다투지 않는다고 이름하며, 관찰하지 않는다고 이름하며, 행하지 않는다고 이름하니, 이를 버린다고 한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863, T.1597). 《섭대승론석》.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863(17-76), T.1597(31-32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축불념 한역, 노혜능 번역 (K.530, T.1485). 《보살영락본업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30(14-374), T.1485(24-101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97).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97,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축불념 한역 (T.1485).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 대정신수대장경. T24, No. 14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1. 星雲, ""解脫門".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解脫門: 得入解脫境界之門,即稱解脫門;乃指脫離三界之苦而令得悟之門。此外,空、無相、無願等三種禪定,為通往涅槃之門戶,故亦稱為解脫門。俱舍論卷二十八(大二九‧一四九下):「於中無漏者,名三解脫門,能與涅槃為入門故。」大乘義章卷二(大四四‧四八九上):「涅槃果德,絕縛名脫;空、無相等,與脫為門,名解脫門。」"
  2. 운허, "三解脫門(삼해탈문".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三解脫門(삼해탈문): 또는 삼공문(三空門)ㆍ삼삼매(三三昧). 해탈을 얻는 세 가지 방법. (1) 공해탈문(空解脫門). 일체 만유가 다 공(空)하다고 관함. (2) 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 상대적 차별한 모양이 없다고 관함. (3) 무작해탈문(無作解脫門). 무원해탈문(無願解脫門)이라고도 하니, 일체 것을 구할 것이 없다고 관함을 말함. ⇒삼공(三空)"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BCED95B4ED8388rowno1 三解脫門(삼해탈문]". 2013년 1월 20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 운허, "三空(삼공)".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三空(삼공): 또는 삼삼매(三三昧)ㆍ삼해탈(三解脫). 번뇌의 계박에서 벗어나, 증오(證悟)의 경지에 이르는 방법 세 가지. ⇒삼해탈문(三解脫門)"
  4. 운허, "三空觀門(삼공관문)".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三空觀門(삼공관문): 삼해탈문(三解脫門)의 다른 이름."
  5. 星雲, "三解脫門".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三解脫門: 梵語 trīni vimoksa-mukhāni。指得解脫到涅槃之三種法門。略稱三解脫、三脫門、三門。即:(一)空門(梵 śūnyatā),觀一切法皆無自性,由因緣和合而生;若能如此通達,則於諸法而得自在。(二)無相門(梵 animitta),又稱無想門。謂既知一切法空,乃觀男女一異等相實不可得;若能如此通達諸法無相,即離差別相而得自在。(三)無願門(梵 apranihita),又作無作門、無欲門。謂若知一切法無相,則於三界無所願求;若無願求,則不造作生死之業;若無生死之業,則無果報之苦而得自在。
     三解脫門乃依無漏之空、無相、無願等三三昧而入,此三昧猶如門戶之能入解脫,故稱三解脫門。然三昧通有漏、無漏,三解脫門唯通無漏。以其具有淨及無漏等世、出世間之特別法,故為涅槃之入門。又瑜伽師地論卷七十四謂,三解脫門係依三自性而建立,即由遍計所執之自性而立空解脫門,由依他起之自性而立無願解脫門,由圓成實之自性而立無相解脫門。〔俱舍論卷二十八、大毘婆沙論卷一○四、十地經論卷八、大乘義章卷二、摩訶止觀卷七上〕(參閱「三三昧」 521)"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105DTITLEA4TB8D1B2E6AAF9 三解脫門]". 2013년 1월 20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6.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97, 제1권. p. T31n1597_p0321a22 - T31n1597_p0321a23. 공용(功用)과 3해탈문(三解脫門)
      能無功用於十方  隨諸有情意所樂
      開示殊勝極廣大  三種解脫等方便
  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863, T.1597, 제1권. p. 2 / 297. 공용(功用)과 3해탈문(三解脫門)
      의식적인 노력[功用] 없이도7) 능히 시방세계에서8)
      모든 유정들의 마음에 좋아하는 바를 따라서
      뛰어나고 지극히 광대한
      세 가지 해탈문9) 등의 방편문을 열어 보이시네.
    7) 공용(功用)은 신체ㆍ입ㆍ뜻으로 짓는 동작ㆍ행위를 말한다. 보살은 공관(空觀)을 닦음에 있어서 7지(地)까지는 인위적인 행위가 가해지며[有功用地], 제8지부터는 의식적으로 노력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공관이 이루어진다[無功用地]. 부처님께서는 전식득지(轉識得智)를 이루셨기 때문에, 의식적이고 인위적인 노력이 없이도 자연스럽게 중생교화 사업을 할 수 있다.
    8) 이하 두 게송은 붓다의 대지(大智)ㆍ대자(大慈)의 두 가지 덕을 서술한다.
    9) 해탈에 들어가는 문이 되는 세 가지 선정이다. 공해탈문(空解脫門)은 사람과 법의 본성이 공한 것을 관조하는 것이다. 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은 차별상을 떠나는 것이다. 무원해탈문(無願解脫門)은 원하는 생각을 버리는 것이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세친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863, T.1597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578startNum2 2 / 297]. 공용(功用)과 3해탈문(三解脫門)"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8. 星雲, "功用地".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功用地: 指初地至七地之菩薩階位。於菩薩各種修行階段中,初地以上,至第七地之菩薩,雖已證得真如,猶須加行用功,故稱功用地;而八地以上之菩薩,無須再藉加功用行,自然功德增進,則稱無功用地。成唯識論卷九(大三一‧五三中):「八地以上,純無漏道,任運起故,三界煩惱,永不現行。」"
  9. 운허, "無功用(무공용)".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無功用(무공용): 일을 하려고 미리 마음속에서 계획하고 분별하는 일이 없이 자연에 맡기는 것."
  10. 운허, "無功用智(무공용지)".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無功用智(무공용지): 보살의 계위 중에서 8지(地) 이상의 보살은 애쓰지 않더라도 자기의 지혜가 저절로 진리에 계합한다. 이 지혜를 무공용지라 한다."
  11. 佛門網, "三三昧". 2013년 3월 31일에 확인
    "三三昧: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梵語 trayah samādhayah,巴利語 tayo samādhī。又稱三三摩地、三等持、三定。指三種三昧。三昧,禪定之異稱。依大乘義章卷十三載,心體寂靜,離於邪亂,稱為三昧。此三昧分有漏、無漏二種,有漏定為三三昧,無漏定為三解脫門。三三昧之分類有下列四種:
    (一)據增一阿含經卷十六等之說,即:(一)空三昧(梵 śūnyatā-samādhi),即觀一切諸法皆悉空虛,為與苦諦之空、無我二行相相應之三昧,觀諸法為因緣所生,我、我所二者皆空。(二)無相三昧(梵 animitta-samādhi),即一切諸法皆無想念,亦不可見,為與滅諦之滅、靜、妙、離四行相相應之三昧。涅槃離色聲香味觸五法、男女二相,及三有為相之十相,故稱無相。(三)無願三昧(梵 apranihita-samādhi),又作無作三昧、無起三昧。對一切諸法無所願求,為與苦諦之苦、無常二行相,集諦之因、集、生、緣四行相相應之三昧。非常、苦、因等可厭患,故道如船筏,必應捨之;能緣彼定故,得無願之名。〔北本大般涅槃經卷二十五、大毘婆沙論卷一○四、俱舍論卷二十八、成唯識論卷八、俱舍論光記卷二十八〕
    (二)俱舍論卷二十八所論之三三摩地。即:(一)有尋有伺三摩地(又作有覺有觀三昧),係與尋伺相應之等持,為初靜慮與未至定所攝。(二)無尋唯伺三摩地(又作無覺有觀三昧),係唯與伺相應之等持,為靜慮中間地所攝。(三)無尋無伺三摩地(又作無覺無觀三昧),係不與尋伺相應之等持,由第二靜慮之近分,乃至非想非非想所攝。以上,心之粗者稱為尋,細者則為伺。〔大智度論卷二十三、瑜伽師地論卷十二、順正理論卷七十九〕
    (三)成實論卷十二所說之三三昧。即:(一)一分修三昧,修定不修慧,或修慧不修定。(二)共分修三昧,修定亦修慧,為世間三昧,在煖等法之中。(三) 聖正三昧,入於法位而能證滅諦之三昧,稱為聖正三昧。行者以定修心,因慧能遮煩惱;以慧修心,因定能遮煩惱。以定慧修心,因性得解脫性;又以定慧一時具足,故稱聖正。
    (四)法華經玄義卷四所言之三三昧為:(一)真諦三昧,破見思垢。(二)俗諦三昧,破惡業垢、塵沙垢。(三)中道三三昧,破無明垢。〔佛地經論卷一、雜阿毘曇心論卷七、注維摩經卷四、法華玄義釋籤卷五上、摩訶止觀卷七之上〕(參閱「三昧」580)
    頁數: p521
    出處: Buddhistdoor
    解釋: 三三昧 "Three samādhis": (1) The samādhi of emptiness; (2) The samādhi of no-marks; (3) the samādhi of non-contrivance. From the Jingang sanmei jing 金剛三昧經T vol. 9, 372a.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samādhi-traya
    頁數: p5-6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三種的三昧、即空三昧、無相三昧、無願三昧。三昧是定的意思。空三昧是觀察世間的一切法都是緣生的,也都是虛妄不實的;無相三昧是觀察世間的一切形相都是虛妄假有;無願三昧又名無作三昧,即觀一切法幻有,而無所願求。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三三昧===﹝出法界次第﹞
    梵語三昧,華言正定,亦云正心行處。謂眾生之心,從無始已來,常不正直,得是三昧,心行正直,故名三昧。
    〔一、有覺有觀三昧〕,謂初心在禪曰覺,細心分別禪味曰觀。以空、無相、無作相應心入於初禪,則一切覺、觀皆悉正直,故名有覺有觀三昧。(空、無相、無作,即三解脫門也。)
    〔二、無覺有觀三昧〕,謂以空、無相、無作相應心將入二禪之時,覺知之心已亡,分別禪味之念猶在。一切定觀皆悉正直,故名無覺有觀三昧。
    〔三、無覺無觀三昧〕,謂以空、無相、無作相應心入於三禪乃至滅受想定時,覺知之心、分別禪味之念俱亡,故名無覺無觀三昧。
    三三昧===﹝出成實論﹞
    〔一、分修三昧〕,謂定、慧二分,隨修一分也。或修定不修慧,或修慧不修定,是名分修三昧。(梵語三昧,華言調直定,亦名正定、正受。)
    〔二、共修三昧〕,謂修定亦兼修慧,修慧亦兼修定,是名共修三昧。
    〔三、聖正三昧〕,自初果須陀洹已去,聖位所修,名為聖正。謂以定修心,因慧能破煩惱;以慧修心,因定能破煩惱。定慧一時具足,故名聖正三昧。(梵語須陀洹,華言預流。)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是為舊稱,新稱云三三摩地,譯曰三定,三等持,就能修之行而名之。仁王經謂之三空,此就所觀之理而名之。十地論謂之三治,此就所斷之障而名之。此三昧有有漏無漏二種:有漏定謂之三三昧,無漏定謂之三解脫門。解脫即涅槃,無漏為能入涅槃之門也。猶如有漏曰八背捨,無漏曰八解脫也。三三昧之義:一、空三昧與苦諦之空,無我,二行相相應之三昧也。觀諸法為因緣生,無我無我所有。空此我我所二者,故名為空三昧。二、無相三昧,是與滅諦之滅,靜,妙,離,四行相相應之三昧也。涅槃離色聲香味觸五法,男女二相,及三有為相(除住相)之十相,故名為無相。以無相為緣,故名為無相三昧。三、無願三昧,舊云無作三昧,又云無起三昧。是與苦諦之苦,無常,二行相,集諦之因,集,生,緣,四行相相應之三昧也。苦諦之苦,無常及集諦可厭惡,又道諦之道,如,行,出,四行相如船筏之必捨故總不願樂之,故以之為緣,謂之無願三昧。又於諸法無所願樂,則無所造作,故謂為無,名為無起。但苦諦之空無我二行相與涅槃之相相似,非可厭捨,故無願三昧中,不取之也。法華經信解品曰:「世尊往昔說法既久,我時在座,身體疲懈,但念空無相無作。」無量壽經上曰:「超越聲聞緣覺之地,得空無相無願三昧。」同下曰:「住空無相無願之法,無作無起觀法如化。」智度論十九曰:「於三界中智慧不著,一切三界轉為空無相無作,解脫門。」同二十曰:「涅槃城有三門,所謂空無相無作。(中略)行此法得解脫,到無餘涅槃,以是故名解脫門。」俱舍論二十八曰:「空謂非我,無相謂滅四,無願謂餘十,諸行相相應,此通淨無漏無漏三脫門。」大乘義章二曰:「言無願者,經中或復名為無作,亦名無起。(中略)此三經論名解脫門,亦名三治,亦名三空義,或復說為三三昧門。三脫三昧經論同說,三治一門如地論說。言三空者,如仁王經,言三脫者就果名也。三障對治,故名三治。言三空者就理彰名,三三昧者,就行名也。」"
  12. 佛門網, "三三摩地". 2013년 3월 31일에 확인
    "三三摩地: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見三三昧條。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三三摩地者。一、空,二、無願。三、無相。瑜伽十二卷八頁云:云何空三摩地?謂於遠離有情命者及養育者數取趣等,心住一緣。云何無願心三摩地?謂於五取蘊,思惟無常;或思惟苦;心住一緣。云何無相心三摩地?謂即於彼諸取蘊滅,思惟寂靜;心住一緣。
    二解 大毗婆沙論一百四卷六頁云:問:若爾;世尊何故增一減無量等,建立三種三摩地耶?答:由三緣故,唯建立三。一、對治故。二、期心故。三、所緣故。對治故者:謂空三摩地。是有身見近對治故。問:空三摩地、有空非我二行相;有身見,有我我所二行相。此中以何等行相、對治何等行相耶?答:以非我行相、對治我行相。以空行相、對治我所行相。復次以非我行相,對治五我見行相。以空行相,對治十五我所見行相。如對治我見我所見行相,如是對治己見己所見行相,是我屬我行相,是己屬己行相,應知亦爾。復次以非我行相,對治我愛。以空行相,對治我所愛。如對治我愛我所愛,如是對治己愛己所愛,我癡我所癡,己癡己所癡等,應知亦爾。復次以非我行相、對治執蘊是我行相。以空行相、對治執蘊中有我行相。如對治執蘊是我,執蘊中有我行相,如是對治執處是我、執處中有我,執界是我、執界中有我,若總、若別、行相,應知亦爾。期心故者:謂無願三摩地。諸修行者、期心不願三有法故。問:彼於聖道,亦不願耶?答:雖於聖道,非全不願;而彼期心,不願三有。聖道依有,故亦不願。又彼期心,不願五蘊。聖道是蘊,故亦不願。又彼期心、不願三世。聖道墮世,故亦不願。又彼期心、不願眾苦。聖道與苦、展轉相續,故亦不願。問:若爾;何故修聖道耶?答:為趣涅槃,故修聖道。謂修行者,作是思惟:究竟涅槃,由何趣證?思已;定知必由聖道。故雖不願;而要修之。如越瀑流,要憑船筏。所緣故者:謂無相三摩地。此定所緣、離十相故。謂離色、聲、香、味、觸、及女、男、三有為相。復次蘊名為相。此定所緣,離諸蘊相;故名無相。復次世名為相。前後名相。上中下等名相。此定所緣,離世等相;故名無相。有作是說:三三摩地,皆由對治差別建立。謂空三摩地,近對治有身見。無願三摩地,近對治戒禁取。無相三摩地,近對治疑。由此為先,對治一切。復有說者,三三摩地,皆依行相差別建立。謂空三摩地,有空非我二行相。無願三摩地,有苦非常,及集道各四行相。無相三摩地,有滅四行相。故三摩地,唯建立三。施設論中,初作是說:空三摩地,是空,非無願,無相。無願三摩地,是無願,非空,無相。無相三摩地,是無相,非空,無願。所以者何?由此三種,行相別故。即彼論中。次作是說:空三摩地,是空,亦無願,非無相。無願三摩地,是無願,亦空,非無相。無相三摩地,唯是無相,非空,無願。問:何故空無願展轉相亦,而無相獨立耶?答:依初得時,有同異故。謂若依空三摩地,入正性離生;苦現觀四心頃,亦修無願。若依無願三摩地,入正性離生;苦現觀四心頃,亦修空故。空無願展轉相亦。初得無相,修自非餘。復次依初對治,有同異故。謂空無願初對治時,俱能對治見苦所斷煩惱等故。無相初對治時,獨能對治見滅所斷煩惱等故。即彼論中,復作是說:空三摩地,是空,亦無願,無相。無願三摩地,是無願,亦空,無相。無相三摩地,是無相,亦空,無願。問:此三何故一一具三?答:一一自體,有三義故。謂此一一,非常非恆,非不變易,非我我所;故皆名空。不願生長貪瞋癡等,及後有故;皆名無願。離色聲香味觸女男七種相故;皆名無相。是名三三摩地自性我物自體相分本性。已說自性;所以今當說。問:何故名三摩地?三摩地是何義耶?答:由三緣故,名三摩地。一、平等故。二、攝持故。三、相似相續故。平等故者:謂無始來,煩惱惡行邪見顛倒,令心心所偏曲而轉。由此定力,令心心所,於境正直,平等而轉。故名三摩地。攝持故者:謂無始來,心心所法,於境馳散。由此定力,方便攝持,令住一境;故名三摩地。相似相續故者:謂無始來,心心所法,善染無記,異類相續。由此定力,前後一類,唯善相續;故名三摩地。復次由三緣故,名三摩地。謂住一境故;相續住故;正審慮故。復次由三緣故,名三摩地。謂能持身,令平等故;攝諸善法,令不散故;能令善心平等轉故。復次由三緣故,名三摩地。謂於所緣,恆不捨故;任持種種勝善法故;令奢摩他毘缽舍那,住一所緣,平等轉故。尊者世友作如是說:何故名三摩地?攝持多種善心心所,令於一境,平等相續;故名等持。復作是說:能持平等,故名等持。如能持嬰兒故;名持嬰兒者。能持水故;名持水者。能持枰故;名持枰者。此亦如是。能持種種勝平等法;故名等持。大德說曰:即此等持,亦名等至。此復多種。謂善法等至,不善法等至,無記法等至,九次第等至,兩兩交會亦名等至。於此義中,唯說能持善心心所,令其相續平等而轉,故名等持。不善無記等,非此所說。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參見: 三三昧】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觀察所對之境之麤想,謂為尋,舊謂之覺。其細想謂為伺,舊謂之觀。屬於色界無色界之諸定,依此尋伺之有無而分三種:一、有尋有伺三摩地,定心尋伺皆有者。初禪天之根本定及其未至定(謂初禪之加行定)是也。二、無尋有伺三摩地,定心唯有伺者。在初禪與二禪天間之中間定(大梵天之果報)是也。三、無尋無伺三摩地,定心至妙而尋伺皆無者。二禪天以上至非想處之七根本定及七近分定是也。見俱舍論二十八。【又】謂空,無相,無願之三解脫門。【參見: 三昧】"
  13. 佛門網, "無相定". 2013년 4월 11일에 확인
    "無相定: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解釋: ānimitta, ānimittānimitta.
    頁數: P2153"
  14. 星雲, "無想定". 2013년 4월 11일에 확인
    "無想定:  梵語 asajjñā-samāpatti。指能於定中心想不起,猶如冰魚、蟄蟲,但不能斷惑而證入聖果。心不相應行法之一,俱舍七十五法之一,唯識百法之一。乃心、心所(心之作用)滅盡之定,即使一切心識活動全部停止,以求證得無想果所修之禪定;與滅盡定並稱為二無心定。此定為凡夫及外道所修,即彼等誤信色界第四禪無想天之果報為真悟境。又修此定所得無想天之果報,稱無想果或無想事。蓋無想定屬心不相應行法,依之在五百大劫之間得滅心、心所。諸宗派對此定有各種異說,有部主張無想定、無想果皆有實體,然經部、唯識宗卻稱其為虛假者。〔品類足論卷一、俱舍論卷五、順正理論卷十一、成唯識論卷七〕(參閱「滅盡定」5509) p5124"
  15. 佛門網, "無相三昧". 2013년 4월 11일에 확인
    "無相三昧: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又名無相解脫門。見三解脫門條。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解釋: ānimitta-samādhi.
    頁數: P2153"
  16. 축불념 한역 & T.1485, 상권 〈3. 현성학관품(賢聖學觀品)〉. p. T24n1485_p1012b16 - T24n1485_p1012c05. 3삼매문(三三昧門)
    "爾時敬首菩薩白佛言。云何菩薩學觀名字義相。及心所行法復當云何。佛言。佛子。汝之所問。同十方佛土中一切佛皆坐道場時能問者。皆名敬首所問無異。諦聽諦聽思念正觀如法修行。佛子。一切諸佛皆說六明焰三三昧門。我亦如是說。六種性者。是一切菩薩功德瓔珞。嚴持菩薩二種法身。菩薩所著百萬阿僧祇功德行為瓔珞。若一切菩薩不入瓔珞功德門。得入正位者。無有是處。佛子。性者。所謂習種性性種性道種性聖種性等覺性妙覺性。復名六堅。亦名堅信亦名堅法亦名堅修亦名堅德亦名堅頂亦名堅覺。復名六忍。信忍法忍修忍正忍無垢忍一切智忍。復名六慧。聞慧思慧修慧無相慧照寂慧寂照慧。復名六定。習相定性定道慧定道種慧定大慧定正觀定。復名六觀。住觀行觀向觀地觀無相觀一切種智觀。佛子。一切菩薩及佛。無不入此六種明觀決定了義實相法門。"
  17. 축불념 한역, 노혜능 번역 & K.530, T.1485, 상권 〈3. 현성학관품(賢聖學觀品)〉. pp. 16-17 / 62. 3삼매문(三三昧門)
    "이 때 경수보살이 부처님께 말하였다.
    “어떤 것이 보살이 이름[名字]의 이치와 모습[義相]을 배우고 관하는 것입니까? 마음으로 행하는 법[心所行法]은 또 마땅히 어떻게 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불자여, 그대가 묻는 바는 시방의 불국토 가운데 일체 부처님이 다 도량에 앉으셨을 때 질문한 것과 같구나. 모두 다 이름을 경수(敬首)라고 하며 묻는 바가 다름이 없나니, 주의해서 듣고 똑똑히 들어라.
    바르게 관하고 사념하여 법답게 수행하라. 불자여, 일체 제불이 다 육명염(六明焰)16)과 삼삼매문(三三昧門)17)을 설하시듯 나도 또 이와 같이 설하느니라.
    육종성(六種性)은 모든 보살의 공덕 영락으로써 보살의 두 가지 법신(法身)을 장엄하고 호지하느니라. 보살이 집착하는 바는 백만 아승기의 공덕행을 영락으로 삼느니라. 만약 일체 보살의 영락공덕문에 들어가지 않고 정위(正位)에 드는 것을 얻는다면 이런 일은 있을 수 없느니라.
    불자여, 성품은 이른바 습종성(習種性)ㆍ성종성(性種性)ㆍ도종성(道種性)ㆍ성종성(聖種性)ㆍ등각성(等覺性)ㆍ묘각성(妙覺性)이니라. 또는 육견(六堅)이라고도 하나니, 견신(堅信)ㆍ견법(堅法)ㆍ견수(堅修)ㆍ견덕(堅德)ㆍ견정(堅頂)ㆍ견각(堅覺)이니라. 다시 육인(六忍)이라고 이름 하나니, 신인(信忍)ㆍ법인(法忍)ㆍ수인(修忍)ㆍ정인(正忍)ㆍ무구인(無垢忍)ㆍ일체지인(一切智忍)이니라. 다시 육혜(六慧)라고도 이름 하나니, 문혜(聞慧)ㆍ사혜(思慧)ㆍ수혜(修慧)ㆍ무상혜(無相慧)ㆍ조적혜(照寂慧)ㆍ적조혜(寂照慧)이니라. 다시 육정(六定)이라고도 이름 하나니, 습상정(習相定)ㆍ성정(性定)ㆍ도혜정(道慧定)ㆍ도종혜정(道種慧定)ㆍ대혜정(大慧定)ㆍ정관정(正觀定)이니라. 다시 육관(六觀)이라고도 이름 하나니, 주관(住觀)ㆍ행관(行觀)ㆍ향관(向觀)ㆍ지관(地觀)ㆍ무상관(無相觀)ㆍ일체종지관(一切種智觀)이니라.
    불자여, 모든 보살과 부처로서 이 여섯 가지 명관(明觀)과 결정요의실상(決定了義實相)의 법문에 들어가지 않음이 없느니라.
    16) 육종성(六種性)을 말한다.
    17) 공삼매(空三昧), 무상삼매(無相三昧), 무작삼매(無作三昧)를 말한다."
  18. 星雲, "三空".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三空:  (一)唯識家依遍、依、圓三性立三空之義。即:(一)無性空,又稱無體空。謂遍計所執性於妄情之前雖有,然其體性實無。(二)異性空,謂依他起性之體相異於遍計所執,雖非空無,然亦如妄情所執而非有。(三)自性空,謂圓成實性即諸法之自性,顯示人法二空。又顯揚聖教論卷十五亦依遍等三種自體而立無體空、遠離空、除遣空三空。〔辯中邊論卷中、中邊分別論卷上、辯中邊論述記卷中〕
     (二)依所執而分空為三種。即:(一)我空,又作人空。於五蘊之法強立主宰,稱為我執;若推求色、受、想、行、識皆無自性,不見我體,稱為我空。(二)法空,於五蘊之法計為實有,稱為法執;若推求五蘊之法如幻如化,皆從緣生,無有自性,稱為法空。(三)俱空,我法二執既遣,能空之空亦除,空執兩亡,契於本性,稱為俱空。〔金剛經疏論纂要卷上、金剛經纂要刊定記卷一〕"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045DTITLEA4TAAC5 三空]". 2013년 1월 20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9. 운허, "大自在(대자재".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大自在(대자재): 무슨 일이라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넓고 큰 역량. (2) 대자재천(大自在天)의 약칭."